호수 2303호 2014.12.07 
글쓴이 홍성민 신부 

저 자신의 모습이 못나 보여서 우울한 기분이 듭니다. 주위의 사람들이 잘되면 진심으로 축하해주고 싶은데, 제 처지랑 비교하다 보니 오히려 배가 아픕니다. 그리고 이런 제 모습이 더 못나 보여서 더 우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parvus@hanmail.net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내 것이 더 좋아 보이면 기쁘고 행복하겠지만, 반대로 내 것이 못한 것 같이 느껴진다면 슬프고 불행합니다. 하지만 이 불행은 내가 가진 것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남과 비교하여 내 행복을 확인하려 했기 때문입니다.
비교는 사람을 비참하게 만듭니다. 돈이 많은 사람도 자기보다 더 많이 가진 사람을 만나면 위축이 되고, 미모가 뛰어난 사람도 남과 자꾸 비교하다 보면 자신의 모습에 자신감을 갖기 어려워집니다.
성경에 탈렌트의 비유가 있습니다. 다섯 탈렌트를 받은 사람은 자신이 받은 것으로 다섯 탈렌트를 더 벌었고, 두 탈렌트를 받은 사람 역시 자신이 받은 것을 잘 활용하여 두 탈렌트를 더 벌었습니다. 그런데 한 탈렌트를 받은 사람은 자신이 가진 것마저 빼앗길까봐 땅에 묻어 두었습니다. 나중에 주인은 화를 내며 그 사람에게 맡긴 한 탈렌트를 빼앗아 열 탈렌트를 가진 사람에게 줍니다.(마태 25, 14∼30 탈렌트의 비유)
처음부터 똑같이 주지 왜 마음 상하게 누구는 많이 주고, 누구는 적게 주었느냐고 물을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복음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하느님께서는 누구에게나 무엇인가를 주셨다는 겁니다. 그리고 우리의 몫은 내가 가진 것이 무엇이든 그것의 가치를 발견하고 소중한 마음으로 잘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남과 비교하여 내 것이 작거나 모자란다고 생각하는 것, 그 생각이 불행을 가져옵니다. 생명이 선물로 주어졌고, 시간이 선물로 주어졌습니다. 먼저 내가 가진 것이 무엇인지 천천히 살피고 그것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물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16 2296호 2014.10.19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 너무 답답합니다. 장재봉 신부  71
215 2297호 2014.10.26  대학생 아들에게 왜 냉담하냐고 물었더니, 교리를 합리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워, 믿어야 할 가치를 못 찾겠다고 합니다. 어떻게 답을 해 주어야 할지 난감합니다. 홍경완 신부  77
214 2298호 2014.11.02  예수님이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신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과학이 실제로 우리 인간의 무병장수의 꿈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결국 예수님이 아니라 과학 기술이 영원한 생명을 인간에 가져다주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32
213 2299호 2014.11.09  술을 먹은 다음 날 아침에 자꾸 짜증이 나고, 후회하는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술자리말고는 의욕이 없고, 기분이 우울합니다. 홍성민 신부  267
212 2300호 2014.11.16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 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장재봉 신부  118
211 2301호 2014.11.23  그러지 말자고 하면서도 하느님의 존재를 자꾸 의심하게 됩니다. 의심하는 것이 죄라는 생각이 들어 괴롭기까지 합니다. 하느님을 의심하는 것이 정말 죄가 되나요? 홍경완 신부  209
210 2302호 2014.11.30  미사 등 천주교의 전례는 정말 지루하면서 시대에 뒤떨어진 것 같습니다. 천주교 예식에 언제나 반복되는 형식적인 것은 버리고, 좀 더 흥미롭고 재미있고 감동적인 내용을 더 한다면 젊은 세대가 더 많이 천주교에 오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81
» 2303호 2014.12.07  저 자신의 모습이 못나 보여서 우울한 기분이 듭니다. 주위의 사람들이 잘되면 진심으로 축하해주고 싶은데, 제 처지랑 비교하다 보니 오히려 배가 아픕니다. 그리고 이런 제 모습이 더 못나 보여서 더 우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49
208 2304호 2014.12.14  타 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 간의 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88
207 2305호 2014.12.21  좀 더 가지고 싶고 채우고 싶은 욕심이 자꾸 생깁니다. 남들과 비교하게 되고, 내가 뒤처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허전한데, 그게 신앙인의 자세는 아닌 듯싶어 맘이 편치 않습니다. 홍경완 신부  151
206 2307호 2014.12.28  저는 결혼한 지 10년이 지난 40대의 사람입니다. 결혼 초기엔 부부가 서로 없으면 죽고 못 살 것 같았는데, 살면 살수록 서로 갈등과 미움만 심해지는 듯합니다. 요즘엔 이렇게 고통스럽게 함께 살 바에 차라리 헤어지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권순호 신부  162
205 2309호 2015.01.04  사는 게 너무 바쁜 저에게 신앙은 또 하나의 부담입니다. 안 그래도 바쁘고 힘든 삶인데 성당에 오면 열심히 기도하지 못하는 저 자신에 대해 죄책감이 들고, 성당 안에서 하게 되는 활동들에서도 부담을 느낍니다. 어쩌면 좋을까요? 홍성민 신부  180
204 2310호 2015.01.11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 교사 휴가를 위한 측면이라면 합반해서 운영해도 무리가 없지 않겠습니까? 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부모님과 방학휴가 계획조차 세울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 장재봉 신부  135
203 2311호 2015.01.18  밖으로 보이는 것들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자꾸 옷이나 가방, 신발 등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고 남들과 비교를 하고 부러워합니다. 신앙인이라면 이런 것쯤은 무시하는 것이 옳은 것 같은데 잘 안됩니다. 홍경완 신부  76
202 2312호 2015.01.25  성령 묵상회에 갔다 왔는데 성령을 받으면 어떨 땐 악마가 보인다고 하는데 저에게 악마가 보일까 무섭습니다. 그리고 간혹 잘못될 경우, 성령이 내리기는커녕 악마에게 씌기도 한다고 하던데요. 교회에 구마경이라는 것이 있다던데 필요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권순호 신부  202
201 2313호 2015.02.01  성경을 보면 하느님이 누군가를 선택하시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하느님은 왜 누구는 선택하시고, 누구는 선택하지 않으시는가요? 사람을 차별하시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137
200 2314호 2015.02.08  운전하면서 자꾸 욕을 하게 됩니다. 성사도 보고, 여러 번 다짐도 했었는데, 막상 운전대를 잡으면 저도 모르게 욕이 튀어나오고 화를 내며 운전하게 됩니다. 홍성민 신부  119
199 2315호 2015.02.15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 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 속 좁고, 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장재봉 신부  218
198 2316호 2015.02.22  십일조와 관련해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교무금과 2차 헌금을 포함한 주일헌금, 불우이웃돕기 성금과 몇몇 단체에 정기적으로 후원금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액을 합하면 수입의 10분의 1 정도 됩니다. 하지만 어떤 이는 교무금만 10분의 1을 바쳐야 한다고 말을 하기에, 제가 십일조를 잘못하고 있지 않은가 하고 생각되어 여쭙니다. 홍경완 신부  153
197 2317호 2015.03.01  성경을 한 번 다 읽어본 예비 신자입니다. 구약성경에는 하느님의 존재가 무시무시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제 기억에는 이민족의 여자와 아이까지 모조리 죽이라고 명령했던 것 같습니다. 저는 하느님은 사랑의 하느님이라고 생각하는데 지나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권순호 신부  179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