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78호 2014.06.22 
글쓴이 권순호 신부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인데요. 천주교에서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너무나 강조하는 것 같아 어떨 때는 마음이 불편합니다. 솔직히 성모 마리아에 대한 천주교의 가르침은 성경에도 거의 나오지 않는데, 후에 사람들이 지어낸 것이 아닌지 의심이 됩니다.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한 때 농부 할아버지와 황소의 우정을 다룬‘워낭소리’라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많은 인기를 얻은 적이 있습니다. 워낭소리의 주인공 농부 할아버지에게 자녀들이 있는데, 다큐멘터리에서 그들의 모습이 거의 등장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워낭소리를 본 사람들이 나이 든 아버지를 시골에 버려둔 자녀들을 비난하여 할아버지 가족들을 힘들게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실은 자녀들이 할아버지의 농사일을 도와주고 있었는데, 다큐멘터리 제작자는 할아버지와 황소의 우정을 더 부각하기 위해 자녀들의 모습을 편집하여 뺐던 것입니다. 다큐멘터리에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그것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성령의 감도를 받아 기록된 중요한 계시의 원천이지만, 성경도 엄연한 한계를 지닙니다. 성경 저자들은 각자 저술 방식에 따라 계시 진리들 중에 선택하여 기록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요한 복음사가도 예수님이 하신 일을 다 기록하면 온 세상이라도 그렇게 기록된 책들을 다 담아 내지 못하리라고 성경 기록의 한계를 이야기 합니다.(요한 21, 25 참조) 성경에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우리에게 전해지는 계시 진리들은 거룩한 전통(성전)을 통해 전해진다고 교회는 가르칩니다. 그리고 아무 사람들이 성경을 포함한 성전에 담겨 있는 진리를 마음대로 해석하는 주장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교도권이 있는 것입니다. 성모님에 대한 가르침은 아무 사람이 후대에 마음대로 지어낸 것이 아니라, 성전을 통해 전해진, 교도권을 지닌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 선포된 진리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36 2274호 2014.05.25  성경을 읽어보면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죽음을 맞이할 것임을 알면서도 그 길을 걸어가셨다고 나옵니다. 그런데 죽는 줄 뻔히 알면서 그 길을 피하지 않고 계속 가셨다면, 그것은 간접적인 자살행위가 아닙니까? 제가 알기로는 교회는 자살을 금지하고 있는데,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은 간접적 자살로 교회의 가르침과 상반되는 것이 아닙니까? 권순호 신부  207
235 2276호 2014.06.08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장재봉 신부  103
234 2277호 2014.06.15  신앙의 가르침을 따라 살아가기가 무척 힘이 듭니다. 현실은 많은 경우 적당히 타협도 하고 불의도 눈감아 주면서 살아가길 요구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고지식한 사람, 완고한 사람으로 따돌림을 받기도 합니다. 신앙의 가르침을 따르며 살고 싶은데 고지식하고 완고하다는 소리를 듣기는 싫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77
» 2278호 2014.06.22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인데요. 천주교에서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너무나 강조하는 것 같아 어떨 때는 마음이 불편합니다. 솔직히 성모 마리아에 대한 천주교의 가르침은 성경에도 거의 나오지 않는데, 후에 사람들이 지어낸 것이 아닌지 의심이 됩니다. 권순호 신부  248
232 2279호 2014.06.29  대학생 딸이 음식을 많이 먹은 뒤, 화장실에 가서 토하곤 합니다. 밤에 혼자 엄청난 양의 음식을 먹고는 토하고, 다음날 또 그럽니다. 요즘 많이 예민해져 있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280
231 2280호 2014.07.06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 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장재봉 신부  190
230 2281호 2014.07.13  같은 하느님을 주님으로 고백하면서도 오히려 비신자보다 못한 모습으로 우리 교회에 먹칠을 하는 사람을 보면 속이 상합니다. 신앙생활을 하면서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답답합니다. 홍경완 신부  129
229 2282호 2014.07.20  흔히들 개신교 신자들에게 천주교는 성모님을 믿는 종교라는 오해를 받곤 합니다. 그런데 제가 봐도 지나치다 싶을 만치 과도하게 성모신심에 빠져 있는 신자들을 보면, 그런 오해도 살만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천주교는 다른 성인들과 다를 바 없는 인간인 마리아를 너무 신격화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권순호 신부  195
228 2283호 2014.07.27  저에게 안 좋은 일이 생길 때마다 하느님께서 왠지 벌주시는 것 같아 마음이 불편합니다. 머리로는 하느님께서는 그런 분이 아니라고 생각하면서도, 왠지 마음 한구석엔 저도 알 수 없는 불안과 죄책감이 있습니다. 무엇 때문일까요? 홍성민 신부  86
227 2284호 2014.08.03  “프리메이슨”이라는 단체가 무엇입니까? 유럽의 교회가 그 영향으로 잘못된 길에 들어섰던 연유도 알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177
226 2285호 2014.08.10  성경에 우상숭배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는 구절을 자주 접합니다. 어떤 행위들이 우상숭배가 되는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홍경완 신부  276
225 2287호 2014.08.17  저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만나게 되면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제가 싫고, 무기력함 때문에 기도 조차하기 힘이 듭니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199
224 2288호 2014.08.24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 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 사실 눈을 뜨고 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장재봉 신부  151
223 2289호 2014.08.31  대학생 아들이 성당에 다니지 않으려 합니다. 하느님은 믿지만 그렇다고 꼭 성당에 다녀야만 하느님을 믿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따지는데 답을 못했습니다. 홍경완 신부  179
222 2290호 2014.09.07  저는 매일 양심성찰을 통해 자신이 죄인임을 잊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항상 회개의 삶을 살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양심 성찰 중에 어떤 잘못이 떠오르면 그것에 대한 후회 때문에 나 자신이 완전히 형편없는 사람 같아서 잠을 못 이루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개의 삶이 오히려 저를 더 우울하고 불행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권순호 신부  43
221 2291호 2014.09.14  중2 아들을 둔 엄마입니다. 저는 공부보다도 신앙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토요일마다 주일학교에 보내려고 애를 쓰지만, 종교의 자유 운운하며 도대체 성당에 가지 않으려고 합니다. 어떻게 하면 성당에 보낼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199
220 2292호 2014.09.21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 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장재봉 신부  128
219 2293호 2014.09.28  딸이 갑자기 물어왔습니다.‘엄마가 믿는 하느님은 어떤 하느님이야?’‘어떤 하느님이긴, 그냥 하느님이지’라고 서툴게 답하고 말았지만 실은 대답을 못 했습니다. 내가 믿는 하느님은 어떤 하느님인가요? 홍경완 신부  96
218 2294호 2014.10.05.  어떤 신부님들은 왜 경제나 가난이나 정치 문제에 대해 발언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정치, 경제 문제는 정치인이나 경제인들에게 맡기고, 교회는 그저 기도와 신앙, 십계명과 같은 종교에 관한 것만을 가르쳐야 하지 않습니까? 권순호 신부  125
217 2295호 2014.10.12  아내가 SNS에 너무 많이 집착합니다. 솔직히 저는 저의 일상이 공개되는 것이 유쾌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반응에는 신경을 쓰면서 정작 남편인 저에게는 소홀한 아내에게 섭섭함도 느낍니다. 홍성민 신부  158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