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063호 2010.08.22 
글쓴이 이성균 신부 

참 힘겹습니다, 신자로서 살아간다는 건!

다대성당 주임 이성균 예로니모 신부

가정 경제를 꾸려나가기 위해 날마다 분투하면서 주일미사에도 빠지지 않아야 하고, 수입은 정해져 있고 돈 들어갈 일은 많은데 매달 교무금도 바쳐야 하고, 매주 헌금도 해야 하고, 각종 후원금도 내야하고, 신축이나 개축 헌금도 내야하고, 본당에 행사가 있으면 기부금도 내야하지요. 간간이 기원할 일이 있으면 미사 예물도 필요합니다.

아이들의 교육, 취직, 결혼, 온갖 뒷바라지와 집안의 대소사를 챙기기도 버거운데 본당 행사를 위해 밥을 짓거나 행사 준비에 분주해야 하고, 반 소공동체 모임에도 참석해야 하고, 레지오 단원이라면 주회에도 참석해야 하고, 신심단체에 속해 있다면 매달 모임에도 참석해야 하고, 각기 맡은 직분에 최선을 다해도 성과가 미미할 때는 속도 상해야 하지요.
그래도 그럴 수 있는 형편이면 낫습니다. 살면서 떠 안아야 할 고민은 또 왜 그리 많습니까? 모진 것이 목숨이라고 매일 밥을 우겨 넣기는 하지만 병들고 늙어가는 것은 어쩔 수가 없고, 보장되지 않은 미래는 막막한데 뾰족한 수가 없다고 생각되면 ‘즐겁게 잘 사는’ 사람들을 보는 것은 마음만 허물어질 일입니다. 남들은 안 그런 것 같은데 왜 나만 힘든 것인지…

내라는 것 내고 하라는 것 하고, 형편이 되는 대로 지킬 것 지켜가면서 기도도 열심히 하고 남에게 해 끼치지 않으려고 애씁니다. 마음 다독여가면서 큰 욕심 내지 않고 살려 합니다. 그러면 된 것 아닙니까? ‘예수 믿고 구원받’아야 되는 것 아닙니까? ‘구원받을 사람이 적다니요?' ‘너희가 어디에서 온 사람들인지 나를 모르신다니요?' ‘맥 풀린 손과 힘 빠진 무릎’으로 구원에서 제외되는 것을 망연히 보아야 하다니요?

구원 받을 사람들의 숫자에 관심이 많았던 유다인들의 질문에 예수님께서는 대꾸도 않으십니다. 그저 ‘불의를 일삼지 말고 때늦은 후회하지 말라'고 말씀하십니다. 히브리서 저자의 말을 빌리면 심지 곧게 ‘바른길을 달려가라'고 하십니다. 그렇습니다, 그러면 됩니다. 그리고 구원은 장담할 일이 아니라 희망할 일입니다. 용기를 내십시오!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우리는 하느님의 성전입니다 file 최정훈 신부 
2896호 2025. 11. 2  우리의 영광은 자비에 달려있습니다 file 염철호 신부 
2895호 2025. 10. 26  분심 좀 들면 어떤가요. file 최병권 신부 
2894호 2025. 10. 19  전교, 복음의 사랑으로 file 김종남 신부 
2893호 2025. 10. 12  우리가 주님을 만날 차례 file 한종민 신부 
2892호 2025. 10. 6  복음의 보름달 file 김기영 신부 
2891호 2025. 10. 5  느그 묵주 가져왔나? file 김기영 신부 
2890호 2025. 9. 28  대문 앞의 라자로를 외면하지 마십시오. file 정창식 신부 
2889호 2025. 9. 21  신적 생명에 참여하는 삶 file 조성문 신부 
2888호 2025. 9. 14  나를 죽이고 십자가를 지는 삶 file 박재범 신부 
2887호 2025. 9. 7  더 크게 사랑하기 위해서는? file 이재원 신부 
2886호 2025. 8. 31  행복을 선택하는 삶 file 박호준 신부 
2885호 2025. 8. 24  ‘좁은 문’ file 이영훈 신부 
2884호 2025. 8. 17  사랑의 불, 진리의 불 file 이영창 신부 
2883호 2025. 8. 15  마리아의 노래-신앙인의 노래! 김대성 신부 
2882호 2025. 8. 10  그리움, 기다림, 그리고 깨어있는 행복! file 김대성 신부 
2881호 2025. 8. 3  “만족하십시오.” file 이재혁 신부 
2880호 2025. 7. 27  “노인(老人)=성인(聖人)” file 정호 신부 
2879호 2025. 7. 20  마르타+마리아=참으로 좋은 몫 file 이균태 신부 
2878호 2025. 7. 13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file 계만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