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255호 2014.01.19 |
---|---|
글쓴이 | 장재봉 신부 |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고요. 자녀와 종, 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장재봉 신부 / 활천성당 주임 gajbong@hanmail.net
하느님 생각에 몰두해 있는 ‘고3 친구’의 모습이 참 어여쁩니다. 문득 “친구면 친구지… ‘종’은 또 뭐야?”라는 생각을 했던 모양인데요. 우리는 틀림없는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분명히 그리스도의 친구입니다. 그런데 “그분께서는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셨지만 (…) 오히려 당신 자신을 비우시어 종의 모습을 취하시고”(필리 2, 6∼7) 세상의 종이 되셨습니다. 죄의 사슬에 묶여 죄의 종노릇을 하는 비참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 목숨을 바치신 것입니다. 이 진리를 깨친 이는 세례로써 주님의 뜻에 순명하는 ‘종’으로 살 것을 약속합니다. 그분께서 그러하셨듯이 나보다 못하고 약한 이들에게 군림하지 않는 사랑의 종으로 살 것을 다짐합니다. 이 때문에 그리스도인은 “죽음으로 이끄는 죄의 종”이 아니라 “의로움으로 이끄는 순종의 종”(로마 6, 16)이 됩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종’이라 하는 것은 당신의 노예로 삼겠다는 표현이 아니라, 당신의 은총을 입은 당신의 소유로 인정한다는 뜻입니다. 앞서 제가 ‘친구’라고 적은 것을 “신부가 평신도를 어떻게 친구라고 하지?”라며 의아해하지 않은, 바로 그 마음으로 받아들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