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27호 2013.08.04 
글쓴이 홍성민 신부 

저는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이웃사랑의 계명을 실천하고자 본당에서 활동도 나름으로 열심히 하고, 봉사활동도 많이 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요즘 제 신앙생활에 지쳐갑니다. 일은 많이 하는데, 정작 제 삶에는 진실한 사랑이 없는 듯 느껴집니다. 진실하지 못한 제 모습에 실망하게 되고, 죄책감도 느껴져서 기쁘지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임호성당 보좌) parvus@hanmail.net

질문하신 대로 예수님께서는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하라!”고 하셨습니다. 이 말씀이 우리에게는 이웃을 사랑해야 하는 의무로 다가오곤 합니다. 물론 사랑의 계명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의무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자주 놓치는 것이 있습니다.

이 사랑의 계명에는 이웃을 사랑해야 하는 의무와 함께, 자신을 사랑해야 한다는 가르침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이를 사랑하기 위해서는 나 자신이 그러한 사랑 안에 있어야 합니다. 누군가를 잘 돌보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자기 자신을 잘 돌보아야 합니다. 신앙은 먼저 하느님께서 나를 사랑하시고, 용서하시며, 나를 이끄시고, 돌보신다는 것을 배우고, 체험하는 것입니다. 이 사랑을 느끼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자기가 자기를 하느님의 그 마음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합니다.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고, 나의 부족함을 용서하며, 두렵고 불안해도 나를 이끄시는 하느님을 믿고 일어날 수 있도록 나를 위로하고 나를 응원한다면, 적어도 나를 바라보시는 하느님의 마음과 내 마음은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하나 된 마음으로 나에게 주어진 이웃을 보려 할 때, 나는 나의 마음이 아니라 하느님의 마음으로 내 이웃을 보고, 그들을 진정으로 사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76 2441호 2017.07.02  세례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장재봉 신부  486
75 2442호 2017.07.09  공동체란 말을 자주 듣습니다. 이제까지 아무 생각 없이 듣다가 문득 의문이 생겼습니다. 본당이 공동체라는 말, 억지 아닌가요? 홍경완 신부  119
74 2443호 2017.07.16.  성경을 읽어 보면, 예수님께서 천국을 아침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점심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저녁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다 똑같은 임금을 주시는 주인으로 묘사하던데요. 요즘에 정의롭지 못한 정치인들이 비판을 많이 받는데, 하느님 또한 이들과 무엇이 다릅니까? 권순호 신부  143
73 2444호 2017.07.23  개신교에서는 하느님의 이름이 여호와라고 그러고 가톨릭은 야훼라고 그러는데 왜 그런가요?' 염철호 신부  184
72 2445호 2017.07.30  세례받으신 지도 오래되셨고, 성당에서 봉사활동도 많이 하는 분인데, 하시는 말씀이나 행동에서 인격적인 성숙함이 부족해 보이는 분을 종종 봅니다. 그럴 때마다 신앙생활을 해도 소용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열심히 하는 신앙생활이 인격적인 성장으로 연결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홍성민 신부  261
71 2446호 2017.08.06  미사에서 초를 켜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장재봉 신부  392
70 2447호 2017.08.13  중요한 선택을 앞둔 젊은이입니다. 여러 가능성이 제 앞에 놓여 있습니다. 무엇이 그 기준이어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248
69 2448호 2017.08.20  천주교 신부님들의 신앙심은 잘 모르겠지만, 애국심에 있어서는 다른 종교 지도자들보다 못하는 것 같습니다. 국가와 민족이 있어야, 신앙도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한국 사람으로서 자긍심이 없이 어떻게 신앙인으로도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12
68 2449호 2017.08.27  마리아와 마르타 이야기(루카 10, 38∼42)에서 말씀만 듣는 마리아가 열심히 시중드는 마르타보다 더 좋은 몫을 택했다는 예수님 말씀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염철호 신부  356
67 2450호 2017.09.03  요즘 일에 대한 스트레스가 점점 더 커집니다. 그런데 일을 내려놓고 쉬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어떤 일은 꼭 지금 당장 해야 하는 일도 아닌데, 이상하게도 그 일을 놓기가 힘이 들고, 불안한 기분이 들 때도 있습니다. 홍성민 신부  102
66 2451호 2017.09.10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 텐데…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372
65 2452호 2017.09.17  지나치게 현실적인 문제만 고민하다가, 꼭 이렇게 살아야 하나 싶어 슬퍼졌습니다. 이 슬픔의 원인이 무엇인지도 모르겠고, 그렇다고 현실을 무시하지도 못하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57
64 2453호 2017.09.24  반모임에 가면 부담스럽습니다. 저는 신앙심이 깊지 않아서 성경을 읽어도 아무 생각이 안 나고, 말주변이 없어서 어떻게 말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다른 반원들은 기도면 기도, 나눔이면 나눔, 유창하게 잘도 합니다. 어떻게 하면 다른 반원들처럼 반모임에서 기도나 나눔을 잘 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373
63 2454호 2017.10.01  욥기를 읽다 보면 친구들이 하는 말이 얄밉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하느님은 왜 욥의 친구들을 야단치실까요? 염철호 신부  147
62 2455호 2017.10.08  술 때문에 요즘 제 삶에 많은 문제가 일어납니다. 사실 술을 끊고 싶다는 생각도 합니다. 그런데 마음이 괴롭고 힘들어서 술이라도 마시지 않으면 견딜 수가 없습니다. 술을 좀 쉽게 끊는 방법이 없을까요? 홍성민 신부  110
61 2456호 2017.10.15  복사도 하고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된 후에는“왜 종교를 강요하느냐?”며 따집니다. 무어라 답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속상합니다. 도와주세요. 장재봉 신부  423
60 2457호 2017.10.22  지난번에 언급한‘초월적 가치’란 말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습니다. 홍경완 신부  109
59 2458호 2017.10.29  아들 둘을 키우고 있는 어머니입니다. 큰아들은 공부도 잘하고 항상 제 말을 잘 듣는 반면 둘째는 공부도 못하고 항상 말썽만 부리고 반항만 합니다. 자연히 두 아들을 비교하게 되고, 큰아들에게 애정이 더 가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442
58 2459호 2017.11.05  주님의 기도에“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라는 대목이 나옵니다. 다른 사람을 용서하지 않으면 나도 용서받지 못하는 걸까요? 염철호 신부  204
57 2460호 2017.11.12  제가 아는 8살 아이가 불치의 병에 걸려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 어린아이가 무슨 죄가 있어 이런 고통을 겪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211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