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마음의 밭

가톨릭부산 2017.07.12 10:27 조회 수 : 129

호수 2443호 2017.07.16. 
글쓴이 김정욱 신부 

살아있는 마음의 밭

김정욱 신부 / 사직대건성당 주임

  오늘 복음에서 우리는‘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를 듣습니다.
  씨앗이 길바닥에, 돌밭에, 가시덤불 속에, 그리고 어떤 씨앗은 좋은 땅에 떨어지는 비유를 통하여 똑같은 씨앗이 아주 다양하게 뿌려지고 그 결과가 아주 다름을 우리에게 말씀하십니다. 씨앗은 예수님의 말씀이고 말씀 가운데 하나, 둘이 아니라 그분 말씀 전체이며 그리스도 자체입니다. 밭은 우리 자신들입니다. 이 밭은 여러 가지 요소를 지니고 있습니다. 길바닥이, 돌밭이, 가시덤불이, 좋은 토양이 될 수 있는 밭입니다.
  다시 말하여 밭은 모든 조건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살아 있는 밭입니다. 살아 있기에 변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신앙생활을 하면서 여러 모습의 신앙인들을 만나고 살아갑니다.
  신앙인들 중에는 내가 닮고 배우고 싶은 신앙인이 있는가 하면 어떤 때에는‘왜? 저런 삶을 살아갈까?’라고 질문을 던지게끔 하는 신앙인이 있고, 또 마지못하여 자신의 체면이나 겉모습을 갖추기 위하여 지내는 신앙인들도 있습니다. 똑같이 말씀을 받아들이고 살아가는데 그 삶의 변화가 서로 다름을 종종 느껴 보았을 것입니다.
  예수그리스도와 함께 살아가면서 과거에 연연하거나 아직도 자신의 삶을 중요시하거나 사랑과 용서의 삶보다는 이득을 먼저 따지며 살아간다면 그리스도를 받아들이기보다 두리뭉실하게 살아가는, 그래서 좋은 토양이 되지 못하는 신앙의 삶을 살아가는 것입니다.
  밭은 변하는 것입니다. 예수그리스도를 받아들이면서 자신의 부족함에서, 죄 속에서, 게으름에서 깨어날 때 우리는 좋은 토양의 밭을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우리의 마음 밭이 문제입니다. 말씀에는 관심조차 없는‘돌 같은 마음’, 세상 것으로 가득 차 있는‘가시덤불 같은 마음’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마음 밭에 돌을 골라내고 온갖 잡풀들을 뽑아내는 것은 우리의 몫입니다.
  좋은 땅을 만드는 것은 나의 능력이 아니라 나의 노력에 달려 있습니다.
  날마다 기도하고 정기적으로 고해성사를 보며 미사에 자주 참례하면서 밭갈이를 하듯 마음가짐을 정결하게 가꾸어 나가야 합니다.
  열매를 내는 그 나머지는 주님께서 해 주실 것입니다. 아멘.
호수 제목 글쓴이
2877호 2025. 7. 6  말씀 전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 file 정상천 신부 
2876호 2025. 6. 29  흔들린 고백 file 천경훈 신부 
2875호 2025. 6. 22  새 계약 file 신문갑 신부 
2874호 2025. 6. 15  하느님의 얼굴 file 조영만 신부 
2873호 2025. 6. 8  보호자시여, 저희의 닫힌 문을 열어주소서! file 권동국 신부 
2872호 2025. 6. 1.  승천하신 예수님, 저희도 하늘로 올려 주소서 file 이상일 신부 
2871호 2025. 5. 25.  “너희가 나를 사랑한다면 내가 아버지께 가는 것을 기뻐할 것이다.” file 맹진학 신부 
2870호 2025. 5. 18.  예수님처럼 사랑하기 file 권동성 신부 
2869호 2025. 5. 11.  내 인생의 밑그림을 그리신 하느님! file 박규환 신부 
2868호 2025. 5. 4.  치유, 회복 그리고 부활 file 김영환 신부 
2867호 2025. 4. 27.  토마스 사도 덕분에 file 이창신 신부 
2866호 2025. 4. 20.  부활은 희망입니다 file 손삼석 주교 
2865호 2025. 4. 13.  행한 것이 남는다. file 장용진 신부 
2864호 2025. 4. 6.  너를 단죄하지 않는다. file 김태환 신부 
2863호 2025. 3. 30.  감옥에 갇힌 이들 file 송현 신부 
2862호 2025. 3. 23.  무화과나무 한 그루와 나 file 한윤식 신부 
2861호 2025. 3. 16.  산 아래로 다시 내려와서 file 강지원 신부 
2860호 2025. 3. 9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file 장민호 신부 
2859호 2025. 3. 2  다 배우고 나면 내 눈 안에 들보가 있음을 알게 될까요? file 김동환 마티아 신부 
2858호 2025. 2. 23  ‘뭐, 인지상정 아니겠나...’ file 오종섭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