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84호 2012.10.21 
글쓴이 권순호 신부 

불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새 신자입니다. 불교에서 1년에 한 번 절에 가면 되는 데 천주교에서 왜 굳이 일주일에 한 번은 성당에 나오라고 하며 귀찮게 하는지요?

권순호 신부(남산성당 부주임) albkw93@hotmail.com

주일을 지키는 것은 창세기 1장에서 하느님께서 6일간 세상을 창조하셨고 7일째 되는 날에 쉬셨기에 우리도 7일째에 쉬어야 한다는 구약의 안식일 규정에서 유래합니다. 그런데 성경의 창조 이야기는 신앙을 표현한 상징적인 이야기이지 역사나 과학이 아니기에 글자 그대로 하느님이 6일간 창조하였다고 이해하지는 않습니다. 창조 이야기에는 당시 대부분 노동 계층이었던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일주일에 최소한 하루는 쉬어야 한다는 사목적 배려가 들어 있습니다. 주간 마지막 날인 토요일에 휴식을 취하는 안식일 규정을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부활이 이루어진 주간 첫날인 일요일에 휴식을 취하는 주일(주님의 날) 규정으로 바꾸어 지금껏 지키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주일에 한 번 집에 조용히 휴식을 취하면 되는데, 왜 굳이 성당에 나와야 하느냐면, 그것은 참된 휴식은 결국 모든 존재의 근원이신 하느님과 함께할 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주일에 최소한 한 번 성당에 와서 하느님과 그리고 신앙 공동체와 함께함으로써 삶은 거룩해지고, 참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유념할 것은 일주일에 한 번 성당에 나오라는 것은 회개의 삶을 살아가는 최소한의 규정이라는 것입니다. 세상 속에 살아가면 우리는 하느님의 가르침과 너무 다른 세속의 시류에 휩쓸려 하느님에게서 점점 멀어집니다. 주일 규정 덕분에 최소한 일주일에 한 번은 방향을 돌려 다시 하느님께 가는 것입니다. 그러다 신앙이 깊어지면 하느님께로 돌아서는 회개 행위를 일주일에 한 번이 아니라 매일 그리고 매 순간 하게 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36 2167호 2012.07.01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사후피임약처럼 논란이 되는 사회문제나, 교육과 관련된 문제에서 가치관이란 말이 자주 언급됨을 봅니다. 그렇다면 그리스도교의 가치관이 여타의 가치관과 다른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홍경완 신부  83
335 2168호 2012.07.08  저는 화가 치밀면 주체할 수 없어, 주위 사람들이 피해를 주게 되고, 나중에 후회하곤 합니다. 저의 분노를 다스릴 방법은 없을까요? 권순호 신부  160
334 2169호 2012.07.15  고해성사를 본지 너무 오래되었는데, 막상 보려니 부끄러워 고해소에 들어가지 못하겠습니다. 어떡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80
333 2170호 2012.07.22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 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119
332 2171호 2012.07.29  예전보다 생각이 많이 굳어버렸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경직된 사고는 옳은 판단을 저해하는 요소라고 생각되어 없애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53
331 2172호 2012.08.05  성경에 보면 보지 않고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성당에 오면 십자가나 성물에 예수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왜 예수님의 말씀과 달리 성당에서는 사람들에게 보여주면서 믿게 하려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권순호 신부  215
330 2173호 2012.08.12  제 친구가 성당에서 같은 신자들에게 상처를 받아서 더는 신자생활을 하지 않으려 합니다. 친구의 마음을 돌리고 싶은데, 뭐라고 말해 주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182
329 2174호 2012.08.15  우리 조상의 부엌 신, 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 성인이나 본당 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장재봉 신부  233
328 2176호 2012.08.26  대부분의 사람은 하느님이 보시기에 죄인이기 때문에 죽으면 연옥에서 벌을 받고 난 후에야 천국에 갈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하느님이 자비로운 분이시라면 우리를 굳이 무서운 연옥 벌을 받게 하지 않고 바로 천국으로 보내는 것이 더 맞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42
327 2177호 2012.09.02  손녀가 생후 22개월째에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그후 매일 위령기도를 바치고 있는데, 사람들이 어린이들은 하늘나라에서 천사가 되어 있을 건데 위령기도를 바친다는 것이 좀 그렇다고 합니다. 위령기도를 계속해서 바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다른 기도를 해야 하는지요? 홍성민 신부  243
326 2178호 2012.09.09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장재봉 신부  552
325 2179호 2012.09.16  동료로부터 가톨릭은 미사 전례를 비롯한 모든 기도가 지나치게 형식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는데, 제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아 대꾸조차 못했습니다. 홍경완 신부  169
324 2180호 2012.09.23  우리는 구원을 어떻게 얻을 수 있습니까? 좋은 일을 많이 하면 구원을 얻을 수 있습니까? 그런데 구원은 하느님의 선물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럼 착한 일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소용이 없는가요? 권순호 신부  155
323 2181호 2012.09.30  요즘 힘들어하는 저에게, 사람들은 기도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열심히 기도해도 제가 원하는 바가 이뤄진 경험은 없습니다. 기도하면 정말 들어주시나요? 홍성민 신부  105
322 2182호 2012.10.07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  157
321 2183호 2012.10.14  ‘성당 다니는 사람이 어쩌면 그럴 수 있니?’라며 실망하는 말을 주변에서 자주 듣습니다. 그럴 때마다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41
» 2184호 2012.10.21  불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새 신자입니다. 불교에서 1년에 한 번 절에 가면 되는 데 천주교에서 왜 굳이 일주일에 한 번은 성당에 나오라고 하며 귀찮게 하는지요? 권순호 신부  374
319 2185호 2012.10.28  인터넷으로 야한 동영상을 내려받아 보는 것이 습관이 되어 버렸습니다. 몇 번씩이나 저장된 파일을 다 지우고 다신 보지 않겠다고 다짐도 했지만, 다시 제자리입니다. 어떻게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491
318 2186호 2012.11.04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 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장재봉 신부  83
317 2187호 2012.11.11  도발적으로 물어봅니다. 이웃은 왜 사랑해야 하는 겁니까? ‘영원한 벌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며 미래로 떠넘기는 대답은 싫습니다. 홍경완 신부  100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