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궤틀의 추억

가톨릭부산 2016.02.03 10:16 조회 수 : 292

호수 2368호 2016.02.07 
글쓴이 김상진 요한 

장궤틀의 추억

김상진 요한 / 언론인 daedan57@hanmail.net

계.“전능하신 하느님과 형제들에게 고백하오니 생각과 말과 행위로 죄를 많이 지었으며 자주 의무를 소홀히 하였나이다.”

응. (가슴을 치며)“제 탓이요. 제 탓이요. 저의 큰 탓이옵니다.”

  옛날 미사 때는 남여 신자석이 구분돼 있었다. 요즈음도 시골 공소에 가면 남여 신자들이 자연스레 구분해 앉는 곳이 있다. 그 시절 모든 기도를 바칠 때 남여 신자들이 주송과 응송을 주고받으며 기도를 바쳤다. 그러다 보니‘고백기도’의 경우 시작하는 계 부분은 남자들이, 응 부분은 여자 신자들이 나눠서 바쳤다. 당연히 여자 신자들은 가슴을 치며“제 탓이요, 제 탓이요”만을 반복했다.
  어느 할머니가 신부님께 항의했다.“죄 짓는 것이 맨날 여자 탓이라고 가슴까지 쳐야 하는교. 계송과 응송을 바꿉시더.”신부님 답변이 재미있다.“인류의 원죄는 이브가 유혹에 넘어간데서 시작된 것이므로 모든 죄는 여자들 탓 아닌교. 못 바꿉니더.”

  고백기도를 두고 웃자고 지어낸 유머이지만, 옛날 성당 모습이 그립다. 계와 응송을 나눠서 하다 보면 서로 경쟁하듯이 기도 소리에 간절함이 배여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당연히 기도소리는 성당 밖까지 들렸다. 요즈음 미사 때는 신자들이 바치는 기도문을 정성껏 바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웅얼거리는 바람에 무슨 소리인지도 잘 들리지 않는다.

  그 다음으로는 사라진 장궤틀이다. 지금은 성당 맨 앞줄에만 장궤틀이 남아 있는 경우가 간혹 있다. 최근에 영세받은 신자들은 그것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발을 얹어 놓은 모습을 보면 가슴이 아프다.
  장궤(長?)는 몸을 똑바로 세운 채 오른쪽 무릎을 꿇거나 혹은 두 무릎을 대고 허리를 세운 채 꿇어앉는 일이다. 하느님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내는 자세로 아울러 겸손과 순종을 표현한다. 장궤틀 조차 없던 시절에는 마룻마닥에 무릎을 꿇었다. 어린 시절에는 미사를 마치면 무릎이 빨갛게 아팠던 기억이 난다.

  우리 본당에 아르헨티나 신자 한 명이 미사에 참례한다. 그분은 미사 때 우리가 일어서는 부분에서 는 거의 맨바닥에 무릎을 꿇고 장궤를 한다. 그 이유를 아르헨티나 성당 순례를 가서 알았다. 성당 모든 신자석에는 장궤틀이 있었다.

  간절한 기도 소리가 크게 들리고, 장궤틀에서 무릎 꿇고 겸손한 자세로 기도하는 신자들의 모습이 가득 찬 성당이 그립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15호 2024. 6. 2  천국에서 별처럼 빛나게 하소서 박서현 로사리아 
2814호 2024. 5. 26  하느님 사랑의 환대와 시노드적인 경청 이원용 신부 
2813호 2024. 5. 19  인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이영훈 신부 
2811호 2024. 5. 5  라파엘라, 교사가 되다 허수진 라파엘라 
2810호 2024. 4. 28  나를 찾아오신 때 최옥 마르타 
2809호 2024. 4. 21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61차 성소 주일 담화(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2808호 2024. 4. 14  “평화가 너희와 함께!” 하창식 프란치스코 
2807호 2024. 4. 7  나의 행복 리스트 한미현 에스텔 
2806호 2024. 3. 31  무덤을 허물고 일어나 탁은수 베드로 
2804호 2024. 3. 17  뿌리 찾기와 순교자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03호 2024. 3. 10  참 삶의 길 윤경일 아오스딩 
2802호 2024. 3. 3  나에게 새로운 삶을 주신 분 유효정 마리스텔라 
2801호 2024. 2. 25  일상 속 작은 실천 김도아 프란체스카 
2799호 2024. 2. 11  신비롭게 연결되어 있는 인간의 몸처럼 손주희 레지나 
2798호 2024. 2. 10  배우고, 배운 것을 버리고, 새로 배우자! 원성현 스테파노 
2796호 2024. 1. 28.  “없는 이에게 베푸는 일을 미루지 마라.”(집회 4,3) 조수선 안나 
2795호 2024. 1. 21  연중의 삶 속에서 강은희 헬레나 
2794호 2024. 1. 14  새 사제 모토 및 감사인사 file 가톨릭부산 
2793호 2024. 1. 7  일상 가운데 함께 계시는 하느님 박수현 가브리엘라 
2791호 2023. 12. 31  세상을 건강하게 하는 백신, 성가정 우세민 윤일요한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