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1998호 2009.06.21 
글쓴이 김운회 주교 



“형님들은 나에게 악을 꾸몄지만, 하느님께서는 그것을 선으로 바꾸셨습니다. 그것은 오늘 그분께서 이루신 것처럼, 큰 백성을 살리시려는 것이었습니다.”(창세 50, 20)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창세기에 보면 요셉은 자신을 이집트에 팔아넘긴 형제들을 보며 주체할 수 없는 미움에 사로잡혀 복수를 꿈꾸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요셉은 하느님의 공의를 생각하며 눈물로써 형제들을 용서합니다. 요셉은 용서를 통해서 악을 선으로 바꾸시는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낸 것입니다. 어렵고도 힘든 일이지만 이제 하느님의 권능과 영광을 통해서 남북 간의 갈등을 바라보아야 할 때입니다.

최근에 북한은 주변국을 위협할 수 있는 로켓을 발사하고 2차 핵실험을 실행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단지 남북 간의 갈등을 넘어서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해치는 행동입니다. 동족 간 전쟁의 참화로 지난 60년간 얼마나 아픈 시간을 보냈는지 잘 알고 있다면 무모한 핵개발을 통해 한반도의 위기 상황을 만들지 말아야 합니다. 북한은 군사력에 의존하는 권력을 선택하지 말고, 정치적 민주주의와 개방을 통한 경제발전, 그리고 시민의식의 성숙을 통한 사회발전을 통해서 창출되는 권력을 지향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때입니다.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는 우리의 책임도 있습니다. 지금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남북관계 경색의 책임을 놓고 ‘네 탓 공방’을 벌이고 있는가 하면, 북한당국의 태도 변화가 선행되지 않는 한 북한주민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 사회의 내적 의식이 ‘남과 북이 다르다’는 현실을 ‘북한은 잘못되어 있다’는 쪽으로 인식하는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과연 그들은 우리가 외면하거나 버리고 갈 수 있는 사람들인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또한 정부는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서 더욱 노력해야 합니다. 북한에서 일어나는 돌발적 상황에 대하여 진지한 고민과 정책 수렴 없이 내리는 결정은 자칫 남북관계에 커다란 어려움을 줄 수 있으리라 염려됩니다. 남북 간의 군사적 충돌로 인한 위기는 세계적 경제 위기에 비해 더 큰 어려움을 가져올 것입니다.

지난 부활절에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화해는 어려운 일이지만 세계안보와 미래 평화공존의 필수조건”이라며 전 세계 분쟁지역의 화해를 촉구하셨습니다. 교황님의 부활절 메시지는 북한의 2차 핵개발과 로켓발사를 계기로 긴장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한반도에도 절실한 말씀입니다.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 민족의 화해와 일치는 우리 사회, 그리고 우리 교회 안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우리 자신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그리스도의 사랑과 평화를 실천하는 일에 더욱 열심해야 합니다. 새터민들을 돌보고, 식량과 생필품과 의약품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민들에게 인도적인 지원을 계속하며, 군사적 충돌이 일어나지 않고, 평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계속 기도해야 합니다.

우리의 기도와 사랑의 실천은 언젠가 우리 민족의 화해와 일치에로 승화될 것입니다. 우리 함께 기도합시다. 민족의 화해와 일치는 우리 민족에게 매우 절실한 과제이기 때문입니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위원장 김운회 주교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89 2867호 2025. 4. 27.  [사회교리학교 주제강좌] 진단, 우리 사회의 극우화 정의평화위원회  3
388 2864호 2025. 4. 6.  제2회 청소년·청년문학상 문예 작품 공모전 부산가톨릭문인협회  6
387 2860호 2025. 3. 9  Alter Christus 복음적 사랑의 실천-부산 교구민과 함께 발전한 메리놀병원 75주년이 되다 김두진 신부  12
386 2859호 2025. 3. 2  부산가톨릭농아인선교회 ‘즐거움의 원천 쁘레시디움’ 2,000차 주회를 맞이하며 file 가톨릭부산  42
385 2858호 2025. 2. 23.  6R 탄소단식 숏츠 대회 file 가톨릭부산  14
384 2856호 2025. 2. 9.  똑똑!! 음악교육원이지요? 임석수 신부  7
383 2855호 2025. 2. 2  2년 동안 너무나 행복했던 신학원 생활들 김숙희 카타리나  12
382 2851호 2025. 1. 12  새 사제 모토 및 감사인사 file 가톨릭부산  31
381 2849호 2025. 1. 1  2025년 정기 희년과 전대사 수여에 관하여 file 천주교부산교구  16
380 2841호 2024. 11. 17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터(데레사여고, 부산성모여고, 지산고) file 가톨릭부산  119
379 2839호 2024. 11. 3  가톨릭 정신을 바탕에 둔 창의 인재 양성 대양고등학교 file 가톨릭부산  27
378 2834호 2024. 9. 29  <사회교리학교 주제강좌> “교부들과 사회교리-평화와 자선”에 초대합니다. file 정의평화위원회  41
377 2833호 2024. 9. 22  부산가톨릭대학교 미래설계융합학부 2025년도 신입생 모집 file 부산가톨릭대학교  66
376 2829호 2024. 9. 1  2024 천주교부산교구 “청소년, 청년 신앙체험수기 공모전” file 가톨릭부산  33
375 2824호 2024. 8. 4  음악공부는 간절함이 있어야... - 어느 야간과정 수강생의 고백 임석수 신부  14
374 2823호 2024. 7. 28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4차 세계 조부모와 노인의 날 담화(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10
373 2820호 2024. 7. 7  제1회 청소년·청년문학상 심사평 file 구옥순 베아따  14
372 2818호 2024. 6. 23  새로운 삶에 한걸음 가까이 file 오순절평화의마을  10
371 2814호 2024. 5. 26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1차 세계 어린이의 날 담화(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6
370 2813호 2024. 5. 19  인생의 ‘가치 무게’ 송현 신부  15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