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수 | 1989호 2009.04.19 |
|---|---|
| 글쓴이 | 박용수 요셉 |
하느님께서는 우리 인간들의 피부색과 얼굴 모양을 제각기 각각 다르게 만들어 놓았다. 특히, 사람 몸의 70∼80%는 무기질(물)로 형성되어 5%를 잃으면 혼수상태, 10∼12%가 몸에서 빠지면 생명을 잃게 만들어 놓았다. 우리 인간 생명은 물과 직결되기 때문에 물 없이 삶을 생각할 수 없고 또, 우리 인간들 뿐 아니라 이 지구상에 모든 생명체도 물 없이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을 우린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오늘날 발달된 의학 의술에서도 물(피)을 이용하여 몸 건강 검진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하느님께서 주신 '성수물' 역시 우리 인간들의 죄를 없애고 마귀를 쫓아 악한 생각을 없애주는 우리 인간들 나약함의 '성례물'이다.
그런데 요즘은 어떠한가? 우리가 살고있는 이 지구를 개발이라는 이유로 자연 환경을 무분별하게 파괴하고 자연을 훼손시키고 있다. 유엔(UN) '수자원개발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아시아 지역에서 물 부족 국가(2006년부터)로 분류되었다. 이제 우리의 물에 대한 인식도 좀 달라져야 하고 자연 환경을 지키고 아껴야 한다. 물을 물처럼 써서는 안 되는 것이다. 지금 곳곳에 기상 기온(온실가스과다배출, 온난화현상) 이상 변화로 각종 질병 뿐 아니라 자연 환경 파괴로 지구가 몸살을 앓고 물 부족으로 인하여 우리 인간들을 더 불안하고 있는 것이 우리 현실에 바로 다가온 것이 바로 30년만의 폭염과 35년만의 가뭄으로 우리 생활을 위협한 태백시와 남해 도서 지방의 물 부족 사태이다.
물은 생명수이다. 우리는 물 없이는 살아갈 수 없다. 게다가 우리 국민이 10%만 물을 아끼면 280억 원을 절약할 수 있다. 한번 잃어버린 지구 생태계는 다시 복원되기 어렵다. 이는 무엇으로도 보상받을 수 없으며 자연의 생태계가 허물어진 곳에는 새나 동식물도 살아갈 수 없으며 이런 황폐한 환경에서는 우리 인간도 살아갈 수없다. 다가오는 '세계 지구의 날'(4월22일)을 맞아 자연 환경을 지키고 지구를 살려야한다는 것을 우리 모두 명심해야 되겠다. (구포성당)
| 번호 | 호수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
| 22 | 1999호 2009.06.28 | 바오로 해 폐막에 즈음하여 | 선교사목국 | 54 |
| 21 | 1998호 2009.06.21 | 2009년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담화문(요약) | 김운회 주교 | 153 |
| 20 | 1996호 2009.06.14 | 민족화해위원회를 소개합니다. | 정호 신부 | 91 |
| 19 | 1995호 2009.05.31 | 故 김수환 추기경님 추모 음악회를 개최하며 | 임석수 신부 | 109 |
| 18 | 1993호 2009.05.17 | 선교는 사랑의 표현이고 사랑의 나눔이다 | 전동기 신부 | 111 |
| 17 | 1991호 2009.05.03 | 제46차 성소주일 교황 담화문(요약) | 주보편집실 | 45 |
| » | 1989호 2009.04.19 | 물은 우리의 '생명수' | 박용수 요셉 | 41 |
| 15 | 1987호 2009.04.05 | 대학 캠퍼스 신앙의 요람인 가톨릭 학생회 | 강헌철 신부 | 104 |
| 14 | 1986호 2009.03.29 | '어떻게' 살아야 할까? | 이부현 바오로 교수 | 108 |
| 13 | 1985호 2009.03.22 | 당신의 사랑이 필요합니다! | 메리놀병원 원목실 | 84 |
| 12 | 1983호 2009.03.08 | 하늘이 내려 주신 동아줄 | 이경자 크리스티나 | 47 |
| 11 | 1982호 2009.03.01 | 가톨릭센터를 아시지요 | 임석수 신부 | 160 |
| 10 | 1981호 2009.02.22 |
김수환 추기경 선종 특집
| 주보편집실 | 22 |
| 9 | 1979호 2009.02.08 | 그들의 친구가 되어 | 김종애 데레사 | 51 |
| 8 | 1978호 2009.02.01 | '바오로의 해’ 전대사 | 주보편집실 | 203 |
| 7 | 1977호 2009.01.25 | 설 차례 예식 | 주보편집실 | 154 |
| 6 | 1974호 2009.01.04 | 너무 늦은 후회 | 이성일 로렌죠 | 49 |
| 5 | 1970호 2008.12.21 | 2008 새사제 서품 모토 | 주보편집실 | 290 |
| 4 | 1969호 2008.12.14 | 교회 유지비(교무금, 주일헌금)에 대하여 | 주보편집실 | 228 |
| 3 | 1967호 2008.11.30 | 언어치료를 통한 주님 사랑의 실천! | 언어치료실 | 1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