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느님의 종 (servus dol)
교구에서 교황청에 문의한 결과 장애없음을 통지받게 되면 사용할 수 있는 호칭입니다
하느님의 종이되면 그때부터 해당교구는 본격적인 시복 시성을 위한 자료 수집과 기도에 들어갑니다
2) 가경자 (venea ble)
하느님의 종이 교황청 시성부의 심사를 거쳐 성덕이 뛰어나다고 인정되면 가경자가 됩니다
가경자는 공적인 경배는 허용되지 않지만 그분의 성덕이 교황청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단계입니다
3) 복자 (Beatus/Beata)
가경자가 교황청을 통해 공식적으로 그 성덕을 인정 받게 되면 그 다음으로 하느님의 인정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기적심사 입니다 문론 예외도 있습니다
그 대상자가 순교자 일 경우 기적 심사가 면제 됩니다 이미 순교로서 증명을 했기 때문입니다
복자가 되면 지역 안에서 공경할 수 있습니다
4) 성인 (senctus)
복자로 선언된 후 추가적인 기적이 인정되면 교황은 그 사람을 성인으로 선언합니다
성인은 전 세계적으로 공경 받을 수 있으며 성인의 축일이 지정됩니다
현제 우리나라의 복자와 성인은 모두 순교자입니다..
교구에서 교황청에 문의한 결과 장애없음을 통지받게 되면 사용할 수 있는 호칭입니다
하느님의 종이되면 그때부터 해당교구는 본격적인 시복 시성을 위한 자료 수집과 기도에 들어갑니다
2) 가경자 (venea ble)
하느님의 종이 교황청 시성부의 심사를 거쳐 성덕이 뛰어나다고 인정되면 가경자가 됩니다
가경자는 공적인 경배는 허용되지 않지만 그분의 성덕이 교황청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단계입니다
3) 복자 (Beatus/Beata)
가경자가 교황청을 통해 공식적으로 그 성덕을 인정 받게 되면 그 다음으로 하느님의 인정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기적심사 입니다 문론 예외도 있습니다
그 대상자가 순교자 일 경우 기적 심사가 면제 됩니다 이미 순교로서 증명을 했기 때문입니다
복자가 되면 지역 안에서 공경할 수 있습니다
4) 성인 (senctus)
복자로 선언된 후 추가적인 기적이 인정되면 교황은 그 사람을 성인으로 선언합니다
성인은 전 세계적으로 공경 받을 수 있으며 성인의 축일이 지정됩니다
현제 우리나라의 복자와 성인은 모두 순교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