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과 하나님의 차이
하느님은 우리 말로는 하늘. 한자로는 천의 존칭어 인데.
끝없이 펼쳐진 높은 창공이 절대자를 상징하는 것은 인류 종교현상 속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표현입니다.
그런데 천주교에서는 `하느님`이라 하고. 프로테스탄트에서는 `하나님`이라고 합니다
원래 천주교에서는 `천주님`이라는 말을 써 왔는데.
1971년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 학자들이 성서 공동번역을 계기로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이신 야훼를 `하느님`이라고 부르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한국 고유 신앙의 핵심을 이루는 하느님 신앙을 수용하자는 뜻에서였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개신교에서 이 합의를 거부하고 ,`하나님`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천주교나 불교가 우상을 숭배한다고 오해하고 자신들은 다신교가 아니라
유일신임을 강조하기 위해 `하나님`이라고 부른다 해서 하늘 그 자체를 가르키는 것은 아닙니다.
애국가에서 보듯이 `하느님`은 절대자를 가르키는 우리말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름이 무엇이든. 그 본질은 변함이 없는 것입니다.
이름은 사람들이 알아듣기 위해 붙인 것이니까요 .^^
하느님은 우리 말로는 하늘. 한자로는 천의 존칭어 인데.
끝없이 펼쳐진 높은 창공이 절대자를 상징하는 것은 인류 종교현상 속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표현입니다.
그런데 천주교에서는 `하느님`이라 하고. 프로테스탄트에서는 `하나님`이라고 합니다
원래 천주교에서는 `천주님`이라는 말을 써 왔는데.
1971년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 학자들이 성서 공동번역을 계기로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이신 야훼를 `하느님`이라고 부르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한국 고유 신앙의 핵심을 이루는 하느님 신앙을 수용하자는 뜻에서였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개신교에서 이 합의를 거부하고 ,`하나님`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천주교나 불교가 우상을 숭배한다고 오해하고 자신들은 다신교가 아니라
유일신임을 강조하기 위해 `하나님`이라고 부른다 해서 하늘 그 자체를 가르키는 것은 아닙니다.
애국가에서 보듯이 `하느님`은 절대자를 가르키는 우리말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름이 무엇이든. 그 본질은 변함이 없는 것입니다.
이름은 사람들이 알아듣기 위해 붙인 것이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