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가톨릭부산 2025.08.20 10:44 조회 수 : 5

호수 2885호 2025. 8. 24 
글쓴이 탁은수 베드로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광안성당 · 언론인

   96살의 마리아 할머니. 얼마 전 본당에서 세례를 받으셨습니다. 죄 없는 영혼으로 다시 태어난 날, 할머니의 미소에는 아흔 인생을 감싸 안는 신앙의 순수함이 꼿꼿이 드러났습니다. 어르신 한 분의 연륜은 백과사전 한 권의 지혜라는데 90이 넘는 인생길의 마리아 할머니가 하느님 품을 찾아 온 계기가 무엇인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아이 하나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나서야 한다고 했던가요. 마리아 할머니의 입교에는 본당 공동체의 갖은 노력이 있었습니다. 수녀님은 집으로 찾아가 곳곳에 기도문을 크게 써 놓고 교리를 가르쳤습니다. 스무 살 가까이 어린 대모님은 지금도 알뜰히 할머니를 보살핍니다. 구역분과, 선교분과 등 본당 공동체의 도움이 모여 신앙의 어린 영혼을 하느님께 인도했습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말이 있습니다만 본당이야말로 유아세례부터 장례 미사까지 신앙의 모든 일상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본당의 그리스어 paroikia는 ‘함께 머물다’는 뜻을 지녔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본당은 하느님의 백성들이 함께 지내며 하느님을 증거하고 사랑을 실천하는 신앙의 근거지입니다. 또 교회와 사회가 만나는 사목의 제일선이기도 합니다. 세상은 자본과 경쟁의 논리로 운영되지만 본당 공동체는 사랑과 용서로 움직입니다. 세상이 각박하고 상처받는 사람이 많을수록 위로와 배려로 뭉친 본당 공동체의 역할은 늘어납니다. “찬미 예수님!”이라는 인사에는 내 안의 계신 성령께서 상대방에 계신 성령께 인사하는 깊은 뜻이 담겨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내 옆의 교우야말로 성령의 일치를 이루는 신앙 여정의 동반자요 복음전파의 사명을 같이 하는 동지들입니다.

   
몇 해 전 코로나 때 우리는 성당의 문을 걸어 잠그는 유례없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많은 것이 달라진 세상에서 교회는 위로와 희망의 공동체를 재건하기 위해 깊은 고민을 해 왔습니다. 그리고 성장하는 교회를 위해  청소년, 청년의 해를 선포하고 젊은 교회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젊음은 세월이나 나이가 아니라 ‘나에 대한 강렬한 발견의 시간’을 특징으로 합니다. 성당 건물이야 세월의 흔적이 쌓이겠지만 본당 구성원들이 사랑의 성장을 꿈꾸는 열정과 희망으로 산다면 그 본당은 영원히 젊은 교회일 겁니다. 늙지 않는 사랑과 희망은 신앙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특히 한국교회는 2027년 8월 세계청년대회를 앞두고 있습니다. 전 세계 청년들에게 ‘세상을 이길 그리스도의 용기’를 전해줄 것입니다. 또 레오 교황 성하께서 한국을 방문해 8월의 크리스마스가 한  번 더 이 땅에 재현될 예정입니다. 열정적인 기도와 봉사로 이 대회를 준비하는 한국교회는 사랑의 성장이라는 젊음의 기회를 가졌으니 이 또한 지극한 은총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2876호 2025. 6. 29  주님 사랑 글 잔치 김임순 안젤라 
2875호 2025. 6. 22  “당신은 내 빵의 밀알입니다.” 강은희 헬레나 
2874호 2025. 6. 15  할머니를 기다리던 어린아이처럼 박선정 헬레나 
2873호 2025. 6. 8  직반인의 삶 류영수 요셉 
2872호 2025. 6. 1.  P하지 말고, 죄다 R리자 원성현 스테파노 
2871호 2025. 5. 25.  함께하는 기쁨 이원용 신부 
2870호 2025. 5. 18.  사람이 왔다. 김도아 프란치스카 
2869호 2025. 5. 11.  성소의 완성 손한경 소벽 수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