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우순교자성지

가톨릭부산 2025.06.25 10:27 조회 수 : 1

호수 2876호 2025. 6. 29 
글쓴이 박혁 신부 

김범우순교자성지

 
박혁 신부
김범우순교자 성지사목

   
   “우와, 여기 이런 데가 있었네.”
   “미사는 매일 합니까?”
   “공기가 너무 좋습니다.”
   “밤에 안 무섭습니까?”
   “피정도 합니까?”
   “식사는 어떻게 됩니까?”
   “버스는 갈 수 있습니까?”

   처음 방문했다는 순례객, 무엇이 궁금한 순례객 분들이 많습니다. 또 성지순례 책자에 도장을 찍으러 오시는 분, 여러 번 방문하신다는 분, 아예 고정적으로 봉사 오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주교님께서 몇 년 전에 인사발령을 내실 때 농담 반, 진담 반으로(?) “김범우 순교자가 시복 될 때까지 산에서 내려올 생각 마라.” 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사실 김범우 순교자는 조선에서 천주교 신자라는 이유로 처음으로 박해를 받은 분이십니다. 비록 형장에서 순교의 칼을 받은 분은 아니지만, 고문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귀양지에서 돌아가시기까지(장하치명) 모든 것을 하느님께 바치신 분이십니다.

   
김범우의 집터는 모든 분들이 잘 아는 명동성당입니다. 조선 제7대 교구장 블랑 주교님이 명례방 김범우의 집터와 그 일대를 사들여 그곳에 최초의 고딕 양식의 대성당을 지었습니다. 김범우가 살던 명례방의 집이 최초의 예배 장소이고 그곳에 최초의 성당이 세워진 것에 역사적 의의가 있습니다.

   
1785년 3월 이벽, 이승훈, 정약용 등 명례방 집에서 주일 행사(?)를 하던 중 추조(형조)에 적발되어 모두 체포되었으나 양반들은 모두 방면되고, 중인 신분으로 장소를 제공한 김범우만 문초를 받고 귀양가게 되었습니다. 이를 을사추조적발 사건이라고 합니다. 1984년 한국 천주교 200주년 기념사업으로 신앙의 선조들을 찾는 과정에서 김범우 후손들의 증언과 후손들이 가지고 있던, 오늘날 주민등록에 해당하는 ‘호구단자’의 기록에 따라 현재 김범우의 후손들이 밀양에 살았으며 조상의 묘가 밀양 삼랑진 용전마을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 부산교구 교회사연구소에서는 묘를 발굴하고 법의학 감정에 따라 김범우의 묘로 비정(比定)하였습니다.

   김범우 순교자는 한국 천주교회의 창립자 가운데 한분으로, 최초로 예배 장소를 제공하였고 신앙을 굽히지 않았으며, 모든 것을 잃었으나 역설적으로 모든 것을 얻은 분입니다. 우리 선조 순교자들은 오직 한 분, 하느님만을 원했고 하느님을 얻었습니다. 하느님만이 모든 것이니 우리도 그들을 힘껏 따라갑시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876호 2025. 6. 29  김범우순교자성지 박혁 신부  1
393 2875호 2025. 6. 22  대양고등학교 현장에서 피어나는 복음의 불빛 이양수 엘리사벳  27
392 2872호 2025. 6. 1.  오륜대 순교자 성지 교구 역사관 건립을 앞두고 손삼석 주교  20
391 2870호 2025. 5. 18.  레오 14세 교황 약력 file 가톨릭부산  33
390 2868호 2025. 5. 4.  발달장애인선교회 모임을 소개합니다! file 발달장애인선교회  24
389 2867호 2025. 4. 27.  [사회교리학교 주제강좌] 진단, 우리 사회의 극우화 정의평화위원회  27
388 2864호 2025. 4. 6.  제2회 청소년·청년문학상 문예 작품 공모전 부산가톨릭문인협회  31
387 2860호 2025. 3. 9  Alter Christus 복음적 사랑의 실천-부산 교구민과 함께 발전한 메리놀병원 75주년이 되다 김두진 신부  20
386 2859호 2025. 3. 2  부산가톨릭농아인선교회 ‘즐거움의 원천 쁘레시디움’ 2,000차 주회를 맞이하며 file 가톨릭부산  67
385 2858호 2025. 2. 23.  6R 탄소단식 숏츠 대회 file 가톨릭부산  18
384 2856호 2025. 2. 9.  똑똑!! 음악교육원이지요? 임석수 신부  13
383 2855호 2025. 2. 2  2년 동안 너무나 행복했던 신학원 생활들 김숙희 카타리나  17
382 2851호 2025. 1. 12  새 사제 모토 및 감사인사 file 가톨릭부산  39
381 2849호 2025. 1. 1  2025년 정기 희년과 전대사 수여에 관하여 file 천주교부산교구  19
380 2841호 2024. 11. 17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터(데레사여고, 부산성모여고, 지산고) file 가톨릭부산  135
379 2839호 2024. 11. 3  가톨릭 정신을 바탕에 둔 창의 인재 양성 대양고등학교 file 가톨릭부산  32
378 2834호 2024. 9. 29  <사회교리학교 주제강좌> “교부들과 사회교리-평화와 자선”에 초대합니다. file 정의평화위원회  48
377 2833호 2024. 9. 22  부산가톨릭대학교 미래설계융합학부 2025년도 신입생 모집 file 부산가톨릭대학교  74
376 2829호 2024. 9. 1  2024 천주교부산교구 “청소년, 청년 신앙체험수기 공모전” file 가톨릭부산  36
375 2824호 2024. 8. 4  음악공부는 간절함이 있어야... - 어느 야간과정 수강생의 고백 임석수 신부  18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