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862호 2025. 3. 23. 
글쓴이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현세의 복음적 삶, 내세의 영원한 삶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온천성당 · 교구 순교자현양위원회
 
   몇 년 전부터 17세기 중국에 파견된 예수회 선교사 알폰소 바뇨니(1568-1640)가 저술한 한문서학서 『사말론四末論』을 번역하고 있다. 한문서학서는 명나라 말부터 서양선교사들이 중국에서 전교활동을 전개하면서 천주교 교리와 서양 문명에 관한 지식을 담아 한문으로 저술한 책이다. 이러한 한문서학서들이 조선에 전래되었고, 우리 신앙 선조들은 이들 서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천주교를 이해하고 신앙에까지 이르게 되어 한국천주교회 설립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사말론은 천주교의 사말 교리를 적어 놓은 것이다. 요리문답으로 교리를 배운 옛 신자들은 ‘사말’이라는 용어가 익숙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아마도 생소할 것이다. 사말은 사람이면 누구나 피할 수 없는 네 가지의 마지막 문제인 ‘죽음’, ‘심판’, ‘지옥’, ‘천국’을 말한다. 사람들은 누구나 예외 없이 죽음을 맞이하고, 사후에 자신이 살아온 삶에 대한 심판을 받아야 하며, 상선벌악(賞善罰惡)에 따라 선하게 산 사람은 천국으로 가고 악하게 산 사람은 지옥으로 간다는 교리이다.
 
   이러한 사말교리는 박해시대를 살아간 한국천주교회 설립 초기의 신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잘 알고 있듯이 조선에 천주교가 수용된 이후 100여 년간 박해가 이어져 수많은 신자들이 죽임을 당했다. 순교자들은 형장으로 끌려 나갈 때 밝은 마음으로 ‘가세 가세 천당가세.’라든지 ‘지금 죽으면 바로 천당 간다.’라는 말로 서로를 격려하였다고 한다. 사말교리와 가르침으로 신심을 다지고 순교 영성을 키운 이들이었기에 죽음 앞에서도 당당하게 신앙을 증거할 수 있었다.
 
   사말은 죽음에 대한 천주교 교리를 논의하지만, 역설적으로 내세의 행복과 평안을 염두에 두고 현재의 삶을 선하게 살아야 하는 것을 일러준다. 천주교 신자들의 죽음을 선종(善終)이라고 표현한다. 이 말 역시 『선생복종정로善生福終正路』라는 한문서학서에서 유래한 것이다. 살아 있을 때 착하게 살다가 복된 죽음을 맞이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우리가 사말을 자주 묵상할 수 있다면 ‘선종’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모든 언행에서 너의 마지막 때를 생각하여라. 그러면 결코 죄를 짓지 않으리라.”(집회 7,36)는 성경 말씀이 새삼 가슴에 와 닿는 사순 시기이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65호 2025. 4. 13.  다시 오실 주님을 기다리며 안덕자 베네딕다 
2864호 2025. 4. 6.  최고의 유산 양소영 마리아 
2863호 2025. 3. 30.  무리요의 붓끝에서 피어나는 자비의 노래 박시현 가브리엘라 
2862호 2025. 3. 23.  현세의 복음적 삶, 내세의 영원한 삶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61호 2025. 3. 16.  ‘생태적 삶의 양식’으로 돌아가는 ‘희망의 순례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60호 2025. 3. 9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2025년 사순 시기 담화 프란치스코 교황 
2859호 2025. 3. 2  ‘나’ & ‘우리 함께 together’ 김민순 마리안나 
2858호 2025. 2. 23.  예수님 깨우기 탁은수 베드로 
2857호 2025. 2. 16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으니 너는 나의 것이다.”(이사 43,1) 최경련 소화데레사 
2856호 2025. 2. 9.  우리는 낙심하지 않습니다. 안경숙 마리엠마 수녀 
2855호 2025. 2. 2  2025년 축성 생활의 날 담화 유덕현 야고보 아빠스 
2854호 2025. 1. 29  이 겨울의 시간 윤미순 데레사 
2853호 2025. 1. 26  우리가 사랑할 때 윤경일 아오스딩 
2852호 2025. 1. 19  2027 세계청년대회 WYD가 시작되었습니다! file 한미현 에스텔 
2851호 2025. 1. 12  우리와 같으신 그분 강은희 헬레나 
2850호 2025. 1. 5  새 마음, 새 각오 원성현 스테파노 
2848호 2024. 12. 29  우리 가정에 예수님 모시기 이준혁 사무엘 & 강선희 루치아 
2846호 2024. 12. 22  들음의 성모님을 만나다 오지영 젬마 
2845호 2024. 12. 15  나의 신앙 일지 서현우 요셉 
2844호 2024. 12. 8  “그 누구도 죽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이영훈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