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상대적이지 않다.

가톨릭부산 2025.02.12 09:40 조회 수 : 16

호수 2857호 2025. 2. 16 
글쓴이 원정학 신부 

행복은 상대적이지 않다.

 
원정학 바오로 신부
주례성당 주임

 
   우리는 보통 그가 잘사는 것을 보고, 건강하고 잘 먹는 것을 보고, 웃는 것을 보고 행복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와 반대로 그가 형편이 어렵고, 잘 챙겨 먹는 것도 병원 치료를 제대로 받는 것도 할 수 없기 때문에 속상해 우는 것을 보면 안타깝고 불행하다고 여깁니다.
 
   사실 여러 물질적·물리적 제약 때문에 작은 것 하나도 제대로 못 할 때 힘들고 고통스러울 것입니다. 그런 상황 속에서 ‘난 행복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안타깝고 가난한 삶에서 벗어나 편안하고 행복한 삶을 살고자 애를 씁니다. 자녀들에게 가난을 주지 않으려 좋은 것을 배불리 먹이고, 능력 있는 아이로 키워 사회에 나가서도 넉넉한 삶을 살도록 교육에 특별히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마치 행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자리를 잡습니다. 가난이 싫습니다. 가난으로 제대로 먹지 못하고, 굶주림에 고통받기보다는 세상을 살지 않는 것이 더 낫고, 가난 속에서 행복은 찾을 수 없다고 가난한 자신의 처지를 원망합니다.
 
   하지만 이들에게 예수님은 그런 너희가 ‘행복하여라’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그날에 ‘하느님의 나라’가 너희의 차지가 될 것이고, 배부르며, 웃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하십니다. 이는 복음서 곳곳에서 드러나는 반전의 이야기와 연관성이 있습니다. 그날에 양과 염소를 나누고 하느님 나라와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로 태워지는 곳으로 간다는 이야기(마태 25,31-46 참조), 부자와 굶주린 나자로의 이야기(루카 16,19-31 참조) 등 세상에서의 삶과 지위가 하느님의 나라에서는 다르다는 반전의 이야기들은 마치 지금 가난하게 살면 부자가 되고, 세상에서 부유하고 모든 것을 다 누리는 이들은 잃을 것이라는 내용으로 비추어 집니다.
 
   그러나 진심으로 예수님께서 하시고 싶었던 이야기는 ‘가난하게, 굶주리며, 울면서 살아라’가 아니라 기준도 없고, 끝도 없는 욕망의 물질적 추구보다는 마음이 부자인 사람으로, 자신의 배를 채우는 것을 우선으로 하기보다는 가난한 이들을 돌아보며 나누고, 이웃에게 양보함으로써 자신의 배고픔마저도 기쁨으로 바꾸고, 고통에 함께 슬퍼하면서도 서로 위로하고 함께 나아감으로 슬픔을 희망과 더 나은 기쁨으로 바꾸는 것이 ‘참 행복의 길’이 라는 것입니다. 이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세상 창조의 목적이며 상대적이지 않고, 사라지거나 끊어지지 않는 영원성을 지닌다고 봅니다. 부유함과 배부름, 웃음은 그 자체가 행복이 아니며, 자신도 모르게 끊임없는 갈망의 늪에 빠지게 되는 위험이니까요!
호수 제목 글쓴이
2857호 2025. 2. 16  행복은 상대적이지 않다. file 원정학 신부 
2856호 2025. 2. 9.  “그러나 스승님의 말씀대로 제가 그물을 치겠습니다.” file 신기현 신부 
2855호 2025. 2. 2  참된 봉헌은 자기비움 입니다. file 장훈철 신부 
2854호 2025. 1. 29  깨어 있음 박근범 신부 
2853호 2025. 1. 26  진실의 시선 file 박근범 신부 
2852호 2025. 1. 19  정화를 통한 축복 file 고원일 신부 
2851호 2025. 1. 12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file 박갑조 신부 
2850호 2025. 1. 5  “엎드려 경배하였다.” 노우재 신부 
2849호 2025. 1. 1  한 해를 시작하며... file 최재현 신부 
2848호 2024. 12. 29  모든 가정에 축복이 가득하기를 최재현 신부 
2847호 2024. 12. 25  예수님의 성탄 선물은 바로 ‘희망’입니다. file 손삼석 주교 
2846호 2024. 12. 22  행복하십니다.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짐을 믿는 여러분! file 곽용승 신부 
2845호 2024. 12. 15  저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file 이동화 신부 
2844호 2024. 12. 8  하느님을 향한 삶의 방향 전환 file 강헌철 신부 
2843호 2024. 12. 1  늘 깨어 기도하고 하느님의 선하심을 실천합시다. file 강병규 신부 
2842호 2024. 11. 24  “내가 임금이라고 네가 말하고 있다.” file 신동원 신부 
2841호 2024. 11. 17  지금, 여기에서 file 도정호 신부 
2840호 2024. 11. 10  “잘 사는 것”은 무엇을 말함인가? file 이세형 신부 
2839호 2024. 11. 3  사랑의 착각 file 신진수 신부 
2838호 2024. 10. 27  주님, 제가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file 오용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