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상대적이지 않다.

가톨릭부산 2025.02.12 09:40 조회 수 : 18

호수 2857호 2025. 2. 16 
글쓴이 원정학 신부 

행복은 상대적이지 않다.

 
원정학 바오로 신부
주례성당 주임

 
   우리는 보통 그가 잘사는 것을 보고, 건강하고 잘 먹는 것을 보고, 웃는 것을 보고 행복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와 반대로 그가 형편이 어렵고, 잘 챙겨 먹는 것도 병원 치료를 제대로 받는 것도 할 수 없기 때문에 속상해 우는 것을 보면 안타깝고 불행하다고 여깁니다.
 
   사실 여러 물질적·물리적 제약 때문에 작은 것 하나도 제대로 못 할 때 힘들고 고통스러울 것입니다. 그런 상황 속에서 ‘난 행복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안타깝고 가난한 삶에서 벗어나 편안하고 행복한 삶을 살고자 애를 씁니다. 자녀들에게 가난을 주지 않으려 좋은 것을 배불리 먹이고, 능력 있는 아이로 키워 사회에 나가서도 넉넉한 삶을 살도록 교육에 특별히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마치 행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자리를 잡습니다. 가난이 싫습니다. 가난으로 제대로 먹지 못하고, 굶주림에 고통받기보다는 세상을 살지 않는 것이 더 낫고, 가난 속에서 행복은 찾을 수 없다고 가난한 자신의 처지를 원망합니다.
 
   하지만 이들에게 예수님은 그런 너희가 ‘행복하여라’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그날에 ‘하느님의 나라’가 너희의 차지가 될 것이고, 배부르며, 웃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하십니다. 이는 복음서 곳곳에서 드러나는 반전의 이야기와 연관성이 있습니다. 그날에 양과 염소를 나누고 하느님 나라와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로 태워지는 곳으로 간다는 이야기(마태 25,31-46 참조), 부자와 굶주린 나자로의 이야기(루카 16,19-31 참조) 등 세상에서의 삶과 지위가 하느님의 나라에서는 다르다는 반전의 이야기들은 마치 지금 가난하게 살면 부자가 되고, 세상에서 부유하고 모든 것을 다 누리는 이들은 잃을 것이라는 내용으로 비추어 집니다.
 
   그러나 진심으로 예수님께서 하시고 싶었던 이야기는 ‘가난하게, 굶주리며, 울면서 살아라’가 아니라 기준도 없고, 끝도 없는 욕망의 물질적 추구보다는 마음이 부자인 사람으로, 자신의 배를 채우는 것을 우선으로 하기보다는 가난한 이들을 돌아보며 나누고, 이웃에게 양보함으로써 자신의 배고픔마저도 기쁨으로 바꾸고, 고통에 함께 슬퍼하면서도 서로 위로하고 함께 나아감으로 슬픔을 희망과 더 나은 기쁨으로 바꾸는 것이 ‘참 행복의 길’이 라는 것입니다. 이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세상 창조의 목적이며 상대적이지 않고, 사라지거나 끊어지지 않는 영원성을 지닌다고 봅니다. 부유함과 배부름, 웃음은 그 자체가 행복이 아니며, 자신도 모르게 끊임없는 갈망의 늪에 빠지게 되는 위험이니까요!
호수 제목 글쓴이
2888호 2025. 9. 14  나를 죽이고 십자가를 지는 삶 file 박재범 신부 
2887호 2025. 9. 7  더 크게 사랑하기 위해서는? file 이재원 신부 
2886호 2025. 8. 31  행복을 선택하는 삶 file 박호준 신부 
2885호 2025. 8. 24  ‘좁은 문’ file 이영훈 신부 
2884호 2025. 8. 17  사랑의 불, 진리의 불 file 이영창 신부 
2883호 2025. 8. 15  마리아의 노래-신앙인의 노래! 김대성 신부 
2882호 2025. 8. 10  그리움, 기다림, 그리고 깨어있는 행복! file 김대성 신부 
2881호 2025. 8. 3  “만족하십시오.” file 이재혁 신부 
2880호 2025. 7. 27  “노인(老人)=성인(聖人)” file 정호 신부 
2879호 2025. 7. 20  마르타+마리아=참으로 좋은 몫 file 이균태 신부 
2878호 2025. 7. 13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file 계만수 신부 
2877호 2025. 7. 6  말씀 전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 file 정상천 신부 
2876호 2025. 6. 29  흔들린 고백 file 천경훈 신부 
2875호 2025. 6. 22  새 계약 file 신문갑 신부 
2874호 2025. 6. 15  하느님의 얼굴 file 조영만 신부 
2873호 2025. 6. 8  보호자시여, 저희의 닫힌 문을 열어주소서! file 권동국 신부 
2872호 2025. 6. 1.  승천하신 예수님, 저희도 하늘로 올려 주소서 file 이상일 신부 
2871호 2025. 5. 25.  “너희가 나를 사랑한다면 내가 아버지께 가는 것을 기뻐할 것이다.” file 맹진학 신부 
2870호 2025. 5. 18.  예수님처럼 사랑하기 file 권동성 신부 
2869호 2025. 5. 11.  내 인생의 밑그림을 그리신 하느님! file 박규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