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어 있음

가톨릭부산 2025.01.27 10:17 조회 수 : 18

호수 2854호 2025. 1. 29 
글쓴이 박근범 신부 
깨어 있음

 
박근범 레오 신부
도시빈민사목

 
   매 순간 깨어 있음은 참된 삶을 향해 나아갑니다. 우리는 자신이 무슨 생각을 하고 무엇을 하며 사는지 자각하지 못하면 불행하게 됩니다. 깨어 있는 사람만이 제대로 살 수 있으며, 자기 분수를 헤아려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깨어 있다는 사실은 사물을 객관적으로 보고 내 마음에서 일어나는 감정에 대해 알아차리는 것입니다.
 
   기도가 목표하는 바는 궁극적으로 깨어 있는 삶을 살기 위함입니다. 오늘 복음의 핵심 역시 ‘깨어 있어라’입니다. “너희는 허리에 띠를 매고 등불을 켜 놓고 있어라.”(루카 12,35) 늘 준비하고 깨어 있는 삶의 자세는 그리스도 신앙인이 지녀야 하는 덕목입니다. 깨어 있음은 언제나 새로움을 줍니다. 깨어 있음의 중심에는 주님께서 계십니다. 하느님의 현존은 깨어 있음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모든 문제는 깨어 있지 못함에서 기인합니다.
 
   자신의 삶의 자리에서 깨어 있는 이들이 살아 있는 사람이라고 여기지 않겠습니까. 깨어 있지 않으면 쉽게 악의 유혹에 빠집니다. 막연하게 잠을 안 자고 참고 견디는 것이 아니라, 변함없이 주님을 사랑하는 마음을 지니고 작은 일에도 충실히 살아갈 때 비로소 깨어 있지 않을까요? “행복하여라, 주인이 와서 볼 때에 깨어 있는 종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그 주인은 띠를 매고 그들을 식탁에 앉게 한 다음, 그들 곁으로 가서 시중을 들 것이다. 주인이 밤중에 오든 새벽에 오든 종들의 그러한 모습을 보게 되면, 그 종들은 행복하다!”(루카 12,37-38) 깨어 기다리는 우리의 기도 속에 주님께서 함께 하신다는 현실이 얼마나 기쁩니까? 주님을 기다리는 깨어 있음의 행복을 잊지 않았으면 합니다.
 
   우리가 왜 깨어 있는 삶이 필요한지 제2독서 야고보 서간에서 뚜렷이 배울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내일 일을 알지 못합니다. 여러분의 생명이 무엇입니까? 여러분은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져 버리는 한 줄기 연기일 따름입니다.”(야고 4,14)
 
   올 한 해 하느님의 은총과 진리로 깨어 있는 삶을 살아가시기를 기원합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57호 2025. 2. 16  행복은 상대적이지 않다. file 원정학 신부 
2856호 2025. 2. 9.  “그러나 스승님의 말씀대로 제가 그물을 치겠습니다.” file 신기현 신부 
2855호 2025. 2. 2  참된 봉헌은 자기비움 입니다. file 장훈철 신부 
2854호 2025. 1. 29  깨어 있음 박근범 신부 
2853호 2025. 1. 26  진실의 시선 file 박근범 신부 
2852호 2025. 1. 19  정화를 통한 축복 file 고원일 신부 
2851호 2025. 1. 12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file 박갑조 신부 
2850호 2025. 1. 5  “엎드려 경배하였다.” 노우재 신부 
2849호 2025. 1. 1  한 해를 시작하며... file 최재현 신부 
2848호 2024. 12. 29  모든 가정에 축복이 가득하기를 최재현 신부 
2847호 2024. 12. 25  예수님의 성탄 선물은 바로 ‘희망’입니다. file 손삼석 주교 
2846호 2024. 12. 22  행복하십니다.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짐을 믿는 여러분! file 곽용승 신부 
2845호 2024. 12. 15  저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file 이동화 신부 
2844호 2024. 12. 8  하느님을 향한 삶의 방향 전환 file 강헌철 신부 
2843호 2024. 12. 1  늘 깨어 기도하고 하느님의 선하심을 실천합시다. file 강병규 신부 
2842호 2024. 11. 24  “내가 임금이라고 네가 말하고 있다.” file 신동원 신부 
2841호 2024. 11. 17  지금, 여기에서 file 도정호 신부 
2840호 2024. 11. 10  “잘 사는 것”은 무엇을 말함인가? file 이세형 신부 
2839호 2024. 11. 3  사랑의 착각 file 신진수 신부 
2838호 2024. 10. 27  주님, 제가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file 오용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