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8일 대림 제2주일 미사 강론
천주교 부산교구 김해성당 이균태 안드레아
신앙과 삶이라는 것은 결코 분리될 수도 없고, 우리가 하느님을 믿는다고 할 때에, 그 믿음이라는 것은 우리들의 삶의 자리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지, 결코 그 삶의 자리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신앙생활은 일체 외부와 단절하고, 외딴 섬이나 깊은 산골에 들어가, 혼자 면벽 수도하는 것이 아니다. 주일미사 꼬박꼬박 잘 참석하고, 교회에 속한 신자로서의 의무를 다하려고 하고, 본당 일에 적극적으로 협조 잘하고, 신부, 수녀 말에 적극적으로 순명하는 것만이 신앙생활 잘 하는 것도 아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1982년부터 해마다 대림 제 2주일을 인권주일로 지내왔다. 그리고 지난 2011년부터는 대림 제 2주간을 사회 교리 주간으로 지내고 있다. 인권에 대해서는 이런 저런 기회를 통해서 무엇이 인권인지 조금은 알 것도 같은데, 사회교리라는 것은 무엇인가? 하고 의문을 자아내는 이들이 꽤 많다. 교리라고 하면, 신앙인으로서 믿을 바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혹은 그 가르침에 대한 풀이 정도로 알아 듣겠는데, 교리 앞에다가 사회라는 글자가 붙어 있는 것은 또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서, 사회문제와 관련해 신앙인으로서 알고 실천해야 할 교회의 가르침이 사회교리다. 사회교리는 가정, 생명, 정치, 경제, 사회, 노동, 인권, 세계 평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신자들이 지켜야 할 신앙의 원리와 윤리 기준, 그리고 가치관을 제시하며, 특히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계명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길과 방법을알려 준다.
교회는 그 본성과 사명 상, ‘세상’과 무관할 수 없다. 창조주 하느님께서 처음부터 계획하셨고, 성자께서 세우셨고, 성령께서 인도하시는 교회는 세상 안에서 ‘인류 구원의 표지이며 도구’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회가 펼쳐내는 사회교리는 ‘구체적인 생활환경’, ‘당대의 문제’, ‘세상의 문제’들을 탐구하고 복음의 빛으로 해석하고, 나아갈 길을 제시함으로써, 이 세상에 예수 그리스도의 정신을 스며들게 하는 ‘복음화의 도구’이다.
사랑하는 김해성당 형제, 자매 여러분,
2024년 사회교리 주간의 주제문구는 «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책임은 특히 우리든 이가 그리스도인에게 있습니다 »이다. 이 주제문구로 한국 주교회의 정의평화 위원회에서 담화문을 발표했다. 오늘 강론은 이 담화문을 읽어드리는 것으로 대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