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3일 연중 제29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천주교 부산교구 김해성당 이균태 안드레아



         적어도 나는 복 중에 일복은 확실히 받은 것 같다. 한때, 교구에서 공식으로 준 직함이 무려 6개나 되었던 적도 있었다. 지금은 공식 직함이 김해성당 주임신부, 정의 평화 위원회 부위원장 둘이다. 비공식 직함으로는 사제단 교구 대표에다 전국 총무다. 일복 많은 신부가 김해 성당에 있어서, 한번이라도 신부 손 더 잡고 싶고, 신부와 눈을 마주하며,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하고 싶어하는 김해 성당 신자들에게 늘 미안하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내 일들이라는 것이 일방적인 명령에 의한 것은 아니다. 일을 제안 받고, 거기에 나는 « Yes »한 것이다. 그러니 내가 일이 많은 것은 결국 내가 자처한 것이다. 가끔씩은 « No »라고 했다면, 이렇게까지 일이 많지는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왜 이렇게 사나? 굳이 내가 안 해도 누군가는 다 할 일들인데……’ 라고 볼멘소리 하면서도, 내일 일이 많을 테니, 일찍 자야겠다고 밤마다 나 자신을 다독거린다. 

        
나도 일이 많기는 하지만, 우리 본당에서 봉사직을 맡고 계시는 분들 또한 나와 비슷한 처지다. 주일미사 참례자 수가 평균 280명을 웃도는 우리 본당이지만, 일하는 사람만 일한다. 일복이 있는 사람이 일을 하는 것이지, 일복 없는 사람은 일을 안 한다. 봉사직을 맡고 있는 분들도 어쩌면 나와 똑 같은 생각들도 여러 차례 하셨을 것이다. 이런 생각 말이다 굳이 내가 아니더라도 누군가는 할 텐데, 이제는 좀 손을 놓고 쉬고 싶다. 그리고 또 내가 이 일을 안 맡아야 누군가에게 봉사할 기회를 주는 것인데,……’ 

       
어제 복음과 오늘 복음은 동일한 주제를 이야기하고 있다. 깨어 기다리고 준비하는 충실한 종에 대한 이야기다. 깨어 있다는 것은 무엇을 한다는 것이다.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자연도 시간의 흐름을 느끼는 방식이 다를 뿐, 그들도 때가 되면 옷을 갈아 입고, 또 끊임 없이 싹을 틔우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겨우살이 준비도 한다.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은 죽은 것들뿐이다. 

        
이 세상을 살아 가려면, 참으로 많은 일들이 필요하다. 그런데 그 많은 일들 가운데, 먹고 사는 일은 사실,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들이다. 특히나 하느님의 일이라는 것은 더 그렇다. 사랑하는 일, 정의를 세우는 일, 평화를 위한 일은 하느님의 모상을 따라 창조된 인간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들이다. 신부 아무나 못 된다고 하지만, 그렇지도 않다. 수도자 아무나 못 된다고 하지만, 그렇지도 않다. « 아이고 당신은 신부니까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거지요. »라고 누군가가 나에게 말한다면, 할 말은 없다. 그러나 하느님을 사랑하고, 사람을 사랑하고, 세상을 사랑하려는 마음만 있으면, 신부나 수도자나, 그보다 더 좋은 사람, 더 큰 사람도 될 수 있다. 하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해서, 누구나 그 일을 하지는 않는다. 마음이 열려 있는 사람만이 한다. 완장차고 군림하는 것이 봉사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위해 나 자신이 열려 있는 사람만이, 그리고 힘들어도 그렇게 나 아닌 다른 사람을 위해 살아 가는 것이 참된 삶의 본질임을 온몸으로 깨닫는 사람만이 봉사직분 오래오래 한다. 

         
사랑하는 김해성당 형제 자매 여러분, 

     
본당 안이든 밖이든 봉사 단체나 신심 단체에 한 군데라도 들어가서 활동하자고 제 아무리 목에 핏줄이 설 정도로 떠들어 대어도, 결국은 일하는 사람만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모든 사람들이 일하기 싫어한다는 말은 아니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고 봉사하고 싶어도, 시간을 내지 못하는 사람들은 분명 있다. 그러나 그저 주일미사 하나 겨우 겨우 하는 일도 버거워하는 이들도 분명 있다. 그들은 여전히 자기들의 시간과 자리에서 꿈쩍도 안 하려고 한다. 마음의 문이 아직 거기밖에 열리지 않은 것이고, 봉사라는 것이 « 사랑 »이라는 하느님의 일을 하는 것임을 아직 알지 못하는 것이고, « 많이 주신 사람에게는 많이 요구하시고, 많이 맡기신 사람에게는 그만큼 더 청구하신다 »는 주님의 말씀이 무엇을 뜻하는지를 삶으로 살아내 보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봉사의 직무는 하늘로부터 많은 것을 받은 내가 다시금 내어 드리기 위한 방식이다. 오늘 복음은 나에게 너무 볼멘 소리하지 말라면서 빙긋이 웃어주시는 주님을 만나게 한다. « 나도 힘들다. 그래도 안드레아, 우리 같이 해보자 »라고 내 어깨를 토닥거려 주시는 주님을 만나게 한다. 나에게 오늘 복음은 이렇게 다가온다.

 여러분에게 오늘 복음은 어떻게 다가 오는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2024년 10월 21일 연중 제29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12.31 1
143 2024년 10월 22일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12.31 2
» 2024년 10월 23일 연중 제29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12.31 3
141 2024년 10월 24일 연중 제29주간 목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12.31 0
140 ​​​​​​​2024년 10월 25일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12.31 0
139 2024년 10월 27일 연중 제30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12.31 14
138 2024년 10월 28일 월요일 성 시몬과 성 유다 사도 축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137 2024년 10월29일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136 2024년 10월 30일 연중 제30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135 2024년 10월 31일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134 2024년 11월 1일 금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2
133 2024년 11월 2일 토요일 위령의 날 둘째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1
132 2024년 11월 3일 연중 제31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131 2024년 11월 4일 월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130 2024년 11월 5일 연중 제31주간 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129 2024년 11월 6일 연중 제31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128 2024년 11월 7일 연중 제31주간 목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127 ​​​​​​​2024년 11월 8일 연중 제31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2
126 2024년 11월 11일 월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125 2024년 11월 12일 화요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5.01.01 0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