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기적

가톨릭부산 2024.09.12 15:19 조회 수 : 19

호수 2832호 2024. 9. 17 
글쓴이 임재학 하상바오로 
어떤 기적

 
임재학 하상바오로
사직성당·소설가

 
   금빛 억새로 유명한 간월재 아래 산죽 숲속의 죽림굴(대재공소)은 경신박해(1860년) 때 최양업 신부가 4개월여 은신했던 곳이며, 당시 24세에 불과한 동정녀 김 아가다가 선종한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 가기 위해서는 배내골 주차장에서 3.2km의 산길을 올라야 한다. 처음에는 수월하게 시작되는 임도가 나중에는 숨을 턱턱 막히게 할 정도로 가팔라진다. 
 
   지난 6월 말, 30여 년 전 죽림굴의 소중함을 세상에 드러낸 김영곤 신부님이 집전하시는 미사(*하반기 9월~11월 매주 금요일 11:00)를 봉헌할 기회를 가졌다. 동행한 세 분이 육십 대 후반에 이르는 자매님들이라 체력의 한계에도 강행한 길이었다. 
 
   순례길은 박해의 고통을 느끼게 하려는 듯 어려움이 따랐다. 자매님 한 분의 걸음이 점점 느려지더니, 가파른 고갯길에서는 비틀거리기까지 했다. 그때 휴양림을 관리하는 행정관서의 차 한 대가 올라오는 것이 보였다. 다급한 마음에 손을 흔들었지만, 열리다 만 차창으로는 “그런 몸으로 왜 올라가느냐.”는 퉁명스러운 대답뿐이었다.
 
   그러나 미사를 모시려는 자매님의 의지가 대단했다. 2시간여에 걸친 산행으로 지친 몸도 성스러운 제단 앞에서는 거뜬했다. 하지만, 하산길은 달랐다. 급경사의 내리막길을 몇 걸음 지나지 않아 발길이 흔들렸다. 그때 뒤에서 다시 차량의 엔진소리가 들려왔다. 이번에는 운행을 막아서기라도 할 생각이었다. 그런데 매몰차게 거절하던 그 차가 아니었다. 말을 꺼내기도 전에 한 분이 내려 자매님이 뒷좌석에 타는 것을 도왔다. 그리고 멀리 앞서가는 두 자매님을 가리키자 이내 고개를 끄덕였다.
 
   하산길의 마지막 얼마간을 남겨두고 매주 미사 집전을 돕는 다른 자매님의 걸음을 따라잡았다. 조금 전의 경위를 들은 자매님의 조용한 말씀이 다가왔다. 
 
   “그 자매님이 곤란을 겪지 않으셨다면 죽림굴 미사의 깊은 의미를 깨닫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차는 최양업 신부님이 보내주신 것이 틀림없습니다.”
 
   그랬다. 곤경에 처한 이를 외면하지 않는 가경자의 마음이었다. 바로 작은 기적이었다. 미사를 봉헌하며 바친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시성 기도문’의 한 구절을 되새겼다.
 
  ‘… 땀의 순교자 최양업 토마스 사제는 굳건한 믿음과 불타는 열정으로 구만리 고달픈 길을 마다하지 않고 방방곡곡 교우촌을 두루 다니며…’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추승학 베드로 
2896호 2025. 11. 2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김경란 안나 
2895호 2025. 10. 26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김지수 프리실라 
2893호 2025. 10. 12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정성호 신부 
2892호 2025. 10. 6  생손앓이 박선정 헬레나 
2891호 2025. 10. 5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차재연 마리아 
2890호 2025. 9. 28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김동섭 바오로 
2889호 2025. 9. 21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