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28일 수요일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기념일 미사 강론
천주교 부산교구 김해성당 이균태 안드레아


        아우구스티누스 성인은 가톨릭 교회에서 최고의 천재라고 불린다. 하지만, 그의 생애는 그리 평탄하지가 못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354년에 태어났다. 젊은 시절에는 방탕한 삶을 살기도 했고, 마니교라는 이단에 빠지기도 했다. 오늘날로 치면 신천지와 비슷하다. 마니교에 따르면, 신은 악신과 선신이 있고, 세상은 악신에 의해 지배를 당하고 있다고 본다. 이런 세상은 일찌감치 떠나든지, 아니면, 이 세상은 어차피 악신의 지배를 받아 악하니까, 될 대로 되라는 식으로 살든지 하고, 나중에 죽어서, 선신을 만나더라도, 세상이 악신에 의해 지배받는 세상인데, 거기서 어떻게 선을 행하며 살 수 있겠는가 라고 따지면 선신은 주늑이 들어서 그렇게 따지는 이를 구원해 준다는 식으로 얼토당토않은 가르침을 마니교는 펼쳤다.

마니교에 빠져 있는 동안 여자를 알게 되고, 아이까지도 낳았다. 그러다가 어머니 모니카의 지속적인 눈물과 기도로 아우구스티누스는 회개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387년에 암브로시오 성인으로부터 세례를 받게 된다. 그 때 그의 나이 33세였다. 391년, 37세에 이르러 사제서품을 받았고, 395년, 41세에 이르러 주교품을 받았다. 이때부터 히포라는 도시의 주교로 살다가 430년, 76세에 이르러 생을 마감했다.

인생 전체가 한편의 드라마같았던 아우구스티누스였고, 천재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만큼 똑똑하고 지혜로운 사람이었지만, 정작 아우구스티누스는 겸손한 사람이었다.
« 삼위일체론 » 15권 51항에 나오는 글이 있다. 여러분과 함께 그 글을 나누고 싶다.
 
힘이 닿는 데까지
임께서 주신 힘이 닿는 데까지
임이 누구신지 물었나이다.

믿는 바를 이치로 알고 싶어서
따지고 따지느라 애썼나이다.

임이시여, 저의 주님이시여,
제게는 둘도 없는 희망이시여,
제 간청을 들어주소서.

임을 두고 묻는데 지치지 않게 하소서.
임의 모습 찾고자 늘 몸 달게 하소서.
임을 두고 물을 힘 주소서.

임을 알아 뵙게 하신 임이시기에
갈수록 더욱 알아 뵙게 되리라는
희망을 주신 주님이시기에
임 앞에 제 강함이 있사오니
임 앞에 제 약함이 있사오니
강함은 지켜주시고, 약함은 거들어주소서.

임 앞에 제 앎이 있사오니
임 앞에 제 모름이 있사오니
임께서 열어주신 곳으로
제가 들어가거든 맞아주소서.

임께서 닫아거신 곳으로
제가 두드리거든 열어주소서.

임을 생각하고 싶습니다.
임을 이해하고 싶습니다.
임을 사랑하고 싶습니다.
이 모든 염원을 제 안에 키워주소서.

임께서 저를 고쳐놓으실 때까지,
고쳐서 완성하실 때까지.


        사랑하는 김해성당 형제, 자매 여러분,

        흔히 겸손이라는 것을 상대를 먼저 배려하고, 자신을 낮추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겸손의 첫번째 의미는 자기 자신의 꼬라지를 제대로 정확하게 보는 것이다. 인간이 제 아무리 똑똑하고, 제 아무리 지혜롭다 하더라도, 부처님 손바닥 안이고, 하느님의 발가락 때보다 못하다. 인간 스스로가 자신의 한계를 깨닫고, 그 한계 앞에서 하느님 앞에 부복하며, 도와 달라고, 살려 달라고 하는 것은 참으로 겸손한 인간의 모습이다.

그저 머리 조아리고, 굽신굽신하는 것이 겸손이 아니다. 이중적이고, 위선적인 바리사이나 율법학자들이 겉으로 드러내는 겸손한 체 하는 모습은 더더욱 아니다. 죄를 지었으면, 죄를 지었다고 그 죄로 말미암아 피해를 입은 이들에게 용서를 청하는 것, 잘못을 범했으면, 잘못했다고 솔직히 인정하는 것, 그것이 겸손이다. 죄가 무엇인지도, 잘못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살아 가고 있는 군상들이 너무나도 많은 지금의 이 나라 이 땅은 그런 겸손한 사람이 참으로 그리운 때를 보내고 있다. 이러한 때에, 나부터 먼저 솔직하고, 정직한 삶, 겸손의 삶을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해본다. 오늘 성 아우구스티누스 축일은 나에게 이런 다짐을 하게 한다.

여러분은 어떤 다짐을 하면서 오늘이라는 현재를 다시는 되돌아 오지 않을 과거로 돌려 보내고 싶은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2024년 9월 5일 목요일 윤삼녀 마리아 막달레나 장례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11
223 2024년 9월 4일 연중 제22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222 2024년 9월 3일 화요일 성 대 그레고리오 교황 학자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1
221 2024년 9월 2일 연중 제22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220 2024년 9월 1일 연중 제22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4
219 2024년 8월 30일 연중 제21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2
218 2024년 8월 29일 목요일 이재숙 모니카 장례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21
217 2024년 8월 29일 목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3
» ​​​​​​​2024년 8월 28일 수요일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2
215 2024년 8월 27일 화요일 성녀 모니카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1
214 2024년 8월 26일 연중 제21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7
213 2024년 8월 25일 연중 제21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2
212 2024년 8월 18일 연중 제20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3
211 2024년 8월 16일 금요일 임애열 아나다시아 장례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5
210 2024년 8월 15일 목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1
209 2024년 8월 14일 수요일 성 막시밀리아노 콜베 사제 순교자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1
208 2024년 8월 13일 연중 제19주간 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2
207 2024년 8월 12일 연중 제19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206 2024년 8월 11일 연중 제19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1
205 2024년 8월 9일 연중 제18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1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