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431호 2017.04.23 |
---|---|
글쓴이 | 김검회 엘리사벳 |
‘일본군위안부’할머니들을 기억하며
김검회 엘리사벳 / 정의평화위원회 사무국장 busanjustice@naver.com
우리나라에 거주하는‘일본군위안부’피해자 가운데 최고령이셨던 이순덕 할머니가 지난 4일, 100세를 일기로 하늘나라로 가셨다. 17살 어린 나이에 끌려가 7년간 피해를 당했는데, 위안소에서 당한 만행의 후유증으로 눈이 흐려지고 몸과 마음은 만신창이가 되었다. 부모님은 화병으로 돌아가셨고 가족은 해체되었다. 그렇게 한평생 치욕과 고통의 나날을 살아왔지만 끝내 일본의 사과 한마디 받지 못하고 눈을 감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91년, 처음으로‘일본군성노예’피해자였음을 밝힌 고 김학순 할머니가 얼굴을 드러내면서 숨죽여 지내던 피해자들도 용기를 내어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었다. 할머니는 그 숱한 모욕과 상처, 아픔과 치욕스러움을 한마디로“부끄럽다!”고 고백했다. 당시 피해신고를 접수하는 공무원들의 반응은 한국사회를 대변하듯“미치지 않고서야, 어떻게 그 부끄러운 일을 신고할 수 있을까!”라는 말에 가슴이 칼에 찔리듯 아팠다고 했다. 용기가 부끄럽고 수치스러운 시대였다면, 할머니들은 자신의 인간적 모멸감보다 일본의 만행을 폭로함으로써 다시는 이런 아픈 역사가 반복되지 않기를 바랐다.
정부는 2015년 12월 28일 한일외교장관회담 형식을 빌려‘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해 합의했다고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일본이 10억 엔(약 100억 원)을 출자해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을 철거하기로 했으며 이로써 위안부 문제는 영구적(불가역적)으로 해결되었다고 말이다. 피해당사자들은 철저히 배제되었고 분노한 할머니들은 무효를 주장하며 싸우고 있다. 일본 정부는 당당하게 국제사회에 해결됐음을 통보했고 역사교과서도 왜곡했지만 우리 정부는 미온적 태도만 보이고 있다. 또 자칭 우익을 주장하는 이들 중에는“미래를 위해 일본을 용서해야 한다”며 소녀상 철거를 주장한다. 그러나 가해자의 반성(회개)과 재발방지 노력이 없는데 누가? 누구를 어떻게 용서한단 말인가!
매주 수요일 12시가 되면 일본대사관 앞에서‘수요집회’가 열린다. 92년 1월 8일 이후 25년 동안 어르신들은 아픈 몸을 이끌고 비바람을 맞으며 자리를 지켜왔고, 여기에 응답하듯이 점심시간을 이용한 중고생과 직장인들의 참여가 눈에 띈다. 특히 어린 여중생들은 당시 또래였던 할머니들의 아픔에 공감하며 큰 힘이 되고 있다. 올해 부산 초량 일본영사관 앞에도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져 매달 마지막 수요일 12시에 수요집회가 열린다. 위안부 문제는 과거사가 아닌 오늘, 우리의 역사이며, 피해 당사자들이“됐다”고 할 때까지 정부와 시민이 함께 풀어나가야 할 외교적 자존심이다.
호수 | 제목 | 글쓴이 |
---|---|---|
2447호 2017.08.13 | 신앙(信仰)의 참행복 | 김경덕 요아킴 |
2446호 2017.08.06 |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 차광준 신부 |
2443호 2017.07.16. | 어린 시절 라틴어 미사가 그립다 | 김상진 요한 |
2442호 2017.07.09 |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 정효모 베드로 |
2441호 2017.07.02 | 천국카페와 천국도서관이 있는 마을 | 변미정 모니카 |
2440호 2017.06.25 | 우리에게 주어진 탈렌트 | 신무경 욥 |
2438호 2017.06.11 | 어깨에 힘 좀 빼게 | 탁은수 베드로 |
2437호 2017.06.04 | 끌리다 | 노옥분 글라라 |
2436호 2017.05.28 | 어디서 시작해야 하나? | 이영훈 신부 |
2434호 2017.05.14 | 꽃으로 드리는 기도 | 김경선 루치아 |
2433호 2017.05.07 | 성삼위와 글쓰기 | 박주영 첼레스티노 |
2432호 2017.04.30 | 부활의 신비 | 하창식 프란치스코 |
2431호 2017.04.23 | ‘일본군위안부’할머니들을 기억하며 | 김검회 엘리사벳 |
2428호 2017.04.02 | 복자 유항검의 딸 섬이를 아시나요 | 김상진 요한 |
2427호 2017.03.26 | 주님, 어디 있을까요 | 민정아 루치아 |
2426호 2017.03.19 | “의로움의 열매는 평화를 이루는 이들을 위하여 평화 속에서 심어집니다.”(야고 3, 18) | 차광준 신부 |
2423호 2017.02.26 | 가짜뉴스, 진짜뉴스 | 탁은수 베드로 |
2422호 2017.02.19 | 사랑을 할 수 있을까 | 윤미순 데레사 |
2421호 2017.02.12 | 무인교회와 알파고 사제 | 변미정 모니카 |
2418호 2017.01.22 | 미사 안내를 하고 나서 | 박주영 첼레스티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