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822호 2024. 7. 21 
2822기도하는교회.jpg



미사에 늦었을 때 어디부터 참여해야 영성체를 할 수 있나요?
 

전례위원회
 

미사의 말씀전례에서 말씀이신 주님을 선포하고 마음에 모시며, 같은 말씀을 성찬전례에서 성체로 거행하고 영합니다. 교우들은 사제의 영성체 후에 성체를 영하며 이렇게 영성체까지 이루어져야 미사에 완전하고 바람직하게 참여하는 것입니다.(전례헌장 55항) 말씀전례와 성찬전례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에 합당히 참여하도록 시작예식으로 준비하고 마침예식으로 미사의 은총을 일상에 이어주니,(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28항, 46항, 90항) 결국 분명한 원칙은, 미사의 시작예식부터 마침예식까지 온전히 참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미사에 늦을 때가 있습니다. 어디부터 참여해야 성체를 영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습니다. 미사 예규는 처음부터 미사에 늦을 것을 상정하고 작성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성체를 영할 수 있느냐의 문제는 성체를 모실 ‘합당한 준비’가 되어 있느냐는 질문과 같습니다. 신자들은 주님의 명령에 따라 ‘합당하게 준비’하여, 주님의 몸과 피를 영적 양식으로 받아 모시는 것이 마땅합니다(총지침 80항). 대죄를 범했을 경우 고해성사 후에 성체를 영하도록 가르치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미사에 늦었다면 자신이 영성체에 합당한 준비가 되었는지 ‘양심에 따라’ 스스로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가 살기를 바라시며 당신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고 구원되기를 원하십니다.(요한 6,53-58 참조) 이러한 주님의 사랑에 회개하며 그 사랑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함부로 미사에 늦어도 된다는 말은 결코 아닐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 성당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8.07 72
69 ‘축복’과 ‘축성’은 어떻게 다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31 338
68 ‘축복’과 ‘강복’은 어떻게 다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24 937
» 미사에 늦었을 때 어디부터 참여해야 영성체를 할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17 167
66 성모상 등 성인들의 성화상 앞에서 절을 하거나 십자성호를 긋는 것이 맞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10 156
65 ‘토요특전미사’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02 256
64 어린이 미사에 어른이 참례해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6.26 190
63 삼종기도를 바치는 자세는 무엇인가요? 기도 중에 고개를 숙여 절해야 하나요? 가톨릭부산 2024.06.19 258
62 미사에 이어 삼종기도를 바치는 것이 맞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6.12 140
61 미사 시간과 시간전례 시간이 ‘겹칠 때’는 어떻게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6.05 66
60 마침예식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마침예식을 생략할 수도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29 92
59 미사를 거행할 때 ‘영성체 후 기도’와 ‘공지 사항’ 중 어느 것을 먼저 해야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21 112
58 성령 강림 대축일 미사의 파견하는 말에 “알렐루야, 알렐루야.”를 덧붙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16 55
57 첫영성체를 하지 않은 어린이들에게 ‘성체 대신에’ 다른 것을 나누어 주어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08 77
56 성체를 ‘성직자에게 받아서’ 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02 91
55 손으로 영성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24 289
54 ‘손으로 하는 영성체’의 근거와 주의할 점을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17 284
53 평화의 인사는 어떤 의미로 어떻게 인사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11 97
52 거양성체 때 성체를 바라보아야 하나요, 아니면 고개를 숙이고 있어야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03 164
51 성금요일과 성토요일에는 고해성사를 볼 수 없나요? 가톨릭부산 2024.03.27 278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