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6일 연중 제11주일 미사 강론
천주교 부산교구 김해성당 이균태 안드레아

 
      삶 속에서 일어나는 고통의 이면에 숨겨진 의미를 찾을 수 없을 때, 많은 사람들은 깊은 절망의 심연에 빠져든다. 하느님이 계신다는 것을 인정한다 할지라도, 지금 나에게 닥친 고통의 원인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을 때가 있다. 하지만 고통의 의미와 이유를 모른다고 해도 신앙과 삶을 포기하고 무너질 필요는 없다. 하느님은 과거의 하느님이 아니라 바로 지금 여기에서 나와 함께 하시는 하느님이고, 비록 고통의 의미를 다 알 수 없다고 하더라도 그 지독한 고통의 심연 속에서 그분은 나와 함께 계시는 하느님이기 때문이다. 성경이 증언하는 하느님은 고통의 현장에서 멀리 떨어져 계신 분이 아니라 고통을 당하고 있는 당신의 백성과 함께 계시는 분이다. 하느님께서 당신 자신을 드러내시는 자리는 바로 고통의 현장이다. 하느님은 우리가 당하는 고통이라는 현실 안에 계시며, 우리와 함께 고통을 당하고 계시는 하느님, 임마누엘이다.


적어도 임마누엘 하느님을 믿는 사람은 극심한 고통의 상태에서 하느님 당신은 도대체 어디에 계시느냐고 물어야 한다. 성경은 분명히 임마누엘 하느님은 고통 당하는 바로 거기에 함께 계셨다고 알려준다. 아벨의 피가 땅에서 부르짖을 떄에도, 하갈이 아브라함과 사라로부터 버림받아 울고 있을 때에도, 히브리인들이 이집트에서 고통을 당하고 있을 때에도, 다니엘과 세 친구가 불구덩이에 던져졌을 때에도, 당신의 아들이 십자가 상에서 « 엘로이 엘로이 레마 사박타니? »라고 목놓아 절규하던 순간에도 하느님은 바로 거기 고통 당하는 자의 곁에서 함께 고통을 당하고 계셨다.

하느님이 고통을 당하는 사람들 곁에 머물러 계신다는 것, 이는 하느님이 고통을 당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 고통을 극복하고 이겨내게 할 버팀목이 되어 주신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통 중에 우리는 하느님을 원망하고 그분께 비난을 퍼부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과정을 통해서 다시 일어 날 수 있다면, 하느님은 기꺼이 그러한 원망과 비난을 들어 주신다. 그리고 그 원망과 비난을 다 받아 주시면서 고통 받는 사람과 함께 고통을 겪고, 그 고통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주신다. 당신의 아들이 « 엘로이 엘로이 레마 사박타니 ? »(하느님, 하느님 왜 나를 버리시나이까?)라는 원망의 말에서 « 아버지 제 영을 아버지 손에 내어 맡기 나이다 »라는 신뢰의 말로 넘어갈 수 있는 힘, 빠스카의 힘을 주셨듯이 말이다.

하느님은 고통의 원인을 해명해 주시는 분이 아니며, 고통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시는 분도 아니다. 오히려 성경이 증언하는 하느님은 고난을 딛고 이겨낼 힘을 주시는 분이시며, 고통의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고통의 현실에 동참하는 분이시다. 그리고 당신의 아들을 파견하시고, 성령을 보내주시기까지 하시면서, 그 현실을 바꾸려고 노력하는 분이시다.

오늘 연중 제11주일의 복음은 하느님을 저절로 자라는 씨앗과도 같은 분, 겨자씨와도 같은 분이라고 알려준다. 하느님은 마치 저절로 자라는 씨앗과 같이, 스스로 일하시는 분이시지, 누군가의 압력에 마지못해 일하는 분도, 또 누가 시킨다고 마지못해 일하는 분도 아니다. 세상을 창조하고, 그 세상이 어떻게 되든지 아무런 관심도 없이 그저 저 하늘 멀리 계시는 분이 아니라, 창조하신 그 세상을 몸소 돌보시며, 그 세상이 완성되기 위해 스스로 땀 흘리시며 일하시는 하느님이시다.

또한 하느님은 겨자씨와 같은 분이기도 하다. 눈에 보일 듯 말듯 작은 겨자씨는 마치 존재하지 않는 것과도 같다. 그러나 그런 겨자씨가 땅에 떨어져서 싹을 틔우고, 가지가 자라나서 한 그루의 나무가 되듯이, 하느님은 마치 존재하지 않는 듯이 보이지만, 하느님은 존재하실 뿐만 아니라, 아무도 모르게 일하시면서 어떤 일이든 이루어 내신다. 겨자씨가 자라나서 나무가 되어 하늘의 새들이 쉴 곳인 그늘을 마련해주듯이(마르 4, 32 참조), 하느님도 사람들에게 ‘쉴 그늘’,‘머물 그늘’이 되어 주신다. 바로 세상에 구원이 되시는 것이다. 결국 겨자씨 비유는 우리를 위해 눈높이를 낮추신 하느님, 우리를 위해 겸손해지신 하느님, 우리와 함께 고통을 겪으시는 하느님 에 대한 이야기다.


        사랑하는 김해성당 형제, 자매 여러분,

        저절로 자라는 씨앗과 같은 분, 겨자씨와도 같은 분, 그런 하느님을 우리가 믿고 살아 가고 있다면, « 고통의 도가니 » 속과도 같은 이 나라 이 땅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고통 당하는 이들과 함께 하시는 임마누엘 하느님을 우리가 보여 주어야 한다. 고통을 당하고 있는 사람 곁에서 말 없이 함께 머무는 것, 그의 떨리는 손을 잡고, 그의 슬픈 눈을 응시하는 것, 좌절하고 분노하고 절규하는 고통스러운 모습을 그대로 지켜 봐주며, 함께 울고, 이 어처구니 없고 부조리한 세상을 향해 함께 분노하고 저항하며 함께 그들과 연대하는 것, 이것이 우리들이 해야 할 일이다. 오늘 복음은 나에게 이렇게 다가온다.

 여러분에게 오늘 복음은 어떻게 다가오고 있는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 2024년 5월 22일 연중 제7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5.22 8
263 2024년 5월 23일 연중 제7주간 목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5.25 6
262 2024년 5월 24일 연중 제7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5.25 7
261 2024년 5월 26일 삼위일체 대축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5.29 1
260 2024년 5월 27일 연중 제8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5.29 4
259 2024년 5월 28일 연중 제8주간 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5.29 7
258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성모의 밤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11 23
257 2024년 5월 30일 연중 제8주간 목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11 4
256 2024년 5월 31일 금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방문 축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11 2
255 2024년 6월 2일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11 3
254 2024년 6월 3일 월요일 강미노 마르셀라 장례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11 22
253 2024년 6월 9일 연중 제10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11 6
252 2024년 6월 10일 연중 제10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11 3
251 2024년 6월 11일 화요일 성 바르나바 사도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11 10
250 2024년 6월 12일 연중 제10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27 2
249 2024년 6월 13일 목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27 1
248 2024년 6월 14일 연중 제10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27 1
» 2024년 6월 16일 연중 제11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27 1
246 2024년 6월 17일 연중 제11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27 3
245 2024년 6월 18일 연중 제11주간 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6.27 1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