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815호 2024. 6. 2 

2815기도하는교회.jpg

 

마침예식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마침예식을 생략할 수도 있나요?


 

전례위원회
 

마침예식은 ‘짤막한 공지 사항’, ‘사제의 인사와 강복’, ‘파견’으로 이루어집니다.

사제는, 그리스도께서 승천하시기 전 제자들에게 강복하신 것처럼,(루카 24,50 참조) 일상생활로 돌아가는 신자들을 위해 “오른손으로 십자 표시를 하며” 강복을 청하는 기도를 바칩니다.

강복을 마친 사제는 “미사가 끝났으니 가서 복음을 전합시다.”라고 파견하고 교우들은 “하느님, 감사합니다.”라고 응답하며 미사예식을 끝맺습니다.

 

‘전례생활’은 성당문을 나서면서 끝나지 않습니다.

그리스도의 몸을 받아 모시고 영혼에 힘을 얻은 신자들은 생활 안에서 “기쁨과 희망, 슬픔과 번뇌”(사목헌장 1항)를 주님께 봉헌하며 세례 때 받은 보편사제직을 계속 수행하고 복음을 전합니다. 그렇게 전례는 삶으로 이어져 성찬의 은총이 교우들의 일상에서 열매를 맺습니다.

마침예식의 진정한 가치는 전례와 일상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데에 있습니다. 마침예식이 역할이 이러하므로, “미사에 다른 전례예식이 이어지면 마침예식, 곧 인사와 강복과 파견은 생략”(총지침 170항)하며 마침예식은 뒤에 이어지는 예식 끝으로 미룹니다.

예를 들어, 장례미사에 이어 고별식 등 다른 예식을 거행할 때 마침예식을 뒤로 미루며,(총지침 384항, 장례미사 예식서 61항) 미사를 마칠 즈음 때가 되어 교우들과 함께 삼종기도를 바친다면 마침예식을 삼종기도 뒤로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

예식이 지닌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단지 의무로서 거행해버릴 때 전례는 빈껍데기 곧 허례허식이 되기 때문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 성당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8.07 72
69 ‘축복’과 ‘축성’은 어떻게 다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31 338
68 ‘축복’과 ‘강복’은 어떻게 다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24 937
67 미사에 늦었을 때 어디부터 참여해야 영성체를 할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17 167
66 성모상 등 성인들의 성화상 앞에서 절을 하거나 십자성호를 긋는 것이 맞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10 156
65 ‘토요특전미사’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02 256
64 어린이 미사에 어른이 참례해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6.26 190
63 삼종기도를 바치는 자세는 무엇인가요? 기도 중에 고개를 숙여 절해야 하나요? 가톨릭부산 2024.06.19 258
62 미사에 이어 삼종기도를 바치는 것이 맞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6.12 140
61 미사 시간과 시간전례 시간이 ‘겹칠 때’는 어떻게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6.05 66
» 마침예식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마침예식을 생략할 수도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29 92
59 미사를 거행할 때 ‘영성체 후 기도’와 ‘공지 사항’ 중 어느 것을 먼저 해야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21 112
58 성령 강림 대축일 미사의 파견하는 말에 “알렐루야, 알렐루야.”를 덧붙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16 55
57 첫영성체를 하지 않은 어린이들에게 ‘성체 대신에’ 다른 것을 나누어 주어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08 77
56 성체를 ‘성직자에게 받아서’ 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02 91
55 손으로 영성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24 289
54 ‘손으로 하는 영성체’의 근거와 주의할 점을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17 284
53 평화의 인사는 어떤 의미로 어떻게 인사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11 97
52 거양성체 때 성체를 바라보아야 하나요, 아니면 고개를 숙이고 있어야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03 164
51 성금요일과 성토요일에는 고해성사를 볼 수 없나요? 가톨릭부산 2024.03.27 278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