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가톨릭부산 2024.05.16 11:48 조회 수 : 8

호수 2813호 2024. 5. 19 
글쓴이 이영훈 신부 
인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이영훈 알렉산델 신부
노동사목 부산본부장

 
   최근에 저는 40여 년 전 기억으로 매우 힘들었습니다. 중학생 때 기억입니다. 10살도 채 되지 않은 중증 장애를 가진 아이와 잠시 살았던 적이 있었습니다. 장애 정도가 심해서인지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그리 많지 않았던 아이였습니다. 그런 아이를 어머니께서는 갓난아이를 키우듯 하루 종일 그 아이 곁에서 모든 정성을 쏟으셨습니다. 어느 날 밤 방문이 열리는 소리와 함께 자그마한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형!” 제가 고개를 돌렸을 때 그 아이는 제 옆에 와 있었습니다.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겠지만 순간 짜증이 났고, 어머니를 불렀습니다. 잠시 후 어머니께서 그 아이를 데리고 나가셨지만, 제 마음은 이유를 알 수 없는 미움과 짜증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밤새 그 아이가 받았을 충격과 어쩌면 이제는 하느님 곁에 있을 그 아이에 대한 미안함으로 저는 잠을 이룰 수가 없었습니다. 다음 날 아침 미사 때 그 아이에게 용서를 그리고 하느님께는 자비를 청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날의 미안함과 후회는 이 글을 쓰는 지금도 제 마음에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잊고 있었고, 덮어두었던 수많은 ‘상처 주기’와 ‘후회’가 하나씩 하나씩 떠오를까 두렵기도 합니다.
 
   우리는 수많은 사람을 만납니다. 그 만남 중에 비록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부주의와 무관심 때문에 어떤 이에게 상처를 주기도 합니다. 심지어 혐오와 적개심 때문에 우리는 의도적으로 누군가를 외면하고 배척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잘못된 것임을 깨닫지도 인정하지도 않은 채 기억에서 지워버립니다. 그러나 그 기억은 결코 지울 수 없습니다. 하느님을 믿는 이라면 더더욱 그러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언젠가 그 기억을 다시 떠오르게 하시어 우리 스스로 바로 잡을 기회를 주시기 때문입니다.
 
   이번 경험은 하느님의 은총이었습니다. 지금도 계속 쌓여가는 ‘인간’에 대한 저의 잘못된 태도를 하느님께서 들춰주셨기 때문입니다. ‘이제 제발, 그들이 나의 아들딸 그리고 너의 형제자매라는 사실을 잊지 말라!’는 하느님의 호소를 느꼈기 때문입니다. 일터와 일상생활에서 ‘죽어간 생명’과 ‘상처 입은 그 가족의 영혼’을 가벼이 여기고, 조롱과 혐오의 언어로 비난하는 ‘죽음의 문화’에 제가 동조하고 있었음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다시 한번 하느님의 사랑에 감사드리며 청해 봅니다. “주님,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들에 대한 저의 무관심과 나태함, 혐오와 멸시를 용서하소서.”
호수 제목 글쓴이
2817호 2024. 6. 16  정화된 영혼을 얻으며 류선희 크리스티나 
2816호 2024. 6. 9  작은 노력으로 지구를 구할 수 있습니다 우세민 윤일 요한 
2815호 2024. 6. 2  천국에서 별처럼 빛나게 하소서 박서현 로사리아 
2814호 2024. 5. 26  하느님 사랑의 환대와 시노드적인 경청 이원용 신부 
2813호 2024. 5. 19  인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이영훈 신부 
2811호 2024. 5. 5  라파엘라, 교사가 되다 허수진 라파엘라 
2810호 2024. 4. 28  나를 찾아오신 때 최옥 마르타 
2809호 2024. 4. 21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61차 성소 주일 담화(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2808호 2024. 4. 14  “평화가 너희와 함께!” 하창식 프란치스코 
2807호 2024. 4. 7  나의 행복 리스트 한미현 에스텔 
2806호 2024. 3. 31  무덤을 허물고 일어나 탁은수 베드로 
2804호 2024. 3. 17  뿌리 찾기와 순교자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03호 2024. 3. 10  참 삶의 길 윤경일 아오스딩 
2802호 2024. 3. 3  나에게 새로운 삶을 주신 분 유효정 마리스텔라 
2801호 2024. 2. 25  일상 속 작은 실천 김도아 프란체스카 
2799호 2024. 2. 11  신비롭게 연결되어 있는 인간의 몸처럼 손주희 레지나 
2798호 2024. 2. 10  배우고, 배운 것을 버리고, 새로 배우자! 원성현 스테파노 
2796호 2024. 1. 28.  “없는 이에게 베푸는 일을 미루지 마라.”(집회 4,3) 조수선 안나 
2795호 2024. 1. 21  연중의 삶 속에서 강은희 헬레나 
2794호 2024. 1. 14  새 사제 모토 및 감사인사 file 가톨릭부산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