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2일 부활 제4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천주교 부산교구 김해성당 이균태 안드레아
보통 ‘목자’와 ‘양떼’를 생각하면, 맑은 시냇물이 졸졸 흐르는 넓고 푸른 들판에서 양들이 싱싱하게 자라난 푸른 풀들을 한가로이 뜯고 있는 ‘목가적인 풍경’을 상상한다. 그러나 예수께서 사셨던 유다 땅에는 비가 매우 적게 내리는 광야가 많았다. 대체로 양떼를 기르는 지역은 양떼가 살기에 비교적 열악한 지역들이었다.
구약성경은 이스라엘의 하느님,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을 두고 목자라고 이해한다. . 이사야 예언자는 하느님을 두고, « 목자처럼 당신의 양떼에게 풀을 뜯기시며, 새끼 양들을 두 팔로 안아 가슴에 품으시고, 젖먹이 딸린 어미 양을 곱게 몰고 오신다 » (이사 40, 11)고 했다. 또한 시편의 노래 구절처럼, 목자이신 하느님은 « 푸른 풀밭에 뉘어 주시게 하시고, 고이 쉬라 물터로 양들을 인도하신다 » (시편 23, 1-3).
구약성경이 야훼 하느님께 사용했던 호칭인 목자를 신약성경은 예수님에게 사용한다. 예수님은 양떼들을 위해 목숨까지도 내어 바치는 목자, 구약성경의 야훼 하느님과 똑같은 일을 하시는 분이라고 신약성경은 증언한다.
사랑하는 김해성당 형제, 자매 여러분,
오늘 복음은 예수님이야말로 참된 목자이고, 양들이 드나드는 문이며, 양들이 생명을 얻고 또 얻어 넘치게 하시는 분이라고 증언한다. 당신이 어떤 분이신지를 알리고 있으며, 또한 우리들도 어떤 존재로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특히 오늘 제1독서는 베드로를 롤모델(role model)로 삼아 우리가 어떻게 이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부활하신 주님을 성체를 통해 만나고, 그 성체를 받아 모심으로써, 부활하신 주님께서 나를 통하여, 나와 함께, 내 안에서 현존하고 계시니, 나 역시 세상 사람들에게 구원의 기쁜 소식을 알리고, 내가 세상 사람들에게 기쁨이 되어 주려고 노력하며, 세상 사람들에게 생명의 길을 알려주는 이정표로 살아야 한다고 오늘 제1독서는 우리를 이끌고 있는 것이다. 오늘 독서와 복음은 나에게 이렇게 다가온다.
여러분에게 오늘 독서와 복음은 어떻게 다가오고 있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