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하는 사람, 토마스

가톨릭부산 2024.04.03 16:43 조회 수 : 21

호수 2807호 2024. 4. 7 
글쓴이 홍경완 신부 

질문하는 사람, 토마스
 
 

홍경완 신부
부산가톨릭대학교 총장
 
   의심하고 질문을 던지는 일은 인간의 것입니다. 인간만이 질문을 던지며 그 까닭을 알고 싶어 합니다. 그냥은 받아들이기 싫다는, 수용할 만한 충분한 근거를 찾고 싶다는 인간 의지의 강력한 표현이 질문을 던지는 행위입니다. 믿음에 대해선 더욱 그렇습니다. 그렇게 의심하면 불신앙이 더 커질 듯 보이지만, 실은 질문을 통해 얻어낸 것들이 든든한 토대가 되어 제대로 된 신앙이 뿌리를 내리게 이끌어 줍니다.
 
   신앙은 그 마지막 자리에선 어떤 의심이나 질문도 필요 없는, 심지어 믿는다는 말조차 무의미한 *지복직관의 순수가 자리하고 있을 터이지만, 그건 마지막에나 일어날 바라마지않는 일이고, 그리로 향하는 길 위에서는 늘 ‘믿기 위해서 알아야 하고, 알기 위해서 믿어야’ 하는 작업이 반복되어야 합니다.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이 가르치고 계시듯, 신앙과 지성, 믿음과 앎은 하느님 진리를 향해 날아오르는 두 날개이기 때문입니다. 
 
   질문이 멈춰질 때 신앙은 쉬 맹신과 광신으로 전락해 버리고 맙니다. 질문이 멈춰진 건강하지 못한 신앙이 우리 사회에 얼마나 해로운지 신천지를 비롯한 유사종교들은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건강하고자 하면 질문을 던져야 하고 물어보아야 합니다. 그런 점에서 오늘 복음의 토마스 사도는 ‘불신앙의 대명사’가 아니라 ‘질문하는 신앙인의 표양’입니다. 
 
   토마스는 알고 싶었습니다. 부활이 무엇인지, 그게 어떻게 가능한지, 어떻게 죽었다가 다시 살 수 있는지를 알고 싶었습니다. 십자가와 죽음은 백주에 사람들이 저지른 일이라 누구도 모를 수 없으나, 부활은 하느님의 손으로 하신 일이기에 아무도 알 수 없었습니다.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은 이 질문의 끝에 나오는 황홀하고도 찬란한 고백입니다. 질문하는 사람 토마스는 난처한 질문을 통해 한 단계 너머로 도약합니다. 감각적 지각을 넘어선 또 다른 앎이 있음을 온몸으로 체득합니다. 질문 때문에 가능해진 도약이고, 질문으로 새롭게 열리게 된 지평입니다. 
 
   부활이 말해주는 신비는 예수님처럼 살면, 죽음도 죽는다는 것이었습니다. 죽음을 죽이는 일이 가능하다는 가르침, 그 엄청난 신비를 알게 되면 모든 것이 바뀝니다. 오늘 첫 독서가 그 변화를 이상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가 가능해집니다. 두 번째 독서가 말해주듯 부활은 고통 속에서도 기뻐하고 즐거워하도록 인생관도 바꿔 놓습니다. 이게 부활입니다 
 
   “신앙을 위해서는 토마스 사도의 불신이 믿는 제자들의 신앙보다 우리에게 유익합니다.” 6세기 대 그레고리오 교황이라 불리는, 그레고리오 1세의 말씀입니다.
 
*지복직관 : 하느님을 직접 보는 것(直觀), 바로 하느님 나라의 지극히 복된 상태(至福)를 표현하는 말이다. 하느님을 직접 보는 것은 삼위일체 하느님이 의인을 하느님과의 완전한 사랑의 일치 안으로 끌어들인 상태를 뜻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88호 2025. 9. 14  나를 죽이고 십자가를 지는 삶 file 박재범 신부 
2887호 2025. 9. 7  더 크게 사랑하기 위해서는? file 이재원 신부 
2886호 2025. 8. 31  행복을 선택하는 삶 file 박호준 신부 
2885호 2025. 8. 24  ‘좁은 문’ file 이영훈 신부 
2884호 2025. 8. 17  사랑의 불, 진리의 불 file 이영창 신부 
2883호 2025. 8. 15  마리아의 노래-신앙인의 노래! 김대성 신부 
2882호 2025. 8. 10  그리움, 기다림, 그리고 깨어있는 행복! file 김대성 신부 
2881호 2025. 8. 3  “만족하십시오.” file 이재혁 신부 
2880호 2025. 7. 27  “노인(老人)=성인(聖人)” file 정호 신부 
2879호 2025. 7. 20  마르타+마리아=참으로 좋은 몫 file 이균태 신부 
2878호 2025. 7. 13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file 계만수 신부 
2877호 2025. 7. 6  말씀 전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 file 정상천 신부 
2876호 2025. 6. 29  흔들린 고백 file 천경훈 신부 
2875호 2025. 6. 22  새 계약 file 신문갑 신부 
2874호 2025. 6. 15  하느님의 얼굴 file 조영만 신부 
2873호 2025. 6. 8  보호자시여, 저희의 닫힌 문을 열어주소서! file 권동국 신부 
2872호 2025. 6. 1.  승천하신 예수님, 저희도 하늘로 올려 주소서 file 이상일 신부 
2871호 2025. 5. 25.  “너희가 나를 사랑한다면 내가 아버지께 가는 것을 기뻐할 것이다.” file 맹진학 신부 
2870호 2025. 5. 18.  예수님처럼 사랑하기 file 권동성 신부 
2869호 2025. 5. 11.  내 인생의 밑그림을 그리신 하느님! file 박규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