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순 시기는 모두 며칠인가요?

가톨릭부산 2024.02.28 14:13 조회 수 : 116

호수 2802호 2024. 3. 3 
2802기도하는교회.jpg


사순 시기는 모두 며칠인가요?
 

전례위원회
 
   “사순 시기는 파스카 축제를 준비하는 때”(전례주년과 전례력에 관한 일반규범 27항)입니다. 파스카 축제란 성금요일, 성토요일, 주님 부활 대축일의 “파스카 성삼일”이며 그 전야미사인 ‘주님 만찬 미사’로 시작합니다.(전례주년 19항) 그러므로 사순 시기는 ‘주님 만찬 미사’ 직전 성주간 목요일에 끝납니다.(전례주년 28항) 사순 시기의 시작일은 ‘재의 수요일’입니다.(전례주년 28항) 재의 수요일부터 성주간 목요일까지를 세어 보면 모두 44일입니다.
 
   한편, ‘사순’(四旬; quadragesima)이라는 말은 ‘40’을 뜻합니다. ‘사순 시기’는 ‘40일의 기간’이라는 뜻이지요. 7세기부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교회는 사순 시기가 ‘재의 수요일’부터 성토요일까지라고 잘못 알고 있었고, 성삼일이 성목요일, 성금요일, 성토요일의 삼일이며 사순 시기에 속한다고 오해하였습니다. 사순 시기는 46일이 되었는데, 이를 40일로 맞추려고 사순 시기의 주일이 사순 시기에서 제외된다는 억지스런 주장도 나왔습니다.
 
   원래 사순 시기는, 고해성사를 준비하는 참회자들이 성목요일에 있을 ‘화해예식’에서 죄사함을 받기 위해 준비하는 40일의 피정 기간으로서 사순 제1주일에 시작하였습니다. 당시는 고해성사의 기회가 평생 단 한 번뿐이었습니다. 죄가 있지만 고해성사의 기회를 아껴서 미루고 있던 대부분의 신자들은 참회자들의 피정기간에 스스로 동참하였으며 더 일찍 더 열심히 준비하려고 사순 제1주일 직전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얹고 단식하였는데, 이 관습이 퍼지면서 7세기에는 재의 수요일이 사순 시기의 시작일로 굳어졌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이 관습을 존중하여 보존하였기에 오늘날 사순 시기는 44일의 기간이 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 주님 만찬 미사의 대영광송은 어떻게 노래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20 137
49 ‘파스카 성삼일’의 삼일은 어느 날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13 109
48 ‘십자가의 길’ 기도 중 제대 앞을 지날 때 절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06 106
» 사순 시기는 모두 며칠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28 116
46 감사송에 이어지는 환호 ‘거룩하시도다’는 어떻게 노래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21 57
45 ‘감사송’이 언제 시작되고 끝나는지 쉽게 아는 방법이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14 73
44 ‘연중 시기’에 어떤 특별한 의미가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07 47
43 연중 시기는 34개 주간이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31 47
42 공동 집전 사제가 ‘낮은 소리’로 감사기도를 낭송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24 65
41 성체 성혈 축성 때 하는 절에 대해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17 119
40 기원미사와 신심미사는 언제 드릴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10 122
39 미사에 사용되는 감사기도는 몇 개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03 121
38 위령미사는 죽은 이를 위한 지향으로 드리는 미사를 말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27 397
37 어떤 전례일에 어떤 미사를 드릴 수 있다 혹은 없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20 68
36 오륜대순교자성지 기도문이 새로 나왔네요. 이 기도문에 대해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13 354
35 ‘미사’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06 111
34 성찬례의 ‘제정 요소’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29 56
33 예물 준비 예식에서 사제가 손을 씻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22 180
32 예물 준비 예식에서 성직자가 포도주가 담긴 성작에 물을 조금 섞는데 왜 그렇게 하는 건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15 85
31 향을 드리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08 147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