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송에 이어지는
환호 ‘거룩하시도다’는
어떻게 노래하나요?
전례위원회
‘거룩하시도다’(Sanctus)는 ‘환호’(acclamatio)이며, 교우들과 사제가 함께 노래하거나 분명한 목소리로 낭송해야 하며,(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79항, 148항) 성가대만 노래하거나 회중이 노래하는 부분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온 공동체가 함께 노래하거나 낭송합니다.(총지침 216항)
온 회중이 함께 노래하는 이유는 이것이 지상 공동체가 천상 공동체와 일치하여 함께 환호하며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입니다. 거룩하시도다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전반부(Sanctus)는 천상 공동체의 외침입니다: “거룩하시도다! [...] 하늘과 땅에 가득 찬 그 영광! 높은 데서 호산나!”(이사 6,3; 묵시 4,8 참조) 후반부(Benedictus)는 주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사람들이 외치던 함성(마태 21,9 참조)으로서 ‘땅 위의 환호’를 드러냅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 찬미 받으소서. 높은 데서 호산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이전에 전반부와 후반부가 성변화 전후로 분리되어 있던 것을 하나의 노래로 합쳐서, 미사를 통해 천상전례와 지상전례가 연결됨을 명확히 드러내었습니다: “우리는 이 지상의 전례에 참여하며 [...] 거룩한 도성 예루살렘에서 거행되는 천상 전례를 미리 맛본다. 하늘의 모든 군대와 함께 주님께 영광의 찬미가를 부르며, 성인들을 기억하고 공경하면서 그들의 친교에 참여하기를 [...] 기다린다.”(전례헌장 8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