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28호 2017.04.02 
글쓴이 권순호 신부 

호흡을 이용하는 불교의 참선(參禪) 기도 방법을 사용하여 기도를 합니다. 교회가 가르치는 기도 방법보다 분심을 다스리고 평온한 마음을 얻는 데 더 적합한 듯합니다. 다른 종교의 기도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나쁜 것인가요?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그리스도교의 전통 안에도 마음의 기도, 향심기도, 예수님의 이름을 부르는 기도 등 불교의 선(禪)과 비슷한 관상 기도 방법들이 있습니다. 생각의 분심을 다루는 데에 특히 간단한 성구를 반복적으로 되뇌이거나, 호흡 등의 몸을 이용하여 기도하는 것은 대부분의 종교 안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단지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을 기도의 최종 목적으로 여기고 기도의 성패를 분심 없이 평온함을 유지했느냐에 따라 평가하려 합니다. 소위 뉴에이지 영성가는 심지어 약물을 통해 평온한 마음을 얻으려고 합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기도의 목적은 단지 평온한 마음이 아니라 사랑의 마음임을 가르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자주 산에 오르시어 기도하십니다. 겟세마니 산에서 피땀을 흘리시며 기도하시는 장면이 특히 눈길을 끕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뜻을 내려놓고 십자가를 통해 사랑의 희생을 실천하라는 하느님의 뜻을 받아들이며 번뇌 속에 기도하십니다. 이것은 흔히 모든 정념을 벗어난 평온한 상태의 기도와는 거리가 멉니다. 사랑을 위해서 번뇌와 분심마저도 받아들이고 견디어 내는 것이 바로 기도의 최고 단계임을 예수님은 가르치시는 것입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불교는 일본 군인들이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고 적을 가차 없이 죽일 수 있는 평온한 마음을 선(禪) 기도 방법을 통해 얻도록 가르쳤다고 합니다. 사랑과 관계없이 그저 평온함 그 자체가 목적이 된 기도가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96 2421호 2017.02.12  그럴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 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 이런 활동도 봉사인지, 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장재봉 신부  650
95 2422호 2017.02.19  마음이 부자인 행복한 삶을 가꾸고 싶습니다. 가진 것이 많다 해서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신앙에 그 힌트가 있을 것 같아서 물어봅니다. 홍경완 신부  198
94 2423호 2017.02.26  성경에는 자신이 가진 것을 모두 버리고, 예수님을 따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요즘 같은 시대에 예수님을 믿고 따르려 해도 돈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성당에 신축 기금을 내려고 해도, 주일 헌금을 내려고 해도 돈이 필요합니다. 돈을 무조건 나쁘게 봐야 하는 것일까요? 권순호 신부  237
93 2424호 2017.03.05  왜 하느님은 카인과 아벨 가운데 아벨의 제물만 굽어보시는 건가요? 하느님은 사람을 차별하는 분이신가요? 염철호 신부  319
92 2425호 2017.03.12  요즘 제 모습이 못난이 같아 속상합니다. 일도 마음대로 안 되고,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자꾸 못난 모습이 드러나 우울합니다. 이런 기분이 들 때마다 기도도 하지만, 내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497
91 2426호 2017.03.19  마음 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 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 마음 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 혹시 죄가 아닌가요? 장재봉 신부  651
90 2427호 2017.03.26  사순절에 더 자주 듣는 말이 회개하라는 요청입니다. 회개가 죄와 연관되어서 그런지, 뉘우치라 하는데 그게 힘들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이 말이 점점 더 싫어집니다. 홍경완 신부  114
» 2428호 2017.04.02  호흡을 이용하는 불교의 참선(參禪) 기도 방법을 사용하여 기도를 합니다. 교회가 가르치는 기도 방법보다 분심을 다스리고 평온한 마음을 얻는 데 더 적합한 듯합니다. 다른 종교의 기도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나쁜 것인가요? 권순호 신부  204
88 2429호 2017.04.09  하느님은 인간을 당신 모습에 따라 창조하셨다고 말하면서(창세 1, 27 참조), 왜 당신처럼 완전무결하게 만들지 않으셨는지 궁금합니다. 염철호 신부  142
87 2430호 2017.04.16  하느님의 말씀을 들으며 마음의 위로를 얻지만, 이웃을 사랑하고 보살피시라는 말씀에는 죄책감이 들기도 합니다. 저는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상처도 쉽게 받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기 위해서는 혼자만의 시간이 많이 필요한데, 이런 제 모습이 이기적인 것 같아 죄책감이 듭니다. 홍성민 신부  286
86 2431호 2017.04.23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 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뺄 수도 있습니까? 사제에게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장재봉 신부  294
85 2432호 2017.04.30  하느님과 세상, 복음의 가르침과 세상의 가르침을 앞에 두고 그 가운데에서 갈등을 할 때가 참 많습니다. 신앙인으로서 복음을 더 많이 선택하고는 싶은데, 결과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홍경완 신부  116
84 2433호 2017.05.07  하느님께서는 왜 저에게는 은총을 베풀어 주시지 않으시나요? 다른 사람처럼, 자녀들이 성적이 좋기를, 남편 사업 잘되기를, 돈 많이 벌고, 건강하기를 기도하는데, 하느님께서는 저의 기도를 하나도 안 들어 주시는 듯합니다. 하느님은 참 불공평하신 듯합니다. 권순호 신부  490
83 2434호 2017.05.14  창세기에서 야곱은 어머니 레베카의 계략에 따라 형 에사우의 복을 가로챕니다. (창세 27, 1∼40 참조) 인간적 술수로 하느님의 축복을 가로챌 수 있는 것인가요? 염철호 신부  280
82 2435호 2017.05.21  화를 내고 싶지 않은데, 자꾸 화가 납니다. 운전할 때, TV를 보다 마음에 안 드는 정치인이 나왔을 때, 제가 생각해도 지나치다 싶을 만큼 화가 납니다. 가끔은 제가 놀랄 정도의 말이나 행동을 합니다. 그리고 화를 내고 나면 마음이 불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212
81 2436호 2017.05.28  성전에 비치하는 것은 몰라도 성수를 가정에 두는 것은 왠지 기복적인 느낌이 듭니다. 장재봉 신부  462
80 2437호 2017.06.04  ‘복음을 살아라’는 말씀을 자주 듣습니다. 그런데 너무 막연해서 내용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어떤 삶이 복음을 사는 것인지요? 홍경완 신부  139
79 2438호 2017.06.11  본당에서 자신의 의견만이 옳다고, 자신의 의견만을 강요하는 신부님들을 만나게 됩니다.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성향과 의견을 인정해주는 다원주의 사회에 이런 권위적인 신부님들은 많은 신자들을, 특히 젊은이들을 교회에서 멀어지게 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368
78 2439호 2017.06.18  레지오 중 묵주기도를 하는데, 기도문을 바꾸어도 괜찮다고 해서 기도문 중“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를“가시관 쓰신 예수님은 복되시나이다.”혹은“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은 복되시나이다.”등으로 바꿔 기도합니다. 괜찮을까요? 염철호 신부  195
77 2440호 2017.06.25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나를 비난한 사람 때문에 마음이 너무나 괴롭습니다. 제가 잘못한 것도 없고, 상처를 준 것도 없는데 저한테 왜 그랬을까요? 그렇다면 저는 어떻게 해야 이 마음이 풀릴까요? 홍성민 신부  220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