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95호 2024. 1. 21 
2795기도하는교회.jpg


성체 성혈 축성 때 하는 절에 대해 알려주세요.
 

전례위원회


   감사 기도를 통해 성체와 성혈이 축성되는 지극히 거룩한 때에 성체와 성혈에 경의를 표시합니다. 성체와 성혈에 드리는 절은 무릎절이므로,(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274항) 축성되는 동안 무릎을 꿇습니다.(총지침 43항)

   감사 기도에서 성체 성혈이 축성되는 때는 성령 청원부터 성찬 제정문까지 곧 사제가 성작을 들어올릴 때까지입니다. 그러나 여러 양식의 감사 기도마다 축성 말씀 외에는 기도문이 다 달라서, 교우들은 성변화가 언제 이루어지는지 쉽게 알 수 없으므로, “거룩하시도다” 다음에 무릎을 꿇고 마침 영광송 끝에 “아멘” 환호를 외친 후에 일어서는 것이 무난합니다.
 

   부제는 성령 청원에서부터 사제가 성작을 들어올릴 때까지 무릎을 꿇는 것이 보통이지만(총지침 179항) 직무수행을 위해 달리할 수도 있습니다. 사제는 축성의 직무를 수행하기에 무릎을 꿇지 않으며, 교우 중에는 건강이 좋지 않아 장궤할 수 없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렇게 직무나 건강의 이유 또는 본당 여건으로 인하여 무릎을 꿇을 수 없는 이들은 이때 서 있으며, 성체와 성혈을 각각 들어올린 후 사제가 ‘무릎 절’을 할 때 ‘깊은 절’을 합니다.(총지침 43항)
 

   한국 교구들에서는 무릎 절 대신 깊은 절을 하므로(총지침 274항) 성체와 성혈을 각각 들어올린 후에는 사제도 깊은 절을 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 주님 만찬 미사의 대영광송은 어떻게 노래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20 137
49 ‘파스카 성삼일’의 삼일은 어느 날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13 109
48 ‘십자가의 길’ 기도 중 제대 앞을 지날 때 절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06 106
47 사순 시기는 모두 며칠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28 116
46 감사송에 이어지는 환호 ‘거룩하시도다’는 어떻게 노래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21 57
45 ‘감사송’이 언제 시작되고 끝나는지 쉽게 아는 방법이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14 73
44 ‘연중 시기’에 어떤 특별한 의미가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07 47
43 연중 시기는 34개 주간이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31 47
42 공동 집전 사제가 ‘낮은 소리’로 감사기도를 낭송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24 65
» 성체 성혈 축성 때 하는 절에 대해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17 119
40 기원미사와 신심미사는 언제 드릴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10 122
39 미사에 사용되는 감사기도는 몇 개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03 121
38 위령미사는 죽은 이를 위한 지향으로 드리는 미사를 말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27 397
37 어떤 전례일에 어떤 미사를 드릴 수 있다 혹은 없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20 68
36 오륜대순교자성지 기도문이 새로 나왔네요. 이 기도문에 대해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13 354
35 ‘미사’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06 111
34 성찬례의 ‘제정 요소’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29 56
33 예물 준비 예식에서 사제가 손을 씻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22 180
32 예물 준비 예식에서 성직자가 포도주가 담긴 성작에 물을 조금 섞는데 왜 그렇게 하는 건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15 85
31 향을 드리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08 147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