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수 | 2427호 2017.03.26 |
|---|---|
| 글쓴이 | 김영규 신부 |
고정관념과 영적인 눈뜸
김영규 안셀모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총장
어느 교수가 이런 표현을 했습니다.“우리는 누구나 마음속에 두 마리의 개를 키우고 있다. 그것은 편견(偏見)과 선입견(先入見)이다.”실제로 우리는 모두 자기중심의 고정관념(固定觀念)에서 비롯된 편견과 선입견으로 세상과 사람들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고정관념이란 이미 형성된 나의 것(古)이 견고한 어떤 틀 속(口)에 자리 잡은(定) 생각을 말합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 팽만한‘나는 옳고 너는 그르다.’는 갈등요인이 바로 이런 고정관념에서 비롯된다 하겠습니다.
신앙의 관점에서 보자면 왜곡된 생각인 고정관념의 지지대는‘영적인 눈멀음’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오늘 복음 말씀을 통해서 여전히 자기중심의 고정관념에 묶여있는 우리를 질책하십니다.“지금 너희가‘우리는 잘 본다.’하고 있으니, 너희 죄는 그대로 남아 있다.”(요한 9, 41) 예수님께서는 우리들의 고정관념을 가리키시며 영적으로 눈멀어 있는 현실을 보게 하십니다. 그리고 육체적인 눈멀음뿐 아니라 영적인 눈멀음까지 치유 받은 태생소경에게 하셨듯이“실로암 못으로 가서 씻어라.”(요한 9, 7)고 말씀하십니다.
영적인 눈뜸이란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동시에 단순한 객관적 차원을 뛰어넘는 새로운 관점입니다. 이 새로운 관점은 제1독서에서“나는 사람들처럼 보지 않는다. 사람들은 눈에 들어 오는 대로 보지만 주님은 마음을 본다.”(1사무 16, 7)는 말씀처럼“겉모습으로 보지 않고”(1사무 16, 7) 주님의 눈으로 마음을 보는 것이고 속 알맹이를 보는 것입니다.
사도 바오로는 제2독서에서 주님의 눈으로 세상과 사람을 보기 위해서 자기중심에 갇힌 어둠의 틀을 벗어나 빛이신 주님 안으로 가야 한다고 말합니다. 우리는 빛이신 주님을 통해서만 세상과 사람을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그때 비로소 우리는 세상의 빛이 됩니다. 사순 시기의 중요한 일 중 하나는 나의 편견과 선입견을 성찰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부활은 주님의 눈으로 세상과 사람을 바라보는 영적인 눈뜸에서 비롯됩니다.
| 호수 | 제목 | 글쓴이 |
|---|---|---|
| 2439호 2017.06.18 |
교회의 심장인 성체와 성혈
| 김성한 신부 |
| 2438호 2017.06.11 |
삼위일체는 하느님의 인간에 대한 공감(共感)
| 김현영 신부 |
| 2437호 2017.06.04 |
오소서, 성령님
| 윤명기 신부 |
| 2436호 2017.05.28 |
영혼의 근력 운동
| 경훈모 신부 |
| 2435호 2017.05.21 |
성령께서 인도하시는 삶
| 조동성 신부 |
| 2434호 2017.05.14 |
부활, 믿음을 증명하는 시기
| 김성규 신부 |
| 2433호 2017.05.07 |
성소는 자발적으로
| 전동기 신부 |
| 2432호 2017.04.30 |
하늘나라로 가는 여정에서
| 유영일 신부 |
| 2431호 2017.04.23 |
평화가 너희와 함께!
| 이승훈 신부 |
| 2430호 2017.04.16 |
부활하신 주님의 메시지
| 황철수 주교 |
| 2429호 2017.04.09 |
성주간, 주님 일생의 마지막 한 주간
| 오창열 신부 |
| 2428호 2017.04.02 |
부활의 리허설 그리고 빈무덤
| 임형락 신부 |
| 2427호 2017.03.26 |
고정관념과 영적인 눈뜸
| 김영규 신부 |
| 2426호 2017.03.19 |
사마리아 여인의 믿음
| 강종석 신부 |
| 2425호 2017.03.12 |
구원의 보증인 세례
| 김정호 신부 |
| 2424호 2017.03.05 |
봄과 사순시기
| 배상복 신부 |
| 2423호 2017.02.26 |
소유냐 존재냐
| 구경국 신부 |
| 2422호 2017.02.19 | 누구에게나 하느님의 사랑이 | 이석희 신부 |
| 2421호 2017.02.12 | 믿는 사람은 달라야 한다. | 김성남 신부 |
| 2420호 2017.02.05 | 빛과 소금의 생활 | 임영민 신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