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87호 2023. 12. 10 

2787기도하는교회.jpg


 

‘미사’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전례위원회
 

우리말 미사는 라틴말 ‘missa’를 한자 彌撒로 음역한 말입니다. 미사라는 말이 미사 거행을마치면서 파견하는 말인 “Ite, missa est.”(가십시오, 집회가 끝났습니다.)에서 유래했다고 하는 설도 있고, ‘Oratio missa ad Deum’(하느님께 바치는 기도)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지만 확실하지 않습니다.
 

미사를 가리키는 다른 말로 성찬례또는 감사제라는 용어가 있는데, 이는 라틴말 에우카리스티아’(eucharistia)를 번역한 것이고, 이 라틴말은 감사라는 뜻의 그리스말(εχαριστία)을 소리 나는 대로 옮긴 것입니다.
 

그런데 이 감사라는 말은, 유대교 식사예식 맥락에서 찬미라는 뜻의 그리스말(ελογία)과 동의어로 사용된 것이며, 이 찬미의 그 기원은 너희는 배불리 먹고, 주 너희 하느님께서 너희에게 주신 좋은 땅 때문에 그분을 찬미하게 될 것이다.”(신명 8,10)라는 계명에로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유대교 전통에서, 땅의 주인으로서 그 땅에서 나는 소출로 식사를 한다는 것은, 하느님께서 함께 계시며 이스라엘을 해방하고 지켜주신다는 구원사건을 체험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유대교 식사는 구원은총에 대해 감사드리고 하느님을 찬양하는 예식이었고 그 결정적 기원은 탈출기의 파스카 사건이었습니다.
 

주님께서는 파스카 축일식사를 거행하시며 당신의 몸과 피로 온 세상을 구원하는 새로운 계약의 식사예식을 제정하시고 제자들에게 부활하여 함께 계실 주님을 기억하여 그것을 행하라고 명하셨습니다.
 

교회는 미사를 거행하면서, 당신의 몸과 피로 우리를 당신과 한몸이 되게 하시는 주님의 지극한 사랑과, 부활하시어 우리와 함께 계시며 위로하시고 도와주시며 지켜주시는 주님의 구원 은총에 감사하며 하느님을 찬미합니다. 미사의 원래 말은 하느님 구원은총에 대한 감사의 찬미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 주님 만찬 미사의 대영광송은 어떻게 노래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20 137
49 ‘파스카 성삼일’의 삼일은 어느 날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13 109
48 ‘십자가의 길’ 기도 중 제대 앞을 지날 때 절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06 106
47 사순 시기는 모두 며칠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28 116
46 감사송에 이어지는 환호 ‘거룩하시도다’는 어떻게 노래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21 57
45 ‘감사송’이 언제 시작되고 끝나는지 쉽게 아는 방법이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14 73
44 ‘연중 시기’에 어떤 특별한 의미가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07 47
43 연중 시기는 34개 주간이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31 47
42 공동 집전 사제가 ‘낮은 소리’로 감사기도를 낭송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24 65
41 성체 성혈 축성 때 하는 절에 대해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17 119
40 기원미사와 신심미사는 언제 드릴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10 122
39 미사에 사용되는 감사기도는 몇 개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03 121
38 위령미사는 죽은 이를 위한 지향으로 드리는 미사를 말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27 397
37 어떤 전례일에 어떤 미사를 드릴 수 있다 혹은 없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20 68
36 오륜대순교자성지 기도문이 새로 나왔네요. 이 기도문에 대해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13 354
» ‘미사’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06 111
34 성찬례의 ‘제정 요소’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29 56
33 예물 준비 예식에서 사제가 손을 씻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22 180
32 예물 준비 예식에서 성직자가 포도주가 담긴 성작에 물을 조금 섞는데 왜 그렇게 하는 건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15 85
31 향을 드리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08 147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