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85호 2023. 11. 26 
2785기도하는교회.jpg


 

예물 준비 예식에서 사제가 손을 씻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전례위원회

 

  사제는 예물 준비 예식을 끝내면서 제대 옆에서 손을 씻습니다.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는 예식 때 사용할 빵이나 포도주를 비롯해 식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봉헌했습니다. 이렇게 봉헌된 물품들은 성직자 생활을 위해 그리고 공동체의 가난한 이들을 위해서도 사용되었습니다. 신자들이 봉헌하는 여러 종류의 예물은 사제의 손을 통해 하느님께 봉헌하였는데, 그다음에 성찬 전례를 계속하기 위하여 사제의 손을 깨끗하게 씻을 필요가 있었던 것입니다.
 

  시간이 흘러 성체를 영하는 신자가 크게 늘자, 미사 때 쓰이는 빵은 지금의 제병과 같은 형태로 바뀌었고, 신자들이 봉헌하는 현물도 11세기 이후 화폐의 발달로 현금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사제가 손을 씻어야 했던 실용적 이유가 사라지자, 거기에 신학적 의미가 더해졌습니다. 이제 사제가 손을 씻는 예식은 ‘공동체가 내적인 정화를 통해 성찬 전례를 합당하게 거행하려는 열망’을 드러내게 되었습니다.(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76항)
 

  사제는 정화된 마음으로 성찬 전례를 거행하겠다는 의미로 손을 씻으면서 마음속으로 이렇게 기도합니다: “주님, 제 허물을 말끔히 씻어 주시고 제 잘못을 깨끗이 없애 주소서.”(미사통상문 28항) 이 기도는 시편 51편 4절 “하느님, 저의 죄에서 저를 말끔히 씻으시고 저의 잘못에서 저를 깨끗이 하소서.”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이미 구약성경에서도 물로 씻는 행위는 정화의 의미를 지녔고,(민수 19,1-22) 거룩한 만남의 장막 앞뜰에는 제사장의 정화 의식을 위해 물을 담아두는 놋으로 만든 큰 가마가 놓여 있어 성막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손발을 물로 씻어야 죽음을 면할 수 있었습니다.(탈출 30,20-21)
 

  초대 교회에도 성당에 들어가기 전에 손을 씻어 정화하는 관습이 있어서 큰 성당 앞뜰에는 반드시 우물이나 수반이 있었습니다. 이 관습은 현재 성당 입구에서 성수를 찍어 십자성호를 긋는 행위로 남아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 주님 만찬 미사의 대영광송은 어떻게 노래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20 137
49 ‘파스카 성삼일’의 삼일은 어느 날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13 109
48 ‘십자가의 길’ 기도 중 제대 앞을 지날 때 절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06 106
47 사순 시기는 모두 며칠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28 116
46 감사송에 이어지는 환호 ‘거룩하시도다’는 어떻게 노래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21 57
45 ‘감사송’이 언제 시작되고 끝나는지 쉽게 아는 방법이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14 73
44 ‘연중 시기’에 어떤 특별한 의미가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07 47
43 연중 시기는 34개 주간이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31 47
42 공동 집전 사제가 ‘낮은 소리’로 감사기도를 낭송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24 65
41 성체 성혈 축성 때 하는 절에 대해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17 119
40 기원미사와 신심미사는 언제 드릴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10 122
39 미사에 사용되는 감사기도는 몇 개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03 121
38 위령미사는 죽은 이를 위한 지향으로 드리는 미사를 말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27 397
37 어떤 전례일에 어떤 미사를 드릴 수 있다 혹은 없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20 68
36 오륜대순교자성지 기도문이 새로 나왔네요. 이 기도문에 대해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13 354
35 ‘미사’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06 111
34 성찬례의 ‘제정 요소’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29 56
» 예물 준비 예식에서 사제가 손을 씻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22 180
32 예물 준비 예식에서 성직자가 포도주가 담긴 성작에 물을 조금 섞는데 왜 그렇게 하는 건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15 85
31 향을 드리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08 147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