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83호 2023. 11. 12 
2783기도하는교회.jpg


 

향을 드리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전례위원회

 

   분향의 의미는 분향하는 대상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먼저, 제대와 십자가 그리고 성체께 분향하는 것은 그리스도께 분향하는 것으로서 ‘공경’의 의미를 지닙니다.(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49항)
 
   특히 제대는 이미 초세기부터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것이었습니다.(총지침 298항) 제대는 십자가의 희생을 성사적으로 드러내는 표지이며, 제대 위나 주변에 놓아두는 ‘수난하시는 주님의 모습이 있는’ 십자가(총지침 308항)는 그 점을 더욱 명확히 드러내므로 제대에 분향할 때에는 십자가도 함께 분향합니다. 그래서 제대에 분향할 때에는 분향 전후에 따로 절을 하지 않으며(총지침 277항) 십자가에 이르러 절하는 것으로 대신합니다.
 
   한편, 성체께 하는 고유한 절은 무릎 절이므로(총지침 274항) 성체께 분향할 때에는 향을 드리기 전후에 절을 하는 대신에 무릎을 꿇은 채로 분향합니다.(주교 예절서 94항)
 
   사람에게 분향하는 것은 ‘존경’의 의미를 지닙니다. 사제에게 하는 분향은 그가 받은 성품(聖品)에 대한 존경을 표하는 것이며, 백성에게 하는 분향은 세례성사 때 받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품위에 대한 존경을 드러내는 것입니다.(총지침 75항)
 
   반면에, 예물을 진설한 다음 예물에 분향하는 것은 위의 경우와는 달리, ‘봉헌’의 의미를 지닙니다. 예물에 대한 분향은 교회의 예물과 기도가 향이 타오르는 것과 같이 하느님께로 올라감을 드러냅니다.(총지침 75항) 제대에 진설된 예물은 성변화 이전의 상태이며 따라서 그에 대한 분향이 공경의 의미를 지니지 않으므로, 예물에 분향할 때에는 절하지 않습니다.(총지침 277항)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 주님 만찬 미사의 대영광송은 어떻게 노래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20 137
49 ‘파스카 성삼일’의 삼일은 어느 날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13 109
48 ‘십자가의 길’ 기도 중 제대 앞을 지날 때 절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3.06 106
47 사순 시기는 모두 며칠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28 116
46 감사송에 이어지는 환호 ‘거룩하시도다’는 어떻게 노래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21 57
45 ‘감사송’이 언제 시작되고 끝나는지 쉽게 아는 방법이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14 73
44 ‘연중 시기’에 어떤 특별한 의미가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2.07 47
43 연중 시기는 34개 주간이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31 47
42 공동 집전 사제가 ‘낮은 소리’로 감사기도를 낭송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24 65
41 성체 성혈 축성 때 하는 절에 대해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17 119
40 기원미사와 신심미사는 언제 드릴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10 122
39 미사에 사용되는 감사기도는 몇 개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1.03 121
38 위령미사는 죽은 이를 위한 지향으로 드리는 미사를 말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27 397
37 어떤 전례일에 어떤 미사를 드릴 수 있다 혹은 없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20 68
36 오륜대순교자성지 기도문이 새로 나왔네요. 이 기도문에 대해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13 354
35 ‘미사’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2.06 111
34 성찬례의 ‘제정 요소’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29 56
33 예물 준비 예식에서 사제가 손을 씻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22 180
32 예물 준비 예식에서 성직자가 포도주가 담긴 성작에 물을 조금 섞는데 왜 그렇게 하는 건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15 85
» 향을 드리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08 147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