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80호 2023. 10. 22 
231022기도하는교회.jpg

 
성찬 전례를 위한 예물 준비는 어떻게 하나요?
 
전례위원회
 
   먼저 성찬 전례 전체의 중심이며 주님의 식탁인 제대를 준비합니다. 제대 위에는 성체포, 성작 수건, 성작과 성반, 성작, 그리고 미사 경본을 올려둘 수 있습니다. 신자들이 성찬 전례 동안 제대에서 일어나는 ‘신비의 행위들’을 쉽게 바라볼 수 있도록(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307항) 제대 위에는 오직 미사 거행에 필요한 것만 두어야 합니다. 회중의 시선을 배려하여 제대 위에 잡다한 물건들(물수건, 물컵, 손수건, 휴지, 『매일미사』, 프린트물 등)을 어지럽게 올려두지 말아야 합니다.(2023년 7월 2일자 주보 <기도하는 교회>)
 
   그다음에,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될 빵과 포도주는 신자들이 제대에 가져오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과거 신자들이 전례 때 쓸 빵과 포도주를 자기 집에서 가져오던 전통의 영적인 가치를 살리기 위함입니다.(총지침 73항) 보통 주일이나 대축일 미사에는 신자를 대표하는 봉사자가 빵과 포도주를 들고 제대를 향해 행렬합니다. 예물봉헌자는 제단 앞에 도착하여 주례사제에게 예물을 건네주기 전후에 절합니다. 이는 ‘용무가 있어 다가갈 때와 용무를 마치고 물러날 때 절한다’는 기본원칙에 따른 것입니다.(주교예절서 77항) 이때 모든 신자들이 함께 절할 이유는 없으며 경건하게 마음으로 동참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미사에 사용하는 빵과 포도주는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 생산한 것이어야 합니다. 성찬례에 사용할 수 있는 빵은 순수한 밀가루로 빚고 새로 구워 부패의 위험이 전혀 없어야 하며, 포도주는 포도로 빚은 천연의 것으로 부패하지 않아야 합니다.(교회법 제924조; 총지침 322항; 구원의 성사 50항) 한국가톨릭교회에서는 몇몇 봉쇄 관상 수도원에서 제병을 만들고 있으며, 포도주 역시 변질되거나 화학성분이 첨가되지 않도록 주교회의의 관리하에 미사주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 분향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1.01 393
29 설탕을 첨가한 포도주를 미사주로 사용할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0.25 49
» 성찬 전례를 위한 예물 준비는 어떻게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0.18 177
27 보편지향기도는 어떻게 바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0.11 148
26 ‘보편지향기도’란 말의 뜻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10.04 318
25 ​​​​​​​신경 대신 사도신경을 바칠 수 있게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9.27 62
24 ‘화답송’이란 말의 뜻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9.20 67
23 복음을 봉독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9.13 78
22 강론과 설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9.06 158
21 복음 선포 때 일어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8.30 67
20 화답송의 구절을 줄이거나 대신 다른 성가를 노래해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8.23 112
19 독서와 복음이 봉독될 때 성경 본문을 같이 따라 읽어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8.16 84
18 독서자의 임무는 무엇이고 어떻게 준비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8.09 228
17 미사를 거행할 때 평신도 봉사자가 맡는 임무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8.02 100
16 미사의 시작 예식과 마침 예식을 거행하는 장소가 따로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7.26 75
15 미사 전례에서 되도록 노래로 불러야 하는 부분은 어디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7.19 140
14 제대 뒤 벽에 십자가가 있는데 제대 위에 따로 십자가를 놓아야 합니까? file 가톨릭부산 2023.07.12 125
13 미사를 거행할 때 초는 몇 개를 놓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7.05 370
12 미사 거행을 위해 제대는 어떻게 준비하나요? 초는 제대 위에 놓아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6.28 171
11 독서자의 자리는 어디에 마련해야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3.06.21 116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