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명 | 가톨릭신문 |
---|---|
게재 일자 | 2977호 2016.01.10. 12면 |
오늘은 예수님께서 요르단 강에서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셨음을 기념하는 주님 세례 축일입니다. 세례는 죄를 용서받기 위해 받는 것인데(마르 1,5), ‘아무런 죄도 없으신 예수님께서 왜 세례를 받으셨을까?’라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세례자 요한도 예수님께 “제가 선생님께 세례를 받아야 할 터인데, 선생님께서 저에게 오시다니요?”라고 묻습니다(마태 3,14). 그러자 예수님은 “모든 의로움을 이루기 위해서”(마태 3,15) 당신이 반드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밝히십니다. 이 말이 무슨 뜻일까요?
마르코 복음서를 보면 야고보와 요한이 예수님께 “스승님께서 영광을 받으실 때에 저희를 하나는 스승님 오른쪽에, 하나는 왼쪽에 앉게 해 주십시오”라고 청합니다(마르 10,35). 그러자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너희가 무엇을 청하는지 알지도 못한다. 내가 마시는 잔을 너희가 마실 수 있으며, 내가 받는 세례를 너희가 받을 수 있느냐?”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세례를 받는다는 것은 하느님이 마련해 놓으신 잔을 마시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예수님이 마시게 될 ‘잔’은 우리 모두가 의로워지도록 아버지의 뜻에 따라 십자가의 죽음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돌아가시기 전날 밤 겟세마니 동산에서 “아빠! 아버지! 아버지께서는 무엇이든 하실 수 있으시니, 이 잔을 저에게서 거두어 주십시오. 그러나 제가 원하는 것을 하지 마시고 아버지께서 원하시는 것을 하십시오”라고 기도하신 바 있습니다(마르 14,36 루카 22,42와 마태 36,39도 참조).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마르 10,39에서 “내가 받았던 세례”가 아니라 “내가 받는 세례”라고 말씀하십니다. 곧, 당신의 세례는 한 번 이루어진 사건이 아니라, 일생을 통해 걸어야 할 하나의 길임을 분명히 밝히십니다. 예수님께서 공생활 시작에 요한에게서 세례를 받으신 것은 죄를 용서받기 위함이 아니라, 십자가의 길 자체가 당신의 사명임을 드러내시는 것이었습니다. 앞으로 당신이 걸어야 할 길이 바로 세례의 길임을, 아버지의 뜻에 따라 우리의 의로움을 위해 당신을 십자가 제물로 봉헌하는 것임을 드러내기 위함이었습니다.
예수님은 공생활을 시작하면서 이 점이 바로 당신의 사명임을 정확히 알고 있었고, 그 길을 기꺼이 걸어가십니다. 하느님은 이런 예수님을 두고 “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 모두는 예수님을 따르고자 세례를 받고 이 자리에 모여 있습니다. 우리는 각자 세례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묵상하고 있습니까? 예수님처럼 기꺼이 자신에게 맡겨진 잔을 마시며, 아버지의 뜻에 따라 자신의 십자가를 잘 지고 살아가고 있습니까? 아니면 예수님의 제자들처럼 높은 자리에 오르고, 영광스럽게 되기만을 바라며, 우리에게 맡겨진 십자가를 벗겨내어 줄 새로운 메시아를 기다리고 있습니까?
물론 무엇이 아버지의 뜻인지 모호할 때가 많습니다. 또 안다 해도 마셔야 할 잔이 너무 고통스러운 나머지 아버지께 “저에게서 이 잔을 거두어 주십시오”라며 기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의 마지막 기도는 언제나 예수님처럼 “제가 원하는 것을 하지 마시고 아버지께서 원하시는 것을 하십시오”라는 기도여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가 받은 세례는 진정 의미 있는 세례가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주님 세례 축일을 맞아서 다시 한 번 우리가 받은 세례의 의미를 되새겨 봅시다. 그리고 하느님께서 나에게 맡기신 잔은 과연 무엇인지 묵상하며, 그 잔을 기꺼이 받아 마실 수 있는 힘과 용기를 주십사 하느님께 청합시다. 그렇게 우리가 기꺼이 각자에게 주어진 사명을 수행해 나갈 때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도 이렇게 말씀하실 것입니다.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염철호 신부 (부산가톨릭대학교 성서신학 교수)
번호 | 제목 | 날짜 | 조회 수 |
---|---|---|---|
69 |
[사회교리 아카데미] 대한민국 청년에게 없는 것
![]() | 2016.02.04 | 67 |
68 |
이웃 위하는 마음으로 살아갈 것 다짐
![]() | 2016.01.29 | 157 |
67 |
[복음생각] 나의 예언적 사명은 / 염철호 신부
![]() | 2016.01.29 | 170 |
66 |
[사회교리 아카데미] 소비사회
![]() | 2016.01.29 | 76 |
65 |
[부산 종교지도자 신년대담] 1. 황철수 천주교 부산교구장
![]() | 2016.01.22 | 254 |
64 |
어쩌다 마주친 모든 것들이 당신의 이끄심 덕이었군요
![]() | 2016.01.22 | 131 |
63 |
부산교구 새 사제 3명 탄생, 3000여 명 축하
![]() | 2016.01.11 | 433 |
62 |
하 안토니오 몬시뇰, 국민훈장 모란장 수상
![]() | 2016.01.09 | 285 |
61 |
부산교구 주교들, 소외 청소년들과 예수님 맞이
![]() | 2016.01.09 | 288 |
» |
[복음생각] 언제나 예수님처럼 / 염철호 신부
![]() | 2016.01.09 | 142 |
59 |
천주교 부산교구 사제·부제 서품식
![]() | 2016.01.04 | 739 |
58 |
2015년 사제 및 부제 서품식
![]() | 2016.01.04 | 203 |
57 |
연말의 어느 오후, 순교 성지를 거닐며 차분한 '나홀로 송년회'
![]() | 2015.12.28 | 275 |
56 |
창문 뚫고 들어오는 '성탄빛'
![]() | 2015.12.28 | 220 |
55 |
전수홍 신부의 생활의 발견 <12> 용서에 대하여
![]() | 2015.12.21 | 220 |
54 |
[복음생각] 우리 역시 성모님처럼 / 염철호 신부
![]() | 2015.12.18 | 218 |
53 |
[사회교리 아카데미] 시민사회의 우선성
![]() | 2015.12.18 | 82 |
52 |
부산 사회사목국 ‘사랑의 김장 축제’
![]() | 2015.12.18 | 173 |
51 |
나와 세상을 바꾸는 삶의 신비 자비 慈悲
![]() | 2015.12.18 | 146 |
50 |
남천성당 '자비의 희년' 예식
![]() | 2015.12.14 | 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