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서 속, 잊힌 순교자들

가톨릭부산 2023.08.09 11:59 조회 수 : 14

호수 2770호 2023. 8. 13 
글쓴이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고문서 속, 잊힌 순교자들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온천성당 · 전 부산가톨릭대학교 교수
 

 
   30여 년 전 언양지역의 창녕 성씨 가문에서 소장한 고문헌을 발견하였다. 이 기록물은 성씨 가문의 구성원이 집안의 내력을 적어 놓은 것인데, 뜻밖에도 천주교와 관련한 놀라운 사실이 적혀 있었다. 이 가문의 성진탁이란 인물이 중국 교구 아래 놓였던 조선교구를 분리-독립시키는 데 공을 세웠다는 것이다. 그는 상업 거래로 중국 북경을 드나들면서 조선교구가 분리-독립하는데 도움을 주어 중국 관계자들의 칭송이 자자했다. 이후 귀국하여 우의정 이지연의 소환을 받아 상경한 후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었는데 아마도 1839년의 기해박해에 죽음을 당한 것 같다. 
 
   언양 길천에 거주한 양반인 그가 무역에 종사한 배경에는 가문의 숨은 내력이 있었다. 그의 할머니는 영조 통치기에 영의정을 지낸 홍치중의 딸인데 재혼으로 그 사실을 밝힐 수가 없었다. 할머니는 혼례식을 마치고 신랑집으로 가기 전에 신랑이 죽어 조선시대 유교의 법도에 따라 정절을 지켜야 했다. 하지만 노론 가문의 대표라 할 수 있는 홍치중도 15세의 딸이 평생 수절하는 것을 보기는 마음이 아팠다. 그래서 딸이 남편을 따라 죽었다 하고 평소 교분이 있던 성씨 가문의 사람과 상의하여 한양에서 먼 거리인 언양의 창녕 성씨 가문의 성동좌와 몰래 결혼을 시켰다.
 
   두 가문은 결혼할 때 족보에 배우자의 가계를 등재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하여 실제로 족보에도 성동좌의 배우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결국 성진탁은 가문을 밝혀야하는 과거 시험에 응시할 수 없었다. 이는 그가 양반으로서 무역에 종사한 연유이며 신분 구분이 없는 천주교를 수용하게 된 한 배경이 되었다. 또한 1801년 신유박해 이전에 이미 그의 가문에서 천주교를 수용한 사실도 말해준다.
 
   일반적으로 영남지역은 1801년 박해를 피해 온 사람들에 의해 천주교가 수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천주교 초기 수용 단계에서 언양에서는 중앙과 마찬가지로 천주교를 학문으로 수용한 사실을 보여준다. 성진탁은 당시 천주교의 중심이라 할 중앙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언양지역 출신으로서 단지 천주교의 수용 차원을 넘어서서 천주교회의 제도적 발전에 직접 기여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그의 행적은 주목된다.
   한 가문에 전승되는 기록물에서 한국천주교회사의 새로운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드러나지도 알려지지도 않은 순교자들은 여전히 많이 존재한다. 더운 여름의 햇빛만큼이나 강렬했던 그들의 신앙이 세상에 빛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본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99호 2024. 2. 11  신비롭게 연결되어 있는 인간의 몸처럼 손주희 레지나 
2796호 2024. 1. 28.  “없는 이에게 베푸는 일을 미루지 마라.”(집회 4,3) 조수선 안나 
2795호 2024. 1. 21  연중의 삶 속에서 강은희 헬레나 
2794호 2024. 1. 14  새 사제 모토 및 감사인사 file 가톨릭부산 
2793호 2024. 1. 7  일상 가운데 함께 계시는 하느님 박수현 가브리엘라 
2791호 2023. 12. 31  세상을 건강하게 하는 백신, 성가정 우세민 윤일요한 
2785호 2023. 11. 26  제39회 성서 주간 담화 (2023년 11월 26일-12월 2일) 신호철 주교 
2783호 2023. 11. 12  “깨어 있어라. 너희가 그 날과 그 시간을 모르기 때문이다.”(마태 25,13) 최재석 사도요한 
2782호 2023. 11. 5  나만의 고유한 인생길 file 임성근 판탈레온 신부 
2781호 2023. 10. 29  아버지의 이름으로 탁은수 베드로 
2779호 2023. 10. 15  매주 만나는 하느님 나라 김도아 프란체스카 
2778호 2023. 10. 8.  저는 돌아갈 곳이 있습니다. 김부수 신부 
2777호 2023. 10. 1  고산 위에서 만난 목자 박선정 헬레나 
2776호 2023. 9. 24  형제복지원 피해자 윤경일 아오스딩 
2775호 2023. 9. 17  사회교리학교 입문과정에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2774호 2023. 9. 10  시련이 왜 하느님의 은총인가? 구옥순 베아따 
2773호 2023. 9. 3  연애와 결혼 file 김성숙 아멜리아 
2772호 2023. 8. 27  우리를 성장시켜주는 노동 김서율 사도요한 
2771호 2023. 8. 20  작지만 중요한 각자의 역할 원성현 스테파노 
2770호 2023. 8. 13  고문서 속, 잊힌 순교자들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