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64호 2016.01.10 
글쓴이 염철호 신부 

성경을 읽다보면 ‘아멘’이라는 말이 종종 나오는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jubo@catb.kr

  성경에서‘아멘’은 축복이든 저주든 하느님이 하시는 일이 언급되면 그것이 정말 이루어질 것으로 믿는다는 일종의 신앙 고백적 표현입니다. 예를 들면, 구약성경에서는 사제가 하느님을 찬양하거나,(1역대 16, 36; 시편 41, 14 등) 하느님 뜻을 저버리는 이들을 저주하면 백성들 편에서‘아멘’(신명 27, 14~26 등)이라고 답합니다. 신약성경에서는 하느님 혹은 예수 그리스도를 찬미하거나,(로마 1, 25; 9, 5 등) 하느님께서 사람들에게 축복을 내려주시기를 기원하면서 반드시 그렇게 되리라는 의미로‘아멘’이라고 말합니다.(로마 15, 33; 16, 20 등) 이 말은 본래‘확증하다’,‘지지하다’,‘보증하다’,‘굳건히 세우다’라는 의미를 지닌 히브리어 동사‘아만’에서 나온 부사어로 우리말로는‘맞습니다’,‘지당하신 말씀입니다’,‘좋습니다’,‘믿습니다’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곧,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바, 하느님이 계획하신 바는 반드시 이루어지리라고 믿는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이사야서는 이처럼 약속을 반드시 지키시는 하느님을‘아멘의 하느님’(이사 65, 16)이라고 칭하고, 묵시록은 하느님을‘아멘’ 그 자체이신 분(묵시 3, 14)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여기서‘아멘’은‘충실함’,‘성실함’을 의미합니다. 곧, 하느님은 우리 구원과 관련된 당신의 약속을 반드시 이루시는‘충실하신 분’이라는 말입니다. 이러한 충실함은 우리들이 보여야할 모습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충실(아멘)하신 하느님을 믿는(아멘) 그리스도인들로서, 오늘도 하느님의 뜻이 이 땅 위에 이루어지리라는 것을 믿으며(아멘), 하느님의 뜻을 충실(아멘)하게 실천하며 살아갑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56 2358호 2015.12.13  마음이 불안해서 견디기가 힘듭니다. 머리로는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마음은 여전히 불안해서 잠도 잘 자지 못하고, 해야 하는 일에도 집중하지 못합니다. 이런 불안함을 어떻게 해야 없앨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273
155 2359호 2015.12.20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 쉬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203
154 2361호 2015.12.27  본당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데, 힘들다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좀 지친 것 같습니다. 활동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홍경완 신부  199
153 2363호 2016.01.03  하루 중 문득 문득 나쁜 생각이 납니다. 그리고 어떨 때는 그 생각이 하루를 지배할 때도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생각들을 떠오르지 않게 할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15
» 2364호 2016.01.10  성경을 읽다보면 ‘아멘’이라는 말이 종종 나오는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337
151 2365호 2016.01.17  짜증이 너무나 많이 납니다. 자연히 술, 담배도 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짜증이 없어질까요? 홍성민 신부  126
150 2366호 2016.01.24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맞습니다. 신심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장재봉 신부  387
149 2367호 2016.01.31  청소년기에 접어든 자녀들과의 관계가 서먹서먹해져서 힘이 듭니다. 대화상대자가 되는 좋은 부모이고 싶은데 그 길을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29
148 2368호 2016.02.07  저는 오랫동안 레지오 단장 등 여러 단체의 간부를 맡아 왔습니다. 지금은 본당 사목회 임원으로 활동합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제 자신을 살펴보니 성당 일을 하기엔 정말 형편없는 죄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69
147 2369호 2016.02.14  성경을 읽다 보면‘할렐루야’라는 표현이 종종 나옵니다. 전례 때도 자주 사용되던데, 어느 나라 말이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274
146 2370호 2016.02.21  성찬의 예식에서“스스로 원하신 수난이 다가오자”라는 사제의 기도가 머리에서 계속 맴돕니다.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을 스스로 원하셨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보면서,‘하느님께서는 왜 이들을 도와주지 않으실까?’라는 의문이 들곤 하였는데,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이 그러셨듯이 우리도 고통을 스스로 원해서 겪기를 바라시는 것입니까? 홍성민 신부  246
145 2371호 2016.02.28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564
144 2372호 2016.03.06  가족들끼리 함께 하는 시간이 줄면서 대화도 점점 없어져 하숙집이 되어버렸습니다. 단란한 가족은 환상일 뿐인가요? 홍경완 신부  173
143 2373호 2016.03.13  매월 한 번 봉사 활동을 하러 근처 요양병원에 갑니다. 하지만, 노인들을 위해 봉사할 때 마음속에 우러나오는 사랑의 감정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저의 본 모습을 숨기고, 가식적으로 그들을 위하는 척할 수도 없고, 그럴 바엔 봉사를 그만두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416
142 2374호 2016.03.20  약은 집사 이야기(루카 16, 1~8)에서 주인의 재물을 마음대로 탕감해준 집사를 주인이 도리어 칭찬하는 모습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염철호 신부  221
141 2375호 2016.03.27  삼위일체 교리가 이해하기 너무나 어렵습니다. 머리로 알아듣는 교리가 아니라 마음으로 믿는 교리라고 배웠지만, 그래도 어떻게든 알아듣고 싶습니다. 홍성민 신부  165
140 2376호 2016.04.03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 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인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 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 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장재봉 신부  485
139 2377호 2016.04.10  어떤 이는 마지막까지 모든 것 다 누리다가 하느님 품으로 가고, 어떤 이는 가난과 질병의 고통 속에서 때 이른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런 현실에서 하느님의 공평하심을 믿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홍경완 신부  493
138 2378호 2016.04.17  사람들은 점점 종교에 관심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교회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선교를 할 때 SNS이나 인터넷을 더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그것이 좀 더 빠른 시간에 좀 더 효과적으로 좀 더 다각적으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달할 수 있지 않을까요? 청소년들을 성당에 오게 하기 위해 인터넷 게임을 교리에 이용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44
137 2379호 2016.04.24  성경은 언제부터 있었나요? 예수님 시대 때도 있었나요? 염철호 신부  17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