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60호 2023. 6. 4 
2760기도하는교회.jpg



규정된 장궤 또는 절을 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요?


 
전례위원회

 
   먼저 성체 성혈 축성 때 무릎을 꿇는 것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무릎 절 또는 장궤는 성체께 대한 흠숭을 드러내는 것인데, 「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43항은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건강상의 이유로, 또는 자리가 좁거나 사람이 너무 많거나 다른 합당한 이유로 방해를 받지 않는 한, 성체 성혈 축성 때에는 무릎을 꿇어야 한다. 축성 때 무릎을 꿇지 않는 이들은 축성 뒤 사제가 무릎 절을 할 때 깊은 절을 해야 한다.”
 
   축성 때 사제는 서서 본연의 직무를 수행하며 대신에 축성 뒤에 무릎 절을 합니다. 한국 교구들에서는 무릎 절 대신 깊은 절을 하므로 사제는 축성 때에 선 자세를 유지하다가 축성 뒤에 깊은 절을 합니다. 장궤하기 힘든 교우들은 축성 때 사제와 같이 서 있다가 축성 뒤 사제가 깊은 절을 할 때 같이 깊은 절을 합니다. 이 경우, 사제는 자신의 직무수행 때문에, 신자들은 건강이나 다른 여건 때문에 장궤를 절로 대신하는 것입니다.
 
   직무수행 때문에 다른 절로 대신하는 경우가 또 있습니다. 십자가나 촛불을 들고 가는 봉사자들은 제대 앞에서 깊은 절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들은 깊은 절 대신 고개를 숙여 절합니다.(총지침 274항)
 
   부제 또는 독서자가 복음집을 올려 들고 행렬할 때에는 주례사제 바로 앞에 서는데,(총지침 120항, 172항, 194항) “제대 앞에 이르러 경의를 표시하지 않고 곧바로 제대에 다가서서, 『복음집』을 제대 위에 잘 모셔” 놓습니다.(총지침 173항) 이어서 제대와 복음집에 깊은 절을 하고 제단 안에 정해진 자리로 갑니다. 이 경우 봉사자는, 복음집 자체가 존경의 대상이기에 복음집을 든 상태에서는 따로 어디에 절하지 않는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 신경을 바칠 때 파스카 사건에는 절하지 않고 성탄 사건에만 절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2.27 28
89 주님 성탄 대축일에는 왜 세 대의 미사를 봉헌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2.18 40
88 전례에 합당한 성가는 어떤 것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2.11 33
87 대림시기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2.04 25
86 대림 제1주일이 안드레아 사도 축일(11.30)과 가까운 주일로 정해지는데, 여기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1.27 34
85 연중시기 마지막 주일인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1.20 21
84 ‘신비 교육 기간’이란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1.13 46
83 전례력에서 주일보다 앞서는 축일이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1.06 43
82 미사 중 ‘주님의 기도’ 끝에 ‘아멘’이라고 응답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0.30 79
81 ‘위령의 날’에 드리는 세 대의 미사는 각각 어떤 지향으로 바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0.23 44
80 미사 중 ‘주님의 기도’를 이끄는 사제의 말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0.16 27
79 ‘제대 십자가’에 ‘수난하시는 주님의 형상’이 없어도 되나요? 제대 십자가를 여러 개 둘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0.08 72
78 성체와 성혈을 함께 모시는 ‘양형영성체’(兩形領聖體)는 언제 할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10.02 56
77 장례미사 때는 시작예식의 성호경, 인사, 참회를 생략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9.25 48
76 “신앙의 신비여!”의 세 가지 양식을 선택하는 기준이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9.19 292
75 명절(설, 한가위)에 거행하는 합동위령미사 때 제대 앞에 차례상을 차려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9.11 170
74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에서 “사제의 영”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9.04 346
73 영성체 행렬이 끝난 다음 악기를 연주하거나 특송을 불러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8.28 66
72 영성체 성가를 부르면 영성체송을 생략해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8.21 103
71 성당 이름과 본당 주보성인은 서로 다른 것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8.14 98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