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63호 2016.01.03 
글쓴이 권순호 신부 

하루 중 문득 문득 나쁜 생각이 납니다. 그리고 어떨 때는 그 생각이 하루를 지배할 때도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생각들을 떠오르지 않게 할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우리 인간의 의식을 흔히 표면 의식과 잠재의식 두 가지로 나눕니다. 어떤 심리학자는 이것을 지하실이 있는 거실에 비유해서 설명합니다. 표면의식은 우리가 생활 하는 거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잠재의식은 그 아래층 지하실입니다. 잠재의식 속에 우리가 행동하고 경험하고 느낀 모든 기억이 마치 영화의 필름처럼 보관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자주 1 층 거실에 앉아 영화 필름이 지하 기록 보관소에서 올라 올 때마다 그 영화를 봅니다. 오래 자주 상영된 영화는 지하의 기록 보관소에서 더 좋은 자리에 차지하고, 후에 더 자주 올라옵니다. 그리고 흔히 분노, 두려움, 절망, 미움, 욕망과 같은 좋지 않은 영화들이 기록 보관소의 첫째 선반을 차지하기 일쑤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어떤 영화가 올라오는 것, 즉 어떤 생각이 떠오르는 것은 우리가 거의 선택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나쁜 생각이나 기억이 떠오르는 것 자체만 걱정하고 그것이 처음부터 떠오르지 않게 하려고만 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을 해야 합니다. 우리는 영화의 종류는 선택하지 못하지만, 상영 시간은 조절할 수 있습니다. 나쁜 생각이나 기억의 상영 시간을 줄이는 것이지요. 오래 우리를 사로잡고 있던 생각이나 기억들의 상영 시간은 처음에는 줄이기 힘들겠지요. 여기에 기도를 통해 성령의 힘을 요청하며 나쁜 기억과 생각들의 상영시간을 줄여 나가고 거룩한 기억과 생각들을 늘려 나가는 노력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 잠재의식의 첫 번째 선반에 좋고 거룩한 영화들로 가득하게 하는 것이 영성생활의 목표 중에 하나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56 1867호 2007.01.28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장재봉 신부  168
355 1869호 2007.2.11  차례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이 교회법에 어긋나지 않는지요? 장재봉 신부  132
354 1871호 2007.2.25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장재봉 신부  711
353 1890호 2007.07.0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장재봉 신부  169
352 2022호 2009.11.22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 장재봉 신부  147
351 2072호 2010.10.17  대자가 비신자와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했습니다. 이러한 경우도 교리적으로 조당에 해당하는지요? 알쏭달쏭해서 여쭈어 봅니다. 장재봉 신부  95
350 2154호 2012.04.01  길을 찾는 그대에게 장재봉 신부  267
349 2155호 2012.04.08  사회가 물질적 풍요에 취하면서 종교는 점점 더 세력을 상실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얼핏 보기엔 물질적 풍요와 종교가 서로 반비례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사실일까요? 홍경완 신부  164
348 2156호 2012.04.15  하느님은 전능하시고 안 계신 곳이 없는데 하느님이 계시지 않는 지옥이 어떻게 존재합니까? 권순호 신부  210
347 2157호 2012.04.22  남편이 계속해서 같은 잘못을 합니다. 신앙인이기에 남편의 잘못을 용서하려고 노력해왔지만, 항상 같은 모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남편을 보면서, ‘잘못한 이들을 용서하라는 말씀이 오히려 잘못된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홍성민 신부  141
346 2158호 2012.04.29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기는 하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교리시간에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계시다면 그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 장재봉 신부  122
345 2159호 2012.05.06  길을 찾는 그대에게라는 컬럼제목이 눈길을 잡았습니다. 그러면서 드는 생각이 길을 찾기 위해 맨 먼저 해야 할 일이 무엇일까 라는 의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71
344 215호 2012.08.19  두 아이의 엄마입니다. 아이들을 잘 키우고 싶다는 생각에, 내 꿈과 아이들의 꿈을 섞어버려, 내 꿈이 곧 아이들의 꿈인 것처럼 착각할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고민입니다. 홍경완 신부  177
343 2160호 2012.05.13.  지옥과 죄는 결국 인간에게 자유의지를 줬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면, 왜 하느님은 인간에게 자유 의지를 주어서 우리를 이렇게 고생시키는가요? 권순호 신부  182
342 2161호 2012.05.20  제 남편은 술을 거의 매일 먹습니다. 건강이 걱정되기도 해서 잔소리를 하지만, 오히려 화를 내어서 말을 하려다 그냥 넘어가는 날이 많습니다. 요즘 알코올 중독이라는 말이 자주 들리던데, 혹시 제 남편이 중독은 아닌가 싶어서 걱정되기도 합니다. 술을 매일 마시면 알코올 중독자인가요? 홍성민 신부  403
341 2162호 2012.05.27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 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 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 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장재봉 신부  330
340 2163호 2012.06.03  지금 내가 추구하고 있는 삶의 방향이 옳은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옳은 길로 가고 있다는 확신을 어떻게 가질 수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163
339 2164호 2012.06.10  인간을 사랑하시는 하느님께서 왜 사람들에게 특히 무죄한 사람들에게 고통을 허락하시는가요? 권순호 신부  153
338 2165호 2012.06.17  요즘 들어 부쩍 가족들이나 친구들에게 짜증을 냅니다. 별것 아닌 일에 화를 내게 되고, 또 그렇게 화를 내고 나면 저 자신이 싫어집니다. 참으려고 노력도 하고, 또 결심도 해 보지만, 다시 그렇게 하는 제 모습에 화가 납니다. 홍성민 신부  224
337 2166호 2012.06.24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 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 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160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