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과 확신

가톨릭부산 2022.12.14 13:36 조회 수 : 77

호수 2736호 2022. 12. 18 
글쓴이 이창주 신부 

불안과 확신

 
이창주 신부 / 천곡성당 주임

 
    연말이 되면 올 한해는 긍정적인 결실을 거두며 살았는지 되돌아보게 됩니다. 누구보다 열심히 살았다고 생각했는데 만족할 결과를 얻지 못했거나, 남들을 봤을 때 그들만큼 성과가 없었다면 왠지 모를 불안감이 생깁니다. 인지심리학에서 인간이 제일 싫어하는 감정은 불안이라고 합니다. 불확실하고 모호한 상황일수록 불안감은 커지고 불안한 상태 이후에 오는 분노, 슬픔 등은 어느 때보다 더 크게 온다고 합니다.
 
  오늘 복음을 통해 만난 요셉 역시 불안합니다. 자신도 모르는 아이를 가진 마리아로 인해 지금까지 자존심처럼 지켜온 의로움이 무너지고, 돌팔매를 당하는 죄이지만 결혼하려고 했던 임신부에게 돌을 던지는 것 또한 요셉의 의로움에 어울리지 않습니다.
 
  결국 요셉이 선택한 최선은 파혼하는 것입니다. 그 상황에서 벗어나는 것이 바로 불안과 고민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최선이라고 확신합니다. 인간적 생각으로 한쪽 면만 보고 결론 내어 버린(확증편향) 그 때에 꿈속의 천사는 ‘임마누엘 (하느님은 우리와 함께 계시다)’이라는 말로써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확신을 전해 줍니다. 종종 우리도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심을 자주 잊어버리고 불안이 불러온 편향된 생각으로 섣부른 결정을 할 때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고민했던 그 결정의 순간에 하느님은 어디에 계셨는지 기억하시나요?
 
  무엇인가 판단하고 결정해야 하는 고민에 있거나, 불안으로 인해 슬픈 감정이 들어 힘들어하시는 분이 있다면,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심’을 청해 보시면 어떨까요. 나의 고백이, 그 고백을 듣는 내 영혼이, 주님께서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믿음으로 고통과 슬픔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 것입니다.
 
   대림초가 모두 켜졌습니다. 이제 곧 아기 예수님이 오신다고 합니다. 베들레헴도, 어느 성당도 아닌 바로 나의 마음에 하느님의 새 생명이 태어나십니다. 한 가정에 아기가 태어날 때, 모든 가족이 새 생명에게 해가 되는 것을 찾고 주변을 정리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마음도 정리를 잘 해야 될 필요가 있겠지요. 오시는 아기의 이름이 ‘임마누엘’이라고 하니 우리도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확신으로 기쁨 가득한 이번 성탄을 맞이하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의 마음에 오시는 아기 예수님의 성탄을 축하드립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15호 2024. 6. 2  “그리스도의 몸”, “아멘” file 박기흠 신부 
2814호 2024. 5. 26  “보라, 세상 끝 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마태 28,20) file 차성현 신부 
2813호 2024. 5. 19  성령을 받아라! file 윤준원 신부 
2812호 2024. 5. 12  예수님, 하늘로 오르셨도다! file 김홍태 신부 
2811호 2024. 5. 5  서로 사랑하여라 file 이차룡 신부 
2810호 2024. 4. 28  열매를 맺지 않는 가지는 다 쳐 내신다. file 주영돈 신부 
2809호 2024. 4. 21  착한 목자의 삶 file 박상운 신부 
2808호 2024. 4. 14  예수님, 감사합니다! 장재봉 신부 
2807호 2024. 4. 7  질문하는 사람, 토마스 file 홍경완 신부 
2806호 2024. 3. 31  빈 무덤 - 부활하신 주님께서 함께 계심을 보는 곳 file 신호철 주교 
2805호 2024. 3. 24  마음 안에 주님의 십자가를 세웁시다. file 한건 신부 
2804호 2024. 3. 17  영원한 생명으로 가는 길 file 김명선 신부 
2803호 2024. 3. 10  구원은 하느님의 선물 file 심원택 신부 
2802호 2024. 3. 3  “성전을 허물어라.” file 김경욱 신부 
2801호 2024. 2. 25  세례받은 자, 본래의 모습으로 file 이성주 신부 
2800호 2024. 2. 18  광야와 인생 file 김무웅 신부 
2799호 2024. 2. 11  주님께서 원하시는 대로 file 박명제 신부 
2798호 2024. 2. 10  주인이 종의 시중을 드는 이유 이장환 신부 
2797호 2024. 2. 4  사실 나는 복음을 선포하려고 떠나온 것이다. file 이장환 신부 
2796호 2024. 1. 28.  사랑의 권위 file 백성환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