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26호 2022. 10. 9 
글쓴이 권순도 신부 

묵주기도, 우리 삶의 탁월한 이정표


 
권순도 신부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겸 성서교육원 원장


 
   요즘 신앙생활이 어떤가요? 한번은 어느 신자분이 오셔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요즘 신앙생활이 잘 안된다. 힘들다.” 아니, 평일미사도 꼬박꼬박 나오시는 분이신데, 그래서 여쭈어보니, 기도와 관련된 말씀이었습니다. 기도가 잘 안된다는 말씀이셨습니다. 그렇습니다. 미사에 충실히 참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미사의 은총이 우리의 삶으로 뻗어나가는 길이 기도입니다. “신부님, 착하게 살면 되지 않습니까?”, “요즘처럼 바쁜 일상에 언제 기도합니까?” 모르시는 말씀입니다. 도리어 이렇게 말씀을 드려야 합니다. “우리에게는 신앙이라는 탁월한 이정표가 있는데, 왜 굳이 홀로 외로운 길을 걸어가시렵니까?” 기도는 신앙인이 해야 하는 의무나 숙제 이전에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하는 가장 좋은 길입니다. 
   
   보통 기도라고 하면, 염경기도를 이야기합니다. 기도문을 외는 기도이지요. 우리에게 익숙한 기도 형태입니다. 그 밖에도 묵상기도와 관상기도가 있습니다. “언제 기도문을 외워서, 또 언제 묵상기도에서 관상기도까지 갑니까?” “묵상기도, 관상기도,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분심도 많고요.” 이러한 틀을 넘어서는 기도가 바로 묵주 기도입니다. 묵주 기도는 대표적인 염경기도, 즉 기도문을 외는 기도입니다. 그렇지만 또한 탁월한 묵상기도이며 관상기도이기도 합니다. 묵주 기도를 성모님한테 비는 기도라고 오해하는데, 사실 환희의 신비, 빛의 신비, 고통의 신비, 영광의 신비 묵주 기도를 하면서, 주님의 신약 일대기를 성모님과 함께 동참합니다. 그래서 묵상이며 관상기도입니다. 성모님만큼 예수님의 삶에 가까이했고, 예수님과 일치되었던 인물은 없습니다. 그분은 어머니셨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탄생 때부터 그리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누구보다도 함께 하셨습니다. 반복되는 성모송과 함께 우리는 예수님의 구원업적과 그 속에서 드러나는 하느님의 신비로 자연스럽게 인도됩니다.
 
   코로나가 장기화되면서, 우리 신앙생활의 많은 영역에서 변화가 있었습니다. 우려의 목소리도 들립니다. 우리에게는 우리 교구 수호자이신 성모님과 함께 묵주 기도를 통해 교구의 많은 어려움을 극복한 역사가 있습니다. 새로운 신앙의 도전 앞에 다시 한번 묵주 기도 안에서 함께 나아가면 좋겠습니다. 아멘.
호수 제목 글쓴이
2729호 2022. 10. 30  자캐오야, 얼른 내려오너라. file 권순호 신부 
2728호 2022. 10. 23  은총의 삶, 초대의 삶 file 김두진 신부 
2727호 2022. 10. 16  기도의 시작- 아멘! file 민병국 신부 
2726호 2022. 10. 9  묵주기도, 우리 삶의 탁월한 이정표 file 권순도 신부 
2725호 2022. 10. 2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 file 김상균 신부 
2724호 2022. 9. 25  “하느님의 사람이여, 영원한 생명을 차지하십시오.” 김종규 신부 
2723호 2022. 9. 18  천국을 일군 사람들 file 장현우 신부 
2722호 2022. 9. 11  찾음, 기다림, 받아들임 file 강지훈 신부 
2721호 2022. 9. 4  하느님 나라는 치열한? 계산된 포기의 결과이다. file 이재현 신부 
2720호 2022. 8. 28  밥상머리 교육 file 김영훈 신부 
2719호 2022. 8. 21  구원으로 가는 좁은 문 file 김태균 신부 
2718호 2022. 8. 15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성모님 file 박정용 신부 
2718호 2022. 8. 14  기도와 말씀, 사랑의 불 file 이재석 신부 
2717호 2022. 8. 7  내가 선택하지 않으면 남의 선택을 따르게 됩니다. file 이요한 신부 
2716호 2022. 7. 31  가진 것의 노예가 되지 말 것을 엄중히 경고하시는 예수님 file 한인규 신부 
2715호 2022. 7. 24  빈말을 되풀이하지 마라 file 손지호 신부 
2714호 2022. 7. 17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루카 10,41) file 강우현 신부 
2713호 2022. 7. 10  그렇게 하여라 file 강정웅 신부 
2712호 2022. 7. 3  그리스도는 우리를 통해 살아계십니다 file 김인한 신부 
2711호 2022. 6. 26  “어디로 가시든지 저는 스승님을 따르겠습니다.” file 김병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