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머리 교육

가톨릭부산 2022.08.24 11:23 조회 수 : 44

호수 2720호 2022. 8. 28 
글쓴이 김영훈 신부 

밥상머리 교육


 
김영훈 신부 / 울산대리구 선교사목국장


 
  흔히들 우리는 어릴 적부터 밥상머리에서 부모로부터 인성과 예절 교육을 받습니다. 이른바 ‘밥상머리 교육’은 온 가족이 함께 밥을 먹는 자리에서 부모가 직접 자녀의 바른 생각과 습관을 가르치는 가정교육의 하나입니다. 마찬가지로 복음서를 읽다 보면 주님께서 식탁에서 가르치시는 장면이 종종 등장합니다. 공생활 3년 동안 제자들은 물론 세상 사람들과 얼마나 많은 식사를 하셨겠습니까? 그때마다 주님은 육신의 허기만 달래신 것이 아니라 당신의 입을 통하여 영적인 양식을 주시곤 했습니다. 특히 최후의 만찬 중에는 가르침의 완결판인 사랑의 계명을 말씀하셨고, 몸소 발 씻는 예식을 통하여 그 가르침을 확인해 주셨습니다. 어쩌면 주님께서도 ‘밥상머리 교육’을 하신 것이겠지요.
 
   오늘 복음의 배경 역시 식사 자리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안식일에 바리사이들의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부터 식사 초대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집주인이 어떠한 의도로 주님을 초대하였는지는 문맥상으로 알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 주님을 환대와 존경 속에서 스승으로 모시기 위함인지 아니면 당시 유명인이던 주님을 내빈으로 초대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과시하기 위함인지 그 속내를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집 주인을 포함한 모든 손님들에게 주님께서는 천상 식탁의 예절을 가르치십니다. 먼저 윗자리를 고르는 손님들을 향해서는 “초대를 받거든 끝자리에 가서 앉아라.”(루카 14,10)고 말씀하심으로써 자신을 낮추는 사람이 가장 높은 사람이라는 것을 가르치십니다. 이어서 집주인을 향해서는 “네가 잔치를 베풀 때에는 오히려 가난한 이들, 장애인들, 다리저는 이들, 눈먼 이들을 초대하여라.”(루카 14,13)고 말씀하심으로써 자선하는 사람이야말로 하느님으로부터 보상을 받게 되는 진복자라고 가르치십니다. 
 
   당시 유다인들에게 식사 초대는 자신의 친구가 누구인지를 드러내는 수단이었습니다. 결국 초대받은 친구들의 수준이 곧 잔치를 베푸는 주인의 수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 복음에 등장하는 바리사이는 아마도 지역 유지, 부자, 식자들을 중심으로 초대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하늘 나라의 잔치에는 오히려 가난하고 보잘것없는 사람들이 더 합당합니다. 주님께서는 오늘 바라사이의 지도자로부터 식사 초대를 받았지만 놀랍게도 주님께서는 그 자리에서 천상 식탁으로 우리를 초대하고 계십니다. 그리고 하늘 나라의 잔치에 초대받은 사람들이 누구인지 우리들에게 ‘밥상머리 교육’을 하고 계십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29호 2022. 10. 30  자캐오야, 얼른 내려오너라. file 권순호 신부 
2728호 2022. 10. 23  은총의 삶, 초대의 삶 file 김두진 신부 
2727호 2022. 10. 16  기도의 시작- 아멘! file 민병국 신부 
2726호 2022. 10. 9  묵주기도, 우리 삶의 탁월한 이정표 file 권순도 신부 
2725호 2022. 10. 2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 file 김상균 신부 
2724호 2022. 9. 25  “하느님의 사람이여, 영원한 생명을 차지하십시오.” 김종규 신부 
2723호 2022. 9. 18  천국을 일군 사람들 file 장현우 신부 
2722호 2022. 9. 11  찾음, 기다림, 받아들임 file 강지훈 신부 
2721호 2022. 9. 4  하느님 나라는 치열한? 계산된 포기의 결과이다. file 이재현 신부 
2720호 2022. 8. 28  밥상머리 교육 file 김영훈 신부 
2719호 2022. 8. 21  구원으로 가는 좁은 문 file 김태균 신부 
2718호 2022. 8. 15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성모님 file 박정용 신부 
2718호 2022. 8. 14  기도와 말씀, 사랑의 불 file 이재석 신부 
2717호 2022. 8. 7  내가 선택하지 않으면 남의 선택을 따르게 됩니다. file 이요한 신부 
2716호 2022. 7. 31  가진 것의 노예가 되지 말 것을 엄중히 경고하시는 예수님 file 한인규 신부 
2715호 2022. 7. 24  빈말을 되풀이하지 마라 file 손지호 신부 
2714호 2022. 7. 17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루카 10,41) file 강우현 신부 
2713호 2022. 7. 10  그렇게 하여라 file 강정웅 신부 
2712호 2022. 7. 3  그리스도는 우리를 통해 살아계십니다 file 김인한 신부 
2711호 2022. 6. 26  “어디로 가시든지 저는 스승님을 따르겠습니다.” file 김병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