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을 믿는다는 우리가, 하느님께서 보시기에 정말로 부끄럽지 않는지, 또 우리 천주교회가 정말로 하느님의 뜻을 찾고, 하느님 안에서 살아가는 착한 백성들의 공동체인지 되돌아봐야 할 것입니다.

이인선 수녀님께서 우리 교회가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지 비판하신 글을 올려드리오니, 우리의 교회가 나아갈 방향이 어딘지 묵상해 보셨으면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나는 더 이상은 정의를 외면한 사랑을 신뢰할 수 없다.

양들이 사지(死地)로 내몰리고 있는 처절한 상황 앞에서도 눈 귀 입을 닫은 목자들을 결코 신뢰할 수 없다

처자식 먹여 살리기 위해서 직장상사에게 굴욕을 당해 본 적도 없고, 자기방 청소며, 자신의 옷 빨래며.......

자신이 먹을 밥 한번 끓여 먹으려고 물에 손 한번 담가 본적이라곤 없는 가톨릭의 추기경, 주교, 사제와 수도자들의 고결하고 영성적인 말씀들이 가슴에 와 닿을 리가 없다.

언제부터인지 우리 교회에는 가난한 사람들의 권리보호를 외면하고, 제도교회의 사리사욕에만 몰두하는 목자 아닌 관리자들이 득실거린다.

급 승용차, 고급 음식, 골프, 성지순례 해외여행에 유유자적(悠悠自適)하면서 부자들의 친구가 되고, 그들 자신이 부자이며 특권층이 되어버린 그토록 많은 성직자와 수도자들의 모습이 아름다울 리가 없다

주교문장에 쓰인 멋스런 모토와 그들의 화려한 복장 가슴 위의 빛나는 십자가를 수난과 처참한 죽음의 예수님의 십자가와 도무지 연결시킬 재간이 없다.

나날이 늘어나는 뱃살 걱정이며, 지나치게 기름진 그들의 미소와 생존의 싸움에 지쳐있는 사람들과는 대체 무슨 상관관계가 있는 것일까?

또한 가난을 서원한 수도자들 역시 그리 가난하지가 않다.
수도원에서는 아무도 의식주를 걱정하지 않는다.

안정된 공간에서 해주는 밥을 얻어먹으면서 최소한의 노동으로 최대한의 대접을 받고 산다.

어딜가도 수녀님, 수녀님하면서 콩나물 값이라도 깎아주려는 고마운 분들 속에서 고마운 줄 모르고 덥석덥석 받는 일에 전문가가 되어간다.

말만 복음을 쏟아 놓았지 몸은 복음을 알지 못하는 실천적 무신론자들이며, 아기를 낳아보고, 남편 자식 때문에 속 썩고, 시댁친정 식구들에게 시달리며 인내와 희생을 해본 적이라곤 없는 탓에 철딱서니 없는 과년한 유아들이 없지 않다.

수도복 입었다고 행세할 무엇이 있었던가?

본인이 원해서 하는 독신생활에 자랑할 무엇이 있었던가?

하느님 나라를 위해서 겸손하게 봉사하지 않고, 하느님의 뜻에 순명하지 않는다면 수도복과 수도생활, 독신생활조차 그 의미가 희석된다.

교구, 본당, 수도회의 일이 너무 바쁜 나머지 세상일에 눈을 돌릴 수 없다고 변명하고 책임 회피할 수가 있는 것일까?

인간의 생명이 함부로 훼손되고, 사회적 약자들이 실의와 도탄에 빠진 이 나라 정치, 사회의 불의를 향해 단호하게 저항해야 마땅한 일이 아닌가?

수도자들이라도 결집하여 그래서는 안 된다고 외쳐야 하지 않을까?

수도자들이라도 용기 있는 발걸음을 내딛고 목소리를 내야 하지 않을까?

종교계가 소름끼치도록 조용하다.

이것은 무얼 뜻하는 걸까?

나 역시 작은 수녀에 불과하고 비겁하며 합리화하고 회피하고도 싶다.

내가 비판한 사람들 못지않게 비판받을 행동을 하고 있다는 뼈아픈 자의식으로 인해 차라리 그 모든 것에서 물러나서 침묵을 택하고도 싶다.

그러나,

그러나 시간이 그리 많아 보이지 않는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일처럼 보인다.

다만 공정을 물처럼 흐르게 하고 정의를 강물처럼 흐르게 하여라.”는 아모스 예언자의 외침이 내 심장에서 불꽃처럼 뜨겁게 일어서고 있다.

"
나는 박정희(朴正熙)란 이름 석자로 족하다"

(), 명예박사도 거부했던 그는 권력을 빙자한 군림(君臨)을 증오한 이였다.

박정희(朴正熙) 정부의 청와대 대변인과 문공부 장관을 지낸 김성진(金聖鎭)씨에 따르면 박정희 대통령은 호()가 없었다고 한다. 고령 박()씨 문중에서 호를 지어 올린 적이 있는데, 이 보고를 받은 박()대통령은 "박정희란 이름 석 자로 충분하다"고 김() 당시 대변인에게 말했다고 한다.

실제로 박()대통령은 호를 쓴 적이 없다.

한 보좌관이 모 외국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주기로 했다는 보고를 하니 박() 대통령은 "박사는 나와는 어울리지 않는다"면서 거절했다고 한다. () 대통령은 18년간 재임 했으나, 흔한 명예박사 학위가 하나도 없다. () 대통령은 사신(私信)을 쓸 때는 절대로 '대통령(大統領) 박정희( 朴正熙)' 라고 하지 않았다. '박정희(朴正熙) ()'라고만 했다.

() 대통령은 자신의 생일에 대해서도 무심했다. 그의 생일은 호적에 잘못 적힌 대로 알려져 한동안 생일이 아닌 날에 장관들이 축하 인사를 하기도 했다. 그는 한동안 이를 굳이 고치려 하지 않았다.

, 명예박사, 생일, 직함 등에 신경을 별로 쓰지 않았던 박() 대통령은 권위적인 것들을 생리적으로 싫어했다. 그렇지만 그가 지도한 체제는 권위주의 체제로 불린다.

그는 특히! 권력을 빙자한 군림을 증오했다.

그는 허례허식도 싫어했다.

항상 청빈(淸貧)한 마음자세를 죽을 때까지 유지한 분이었다.

그가 죽을 때 '허름한 시계를 차고, 벗겨진 넥타이핀을 꽂고, 헤어진 혁대를 두르고 있었던 것은, 그리하여 시신(屍身)을 검안한 군의관이 '꿈에도 각하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것'은 인간 박정희의 자연스런 진면목(眞面目)이었다.

온 국민이 애도하는 이건희에 대해서 이처럼 황당한 생각을 하는 이낙연....
대통령 깜이라냐...?!
정신병원에 처넣어야 할 병자일 뿐이다...

전라도 출신 이낙연 민주당 대표가 작고하신 이건희 회장에게 일장훈계의 애도문을 발표했다. 비록 살아생전에는 잘못한 게 많지만 죽어서라도 뉘우치고 착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라고 했다.

참 고약한 애도문이다.

고 서정주 시인이 전라도에는 양반이 별로 없었다는 말씀을 하셨다가 전라인들이 들고 일어났던 사건이 새삼 떠오른다.

전라도는 죽은 사람에게도 훈계질을 하는 모양이지?

죽은 자의 환생 문제까지 걱정해 주는 마음은 가상하나 조선 8도 한귀퉁이에 죽은 사람에게까지 훈계질하는 장례문화가 있는 줄은 몰랐다.

인간의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수녀 이인선

  • 여정모라파엘 2022.08.10 17:22
    이인선 수녀님께서 어디에 기고하신 글이신지, 책에 쓰신 글이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번 기회에 저도 조금 알아보니 이인선 수녀님께서 저렇게 쓰신 것이 맞는가? 하는 의문을 거두지 못하였습니다.

    2018년 7월 22일 CITY CINE 라는 유튜브에 올라온 ‘노동자의 이름으로 북콘서트 이인선 수녀님’이라는 영상을 보면 선생님께서 남겨주신 이인선 수녀님의 글 내용과 너무 다른 분이라서 선생님께서 제안하신 묵상의 방향이 오히려 혼란스럽게 됩니다.

    이 북콘서트에서 이 수녀님께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 촛불집회에 하루도 빠짐없이 참여하였다고 말씀하시며 같은 수도원에서도 왜 저러냐는 폄하하는 말을 듣고 다녔다고 하십니다(1분 49초). 본인 역시 노동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살았고 예수님 역시 30년간 노동하시고 기득권에 저항하고 끝내 정치범으로 몰려 돌아가신 분이시라는 말씀을 하시며 본인은 수도복을 입은 사람이지만 그걸 잘 모르고 살았다고 고백하십니다. 수도 생활을 하며 가난을 서원하였지만 진정 가난은 잘 모르고 가난한 척을 하고 살았던 사람임을 고백하고 계십니다.

    남겨주신 묵상 글은 위 영상에서 보이는 수녀님의 표정, 말투, 행동을 비추어 보았을 때 진실일까? 하는 의문부터 들기 시작하였습니다. 영상을 보지 않았다면 이런 생각을 하지 못했을 겁니다. 저 글이 어디에서 나온 글일까 궁금하여 여럿 찾아보니 일부 정치 성향을 지닌 곳에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이야기가 덧붙여 나와 있었고, 해외 언론 및 교구 신부님들 강론 글에서는 없더군요. 어느 게 진실일까? 라는 생각을 하며 보았을 때 저는 이인선 수녀님의 눈빛과 말투를 진실로 보게 되더군요.

    글은 힘이 있습니다. 특히나 그 글이 짜임새 있게 잘 쓰였을 때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이길 수 있는 건 진정성 있는 말과 행동입니다. 링크로 남겨져 있는 이인선 수녀님의 말씀을 듣고 보시면서 글을 다시 한번 보시면 좋겠습니다.

    링크: 노동자의 이름으로 북콘서트 이인선 수녀님 https://youtu.be/L-JtE_6vblo

    감사합니다.
  • 최규철아만도 2022.08.11 18:14
    이인선 수녀님의 위의 글에 대해 여러 유튜브에서 방송을 한 적이 있고, 저 글은 인터넷을 통해 가져왔습니다.
    일단 저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이인선 수녀님의 글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글 내용은 우리 교회의 현실을 잘 지적하셨기에 우리 교회가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으면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