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717호 2022. 8. 7 |
---|---|
글쓴이 | 박선정 헬레나 |
박선정 헬레나 / 남천성당 · 인문학당 달리 소장
whitenoise99@hanmail.net
“작두가 어떻게 사랑인지 얘기해 줄게. 잘 들어봐.”
작두는 농촌 최고의 일꾼이던 소의 여물을 썰기 위한 도구였다. 몸값도 몸값이지만 소 없이는 일을 못 하던 시절이라, 어른들은 자식보다 소를 더 챙겼다. 소는 배 둘레 크기만큼이나 많이 먹는다. 그러다 보니 소의 먹이를 구하고 저장하는 일이 농부의 또 다른 주요 업무였다. 가을에 수확한 볏단은 물론이고, 여름철 들판의 푸성귀를 보이는 족족 베다 말려서 겨울을 준비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의 필수품이 작두다. 저녁 해 질 무렵이면 집마다 작두 누르는 소리가 담을 넘었다. 철커덕 턱, 철커덕 턱.
작두 일은 보통 작두에 풀을 앗아 주는 사람과 그것을 눌러 자르는 사람이 한 팀이 되어 일했다. 그 과정에서는 둘의 호흡과 리듬이 아주 중요한데, 작두가 내려오는 순간 그 안으로 풀이 아니라 사람의 신체 일부가 조금이라도 들어가면 말 그대로 사달이 났다. 농촌에서는 손가락 마디 하나가 날아간 아이나 어른을 종종 볼 수 있었다.
부모님을 대신해 우리 3남매를 키우신 할아버지는 아주 무서운 분이었다. 특히 오빠는 손자이기 이전에 지 몫을 해야 하는 일꾼이었다. 그러니 일을 제대로 못 한다고 줄곧 야단을 맞았던 오빠는 60을 바라보는 지금에서도 여전히 할아버지는 손주들을 사랑한 적이 없다고 단언한다.
“할배, 억수로 억울하겠심더.”
그 증거물 1호가 바로 작두다. 할아버지는 단 한 번도 어린 삼남매에게 작두 일을 거들게 하지 않았다. 아니, 작두 근처에는 얼씬도 못 하게 했다. 아차 실수라도 하는 순간 순식간에 어린 손가락이 잘려 나갈 수 있다는 걸 누구보다도 잘 알았기 때문이다. 고된 바깥일을 마치고 돌아와서도 할아버지는 혼자서 묵묵히 헛간에 앉아서 그 많은 풀과 볏짚을 작두로 자르고 있었다. 단 한 번도 ‘사랑’이라는 단어를 써 본 적이 없는 그 무뚝뚝하고 고집 센 할아버지는 그렇게 우리에게 당신도 모르는 사랑의 언어를 당신 몸의 언어로 보여줬지만, 정작 우리는 그 언어를 이해하지 못했던 것이다.
수만 가지 다른 문법으로 된 ‘사랑의 언어’가 해석되지 못한 채 비처럼 암호처럼 무의미 속으로 떨어지고 있는데도, 정작 ‘내가 못 보고 못 듣고 있음’을 알지 못한 채 ‘사랑이 죽은 세상’이라며 한탄만 하고 있다. 당신과 나의 언어가 만나려면 ‘공감’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우린 그걸 할 줄 모른다. 그러니, 이제라도 사랑의 언어를 배우면 어떨까. ‘작두’가 어떻게 ‘사랑’인지를 이해하는 기적 같은 언어 말이다.
호수 | 제목 | 글쓴이 |
---|---|---|
2742호 2023. 1. 29 | “남이 너희에게 해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주어라.”(마태 7,12) | 김도아 프란체스카 |
2741호 2023. 1. 22 | 너희도 준비하고 있으라 | 최영순 분다 |
2740호 2023. 1. 15 | 야유와 조롱 대신 따뜻한 말 한마디를 | 우세민 윤일 요한 |
2737호 2022. 12. 25 | 기적을 만들기에 딱 좋은 크리스마스 | 박선정 헬레나 |
2736호 2022. 12. 18 | 귀는 열고, 눈은 뜨고! | 원성현 스테파노 |
2735호 2022. 12. 11 | 지금은 서로 사랑할 때입니다 | 이동소 베네딕다 |
2734호 2022. 12. 4 | 아픈 세대를 위한 미안함과 위로 그리고 연대 | 이영훈 신부 |
2731호 2022. 11. 13 |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6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 담화(요약) | 프란치스코 교황 |
2730호 2022. 11. 6 | 우리는 시노달리타스(Synodalitas)적 삶을 살고 있습니까? | 최재석 사도요한 |
2729호 2022. 10. 30 | 향기로운 가을 | 김희님 마리아 |
2727호 2022. 10. 16 | 자비 | 윤경일 아오스딩 |
2726호 2022. 10. 9 | 아름다우신 성모님 | 강은희 헬레나 |
2725호 2022. 10. 2 | 하느님께서는 부서진 것들을 사용하십니다 | 신정민 데레사 |
2723호 2022. 9. 18 | 순교자의 빛나는 그 마음 |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
2722호 2022. 9. 11 | 매일매일 추석처럼 | 탁은수 베드로 |
2721호 2022. 9. 4 | 베풂의 사랑 | 김상원 요셉 |
2720호 2022. 8. 28 | “하루에 5분이라도 하느님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 이수민 마리스텔라 |
2719호 2022. 8. 21 | “누가 우리의 이웃일까요?” | 조광우 신부 |
2718호 2022. 8. 14 | 아름다움은 부활을 통해 나타나는 생명의 길. 기적으로 나타난다. | 박옥위 데레사 |
2717호 2022. 8. 7 | 작두가 사랑이다?! | 박선정 헬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