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14호 2022. 7. 17 
글쓴이 강우현 신부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루카 10,41)

 
강우현 신부 / 성지성당 주임 


 
   한국 천주교회는 7월 셋째 주일을 농민 주일로 지내면서 농민들의 노고와 노력을 기억하며 하느님의 창조 질서에 부합하여 도시와 농촌이 한마음으로 생태 환경의 보존과 필요성을 생각하게 합니다.
 
   오늘의 제1독서의 말씀 중에 “제가 나리 눈에 든다면, 부디 이 종을 그냥 지나치지 마십시오.”(창세 18,3)  아브라함이 대낮 천막 어귀에 앉아 있다 길손 세 사람을 맞이하면서 그들에게 던지는 말입니다. 이 한마디 초대의 말이 아브라함의 인생을 바꾸는 계기가 됩니다. 아브라함은 길손을 대접하기 위하여 빵도 굽고, 송아지도 잡아 진수성찬을 차려 그들을 대접합니다. 뜻하지 않은 환대를 받은 길손들은 아브라함의 아내를 찾으며, “내년 이때에 내가 반드시 너에게 올 터인데, 그때에는 너의 아내 사라에게 아들이 있을 것이다.”(창세 18,10)라고 말하며 떠나갑니다. 
 
   오늘의 복음도 손님을 맞이하는 마르타와 마리아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맞을 준비를 하는 손님은 예수님이셨습니다. 마르타는 직접 예수님을 맞이하며 음식을 만드느라 분주한 모습입니다.  한편 그녀의 동생 마리아는 바쁘게 움직이는 언니를 돕기는커녕 한가로이 예수님의 발치에 앉아 그분의 말씀을 듣고 있습니다. 이 장면에서 마르타는 분주한 모습을 통하여 주님을 맞이하고, 마리아는 그분의 말씀을 듣는 행동으로 그분을 맞이합니다. 마르타는 마리아의 이러한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그래서 주님께 “저를 도우라고 동생에게 일러 주십시오.”(루카 10,40)하고 투덜거립니다. 이런 마르타의 태도를 지켜보고 계시던 주님께서 “마르타야! … 마리아는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루카 10,41-42)하고 답하십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이번 주간 우리에게 들려주신 말씀을 통하여 사람을 맞이하는 우리의 모습을 돌아보게 하십니다. 인간 세상 서로의 관계 속에서 어떠한 관계를 맺어가는가에 따라서 우리의 삶이 달라집니다. 오늘의 말씀을 통하여 우리가 관계 속에서 만나는 어떠한 사람이든 마음을 다하여 맞이하는 태도가 우리 삶의 질을 결정짓는 것처럼 저에게 들려옵니다. 우리가 사람을 맞이할 때 어떠한 처지에 있는 사람이든 귀하게 환대하고 이웃의 삶 안에 함께 하시는 주님을 대하듯 이웃을 향하여 열린 마음으로 생활하는 지혜로운 하느님의 자녀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16호 2024. 6. 9  귀 얇은 신앙인? 김윤태 신부 
2815호 2024. 6. 2  “그리스도의 몸”, “아멘” file 박기흠 신부 
2814호 2024. 5. 26  “보라, 세상 끝 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마태 28,20) file 차성현 신부 
2813호 2024. 5. 19  성령을 받아라! file 윤준원 신부 
2812호 2024. 5. 12  예수님, 하늘로 오르셨도다! file 김홍태 신부 
2811호 2024. 5. 5  서로 사랑하여라 file 이차룡 신부 
2810호 2024. 4. 28  열매를 맺지 않는 가지는 다 쳐 내신다. file 주영돈 신부 
2809호 2024. 4. 21  착한 목자의 삶 file 박상운 신부 
2808호 2024. 4. 14  예수님, 감사합니다! 장재봉 신부 
2807호 2024. 4. 7  질문하는 사람, 토마스 file 홍경완 신부 
2806호 2024. 3. 31  빈 무덤 - 부활하신 주님께서 함께 계심을 보는 곳 file 신호철 주교 
2805호 2024. 3. 24  마음 안에 주님의 십자가를 세웁시다. file 한건 신부 
2804호 2024. 3. 17  영원한 생명으로 가는 길 file 김명선 신부 
2803호 2024. 3. 10  구원은 하느님의 선물 file 심원택 신부 
2802호 2024. 3. 3  “성전을 허물어라.” file 김경욱 신부 
2801호 2024. 2. 25  세례받은 자, 본래의 모습으로 file 이성주 신부 
2800호 2024. 2. 18  광야와 인생 file 김무웅 신부 
2799호 2024. 2. 11  주님께서 원하시는 대로 file 박명제 신부 
2798호 2024. 2. 10  주인이 종의 시중을 드는 이유 이장환 신부 
2797호 2024. 2. 4  사실 나는 복음을 선포하려고 떠나온 것이다. file 이장환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