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711호 2022. 6. 26 |
---|---|
발췌 | 138항~142항 |
140. 우리가 생태계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는 그 합리적 활용 방법을 찾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그 효용과는 별도로 생태계가 고유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모든 유기체는 하느님의 피조물이기에 그 자체로 좋고 감탄을 자아냅니다. 또한 하나의 체계로 기능하는 일정한 공간 안에서 다양한 유기체들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는 경우에도 그러합니다. 우리는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생존을 위하여 이 공존에 의존합니다.
141. 오늘날, 환경 문제의 분석은 인간, 가정, 노동, 도시의 상황에 대한 분석과 분리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인간이 타인과의 관계와 더불어 환경과의 관계를 맺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자신과 맺는 관계에 대한 분석과도 분리될 수 없습니다. 생태계들의 상호 작용과 사회의 다양한 영역들 간의 상호 작용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찬미받으소서』 138항~142항 발췌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착한 온도로 건강하게! "겨울 19도, 여름은 28도"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1 |
『찬미받으소서』 함께 읽기를 마무리하며...
![]() | 가톨릭부산 | 2022.11.16 | 92 |
50 |
Ⅸ. 태양 너머
![]() | 가톨릭부산 | 2022.11.09 | 29 |
49 |
Ⅷ. 모든 피조물의 모후
![]() | 가톨릭부산 | 2022.11.02 | 44 |
48 |
Ⅶ. 삼위일체와 피조물들의 상호 관계
![]() | 가톨릭부산 | 2022.10.26 | 20 |
47 |
Ⅵ. 성사의 표징들과 안식의 거행
![]() | 가톨릭부산 | 2022.10.19 | 26 |
46 |
V. 시민적이고 정치적인 사랑
![]() | 가톨릭부산 | 2022.10.12 | 18 |
45 |
IV. 기쁨과 평화
![]() | 가톨릭부산 | 2022.10.05 | 23 |
44 |
Ⅲ. 생태적 회개
![]() | 가톨릭부산 | 2022.09.28 | 29 |
43 |
Ⅱ. 인류와 환경 사이의 계약에 대하여 교육하기
![]() | 가톨릭부산 | 2022.09.21 | 17 |
42 |
I. 새로운 생활양식을 향하여
![]() | 가톨릭부산 | 2022.09.14 | 25 |
41 |
제6장 생태 교육과 영성
![]() | 가톨릭부산 | 2022.09.07 | 22 |
40 | V. 과학과 종교의 대화 | 가톨릭부산 | 2022.08.31 | 22 |
39 |
Ⅳ. 인간의 충만함을 위한 정치와 경제의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24 | 23 |
38 |
Ⅲ. 정책 결정 과정의 대화와 투명성
![]() | 가톨릭부산 | 2022.08.17 | 22 |
37 |
Ⅱ. 새로운 국가적 지역적 정책을 위한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10 | 20 |
36 |
I. 환경에 관한 국제적 정치안에서의 대화
![]() | 가톨릭부산 | 2022.08.03 | 20 |
35 |
제5장 접근법과 행동 방식
![]() | 가톨릭부산 | 2022.07.27 | 19 |
34 |
Ⅴ. 세대 간 정의
![]() | 가톨릭부산 | 2022.07.20 | 19 |
33 |
IV. 공동선의 원리
![]() | 가톨릭부산 | 2022.07.13 | 25 |
32 |
Ⅲ. 일상생활의 생태론
![]() | 가톨릭부산 | 2022.07.06 | 36 |